• Title/Summary/Keyword: 기저부

Search Result 54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hondroblastoma of the Base of Fifth Metatarsal Bone associated with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ic Change - A Case Report - (제 5 중족골 기저부의 이차 동맥류성 골낭종변화를 동반한 연골모세포종 - 증례 보고 -)

  • Son, Hyun-Jin;Jang, Kyu-Yun;Lee, Dong-Geun;Lee, Sang-Yong;Kim, Jung-Ryul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0 no.1
    • /
    • pp.45-49
    • /
    • 2004
  • Chondroblastoma is a benign chondroid-forming tumor usually originating in the epiphysis. The base of metatarsal bone contains neither an epiphysis nor a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 and so is the rare site of chondroblastoma. Here, we present a case of chondroblastoma of the base of fifth metatarsal bone in 34-year-old man. Histologically, the osteoclast-like giant cells were abundant enough to simulate a giant cell tumor. And the chondroid intercellular matrix was intermixed but scanty. However, the background mononuclear cells showed irregular and indented nuclei with longitudinal clefts and positive immunoreactivity for S-100 protein, as the evidence of chondroblasts.

  • PDF

A Case of Multiple Basal Cell Carcinomas in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 Ji, So Young;Lee, Seong Pyo;Suhk, Jeong Hoon;Yang, Wan Suk
    • Archives of Craniofacial Surgery
    • /
    • v.11 no.1
    • /
    • pp.23-27
    • /
    • 2010
  • 목적: 모반양 기저세포암 증후군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또는 골린-골츠 증후군은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은 증후군으로 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하고 다기관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높은 표현율과 다양한 표현도를 특징으로 한다. 모반양 기저세포암 증후군의 진단 기준에는 다발성 기저세포암, 이소성 석회화(ectopic calcification), 손 또는 발바닥 오목 (palma or plantar pits), 치성 각화 낭종(odontogenic keratocysts), 가족력 및 골격계, 신경계, 안, 비뇨생식계 및 심장혈관의 이상 등이 있다. 본원에서 주로 두부의 다발성 기저세포암을 가진 모반양 기저세포암 증후군 환자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환자는 2007년 4월 두부의 색소성 모반으로 피부과에서 시행한 펀치 생검에서 기저세포암을 진단받고 의뢰되었으며, 이후 2009년 7월까지 14회의 추가적인 절제 및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는 갑상샘 유두암종의 재발로 인해 갑상샘 절제술을 2회 시행한 과거력이 있었으며 이학적 검사와 일반 혈액, 소변, 간 기능 및 갑상선 기능 검사를 시행하였고, 흉부와 늑골 방사선 검사, 심전도와 안면부 및 두부 컴퓨터단층촬영과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두부와 안면부에서 절제한 27개의 병변 중 23개(85%)가 기저세포암으로 진단되었으며, 치성 각화 낭종과 대뇌겸 석회화, 이학적 검사에서 손바닥 오목이 발견되었다. 하복부 초음파에서 난소 낭종이 발견되었으나 조직 검사는 시행되지 않았다. 결론: 한국에서 모반양 기저세포암 증후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치과와 피부과 영역에서 국한되었으며, 특히 치과 영역에서의 보고는 치성 각화 낭종 및 손바닥 오목에 초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원에서는 주로 두부의 다발성 기저세포암을 가진 모반양 기저세포암의 환자를 경험하였으며, 초기에 발견된 작은 병변의 제거 시 2mm의 정상 조직을 포함하여 절제하였어도 3년간의 경과관찰 중 재발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erodynamic Analysis Based on the Truncation Ratio of Guided-Weapon Nose Using CFD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유도무기 선두부 절단 비율에 대한 공력해석)

  • Jeong, Kiyeon;Kang, Dong-Gi;Lee, Daeyeon;Noh, Gy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7 no.4
    • /
    • pp.245-255
    • /
    • 2019
  • This paper describes on aerodynamic analysis based on the truncation rate of guided-weapon nose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he shape to perform the analysis is only the body of the guided weapon and the diameter to length ratio is 10.7. Three nose shapes were selected and hemisphere, 25% and 50% truncation were compared. For the accurate CFD analysis of the body, the grid method and the analytical method were selected and verified using NASA wind tunnel test data. For the three nose shapes, the drag analysis for the flight Mach number is 6~20% different. This difference was analyzed by the pressure distribution from nose to base.

An histochemical study of endocrine cells in the alimentary tract of th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붉은귀거북이 소화관 내분비세포에 관한 조직화학적 연구)

  • Lee, Hyeung-sik;Ku, Sae-kwang;Park, Ki-dae;Lee, Jae-hyun;Lee, Mal-soon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40 no.2
    • /
    • pp.247-256
    • /
    • 2000
  • The regional distributions and relative frequencies of endocrine cells were studied histochemically (Grimelius and Masson-Hamperl (M-H) silver methods) in the alimentary tract of th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Samples were taken from the esophagus, fundus, pylorus, duodenum, jejunum, ileum and large intestine. Argyrophil (Grimelius-positive) cells and argentaffin (M-H-positive) cells were found in the whole alimentary tract in this study. Spherical to spindle and/or oval to round-shaped argyrophil or argentaffin cells were located in the gastric glands of the stomach regions, in the basal portion of the epithelium of intestinal tract or the esophagus with variable frequencies. Argentaffin cells were more numerously detected in the whole alimentary tract compared with those of argyrophil cells in this study. Argyrophil cells were observed in the whole alimentary tract including the esophagus and the most predominant region was the rectum with moderate frequency. The relative frequency of these cells was rare in the esophagus, fundus, duodenum, jejunum and ileum, respectively and a few frequency in the pylorus. Argentaffin cells were also observed in the whole alimentary tract including the esophagus and the most numerously demonstrated region was the rectum with numerous frequency. They were observed with a few frequencies in the remaining regions of the alimentary tract except for the rectum, respectively. However, to know the exact type of the argyrophil cells and argentaffin cells that were observed in this study, more developmental methods such as immunohistochemistry were needed.

