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온

Search Result 3,07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Nonlinear impact of temperature change on electricity demand: estimation and prediction using partial linear model (기온변화가 전력수요에 미치는 비선형적 영향: 부분선형모형을 이용한 추정과 예측)

  • Park, Jiwon;Seo, Byeongse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2 no.5
    • /
    • pp.703-720
    • /
    • 2019
  •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n electricity demand is increasing due to extreme weather and climate change, and the climate impacts involves nonlinearity, asymmetry and complexity. Considering changes in government energy policy and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mportant to assess the climate effect more accurately for stable management of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emperature change on electricity demand using the partial linear model. The main results obtained using the time-unit high frequency data for meteorological variable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are as follows.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change and electricity demand involves complexity, nonlinearity and asymmetry, which reflects the nonlinear effect of extreme weather. The prediction accuracy of in-sample and out-of-sample electricity forecasting using the partial linear model evidences better predictive accuracy than the conventional model based on the heating and cooling degree days. Diebold-Mariano test confirms significance of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partial linear model.

Development of Estimation Algorithm of Near-Surface Air Temperature for Warm and Cold Seasons in Korea (온난 및 한랭시즌의 우리나라 지상기온 평가 알고리즘 개발)

  • Kim, Do 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4
    • /
    • pp.11-16
    • /
    • 2015
  •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on near-surface air temperature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estimation algorithm of near-surface air temperature in Korea was developed by using spatial homogeneous surface information obtained from satellite remote sensing observations. Based on LST(Land Surface Temperature), NDWI(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and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proposed for the estimation of near-surface air temperature. The different regression constants and coefficients for warm and cold seasons were calculated for considering regional climate change in Korea. The near-surface air temperature values estimate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lgorithm showed reasonable performance for both warm and cold seasons with respect to observed values (approximately $3^{\circ}C$ root mean-square error and nearly zero mean bias). Thus;the proposed algorithm using remotely sensed surface observations and the approach based on the classified warm and cold seasons may be useful for assessment of regional climate temperature in Korea.

Analysis on Changes of Daily Temperature and Daily Precipitation in Climate Indices over Republic of Korea (기후지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일기온 및 일강수의 변화 분석)

  • Lee, Hyo-Shin;Shin, Jin-Ho;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75-15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6개 지점(강릉,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목포)에서 관측한 약 100년간(1912-2009년, 단 1950-1953년 제외)의 일최고/최저기온 및 일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로 다양한 기후지수를 산출하고 이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온 관련 기후지수로는 여름일수, 영하일수, 결빙일수, 서리일수, 열대야일수, 냉방도일, 난방도일, 일교차, 식물성장일수, 일최고/최저기온의 월최고값 및 월최저값 등을 분석하였으며, 강수 관련 기후지수로 강수량, 강수일수, 강수강도, 호우일수, 미우일수, 최고 일강수 및 5일 연속 최고 강수량, 연속건조일수 및 연속습윤일수, 극한 강수일의 강수량 등을 계산하였다. 다음은 6개 지점의 기후지수를 평균한 결과이다. 6개 지점 모두에서 최저기온의 상승률이 최고기온의 상승률보다 크게 나타남에 따라 분석기간 동안 일교차는 점차 줄어드는 경향($-0.12^{\circ}C$/10년)을 보였고, 최저기온에 근거한 기후지수인 서리일수 (최저기온이 $-5^{\circ}C$ 미만, -2.6일/10년), 영하일수(최고기온이 $0^{\circ}C$ 미만, -1.0일/10년) 등의 감소와 평균기온의 상승에 따른 성장계절길이(growing season length)의 증가(+3.53일/10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일강수와 관련된 주요변화로 미우일수(일강수량이 1 $mmday^{-1}$ 이하)는 감소(-0.75일/10년)했지만, 10 $mmday^{-1}$ (+0.32일/10년), 20 $mmday^{-1}$ (+0.27일/10년), 30 $mmday^{-1}$ (+0.25일/10년), 50 $mmday^{-1}$ (+0.17일/10년), 80 $mmday^{-1}$(+0.09일/10년) 이상 내린 강수일수는 증가하였다. 강수강도(강수량이 1 $mmday^{-1}$ 이상일 때의 강수량과 강수일수 기준)는 0.23 $mmday^{-1}$/10년로 증가했다.