  • PDF

자산가격결정(資産價格決定)의 생산기저모형(生産基底模型)에대한 실증적(實證的) 검증(檢證)

  • Gu, Bon-Yeol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0 no.2
    • /
    • pp.117-136
    • /
    • 1993
  • 1980년부터 1992년까지 12년간의 거시경제변수(巨視經濟變數)와 주식수익율자료(株式收益率資料)를 이용하여 한국증권시장(韓國證券市場)에서 생산기저모형(生産基底模型)에 대한 실증적(實證的) 검증(檢證)과 아울러 CAPM, APM 그리고 소비기저모형(消費基底模型)을 검증함으로써 이 모형들의 현실적인 설명력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검증에 사용된 모형은 Cochrane(1991,1992)과 BCM(1990) 및 Sharathchandra(1991)등에 의하여 유도된 생산기저모형을 기초로 하였다. 그리고 모수추정(母數推定)과 모형의 타당성(妥當性) 검증(檢證)을 위하여 수단변수(手段變數)를 사용하지않는 무조건부모형(無條件附模型)에서는 ML방법(maximum likelihood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수단변수를 사용한 조건부모형(條件附模型)의 경우에는 GMM의 추정방법에 의하였다. 검증결과, 실물자산(實物資産)의 투자수익률(投資收益率)이 주식수익률의 움직임과 관계가 높아 자산가격결정모형(資産價格決定模型)으로써 생산기저모형(生産基底模型)이 조건부모형에서나 무조건부모형에서 모두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증권시장(韓國證券市場)에 대한 현실적(現實的) 설명력(說明力)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APM과 APM은 자산가격결정모형으로써 타당성이 있었으나 소비기저모형(消費基底模型)은 모형의 추정계수인 상대위험회피계수(相對危險回避係數)가 비유의적(非有意的)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성이 기각(棄却)되었다.

  • PDF

Impact analysis of baseflow on river and ecosystem (기저유출이 하천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ang, Hyung Sik;Jun, Sang 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84-588
    • /
    • 2016
  • 기후변화와 불투수지역의 증가로 인하여 하천 유량의 변동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량에 영향을 받는 하천환경과 다양한 생태계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에 유량 관리가 매우 중요시 되어지고 있다. 하천 유량은 빗물이 지표면에 떨어져 직접하천으로 흐르는 지표유출과 지표면하의 암반층으로 침투되어 지하수가 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표로 흘러나오는 기저유출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유출은 땅속에서 흐르기 때문에 흐름이 느리다. 이에 따라 강우가 발생하지 않을 시에 하천유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기저유출의 관리는 수자원의 관리에 매우 중요할 것이다. 국내외에서도 기저유출의 관리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지표수-지하수의 연계관리를 위한 명확한 조명이 필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저유출의 분포와 지하수 의존형 수생태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기저유출의 분리는 최근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고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시계열 유량자료를 통해 기저유출을 산정한다. 기저유출의 산정을 위해 두 가지 유량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검보정된 수문모형을 통한 데이터와 국내에 존재하는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표유출과 기저유출을 분리하여 유역의 기저유출지표를 산정하였다. 기저유출지표는 총 유출량과 기저유출과의 비로 산정되는 유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기저유출과 수생태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수행하는 네 가지 수생태건강성지수와 기저유출지표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수생태건강성지수는 부착돌말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으로 구성되었다. 기저유출 산정과 수생태계와의 분석은 낙동강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낙동강유역의 기저유출을 산정하여 기저유출지표를 산정한 결과 0.4이상의 값을 나타냈다. 이는 하천의 유량 중 약 40%가 기저유출에 의존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월별 기저유출지표를 산정한 결과 강수가 적은 봄과 겨울철의 경우 0.7이상을 나타냈다. 특히 1월달의 경우 0.9이상을 나타내 겨울철 대부분의 하천 유량은 기저유출에 의존한다. 산정된 기저유출지표와 네 가지 수생태건강성지수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과의 상관성을 나타냈고 나머지에서는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이는 아직 국내에서 수생태계의 건강성 조사와 평가가 이루어진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저유출관리 방안의 정책적인 도입과 연구의 시발점이 될 것이다.

  • PDF

Late Time and Wideband Electromagnetic Signal Extraction Using Gaussian Basis Function (가우시안 기저함수를 이용한 늦은 시간 및 광대역 전자기응답 추출)

  • Lee, Je-Hun;Ryu, Beong-Ju;Koh, Jinhwa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9A no.3
    • /
    • pp.140-148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d Gaussian function as a basis of hybrid method. Hybrid method is to extrapolate late time and high frequency data using early time and low frequency data. This method takes advantages of both MOT and MOM as well as having shorter running time and smaller error. For this method a better basis function is required.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result with proposed function and conventional basis including Hermite and Laguerre polynom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