  • PDF

Synoptic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Warm and Cold periods appeared at Late Autumn of Seoul (서울의 늦가을에 나타나는 온난기와 한랭기 기온변화의 종관 특성)

  • Park, Byong I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2 no.1
    • /
    • pp.1-13
    • /
    • 2017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warm and cold periods(WP, CP) of November appeared in the daily normal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Seoul for 1941~1970 and 1971~2000 and to investigate synoptic characteristics of the temperature changes of WP and CP. The WP temperatures are increased clearly(p value 0.000), the CP temperatures are also warming but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WP, there are not apparent trends corresponding the warming of WP temperature, in the Siberian High, Sea Level Pressure(SLP), 925hPa surface wind(U925, V925)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high period(1972~1979) of WP temperature, there are positive SLP anomaly and anomalous anticyclonic circulation pattern of 925hPa wind field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n the winter monsoon is weakened and the WP temperature is ascending. In CP, the Siberian high are weakening, the Hokkaido eastern low are strengthening and the westerlies(U925) over the Korean Peninsula are enlarging. So CP temperature are suppressed in rising trend or shows weak descent.

  • PDF

The Distribution of Regional Unusual Temperature Korea (한국의 지역별 이상기온의 분포 특성과 그 지역구분)

  • Heo, In-Hy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4
    • /
    • pp.461-474
    • /
    • 2006
  • This paper aims to analyz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unusual temperature events on summer and winter. The major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daily mean temperature of summer (June-August) and winter (December-February) and wind field on 850 hPa height. Regions of unusual temperature are divided into five regions by the monthly frequency of unusual temperature occurrence. The divided regions are following as: the middle east coastal region (I) where the summer unusual high temperature occurrence frequency is highest; the Gyunggi west coastal and northern middle inland region (II) where winter unusual low temperature occurrence frequency is highest and winter unusual high temperature occurrence frequency is low; the western middle and south region (III) where unusual temperature occurrence ratio is not concentrated on specific season; the forest and southern east region (IV) where unusual high temperature is low; and the south coastal and Jeju island region (V) where winter unusual high temperature is highest.

  • PDF

Analyzing the effect of global warming on the thermal stratification in Chungju reservoir (지구온난화가 충주호 수온 성층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Yoon, Sung-Wan;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33-133
    • /
    • 2012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 IPCC의 4차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 기온의 선형추세선 기울기가 $0.74^{\circ}C$/년을 보이고 있으며 21세기말 지구의 평균기온은 최대 $6.3^{\circ}C$까지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대기기온의 상승은 저수지 및 하천의 수온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데, 저수지 표층 수온 및 유입 하천의 수온을 증가시켜 저수지 수온 성층형성시기를 앞당겨 성층화 기간을 증가시키고 또한 성층강도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수온성층기간 및 강도의 증가는 심수층의 용존산소 고갈과 이에 따른 퇴적층의 영양염류 용출량을 증가시켜 저수지 수질관리에 어려움을 야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온대기후대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대형 인공 저수지는 여름철 뚜렷한 수온성층구조가 확인되고 있어 대기기온 상승이 수온성층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미래 기후변화에 대비한 저수지 수질관리 전략 수립을 위해 필요한 기초 연구라 판단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횡방향 평균 수치모형(CE-QUAL-W2)을 활용하여 대기 온도 변화에 따른 충주호의 수온분포를 모의하고 수온 성층구조의 변동경향을 분석하였다. 지구 온난화 영향 모의에 앞서 2010년과 2008년의 충주호 수문조건에 모형을 적용하여 수온 성층구조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미래 대기기온 자료는 국립기상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반도 기후전망 모의자료(RCM) 중 충주댐 유역의 평균 기온자료를 수집하여 사용하였으며, 모의연도는 2011, 2040, 2070, 2100으로 하였다. 또한, 대기기온과 유입수온 자료를 제외한 모든 입력자료는 보정년도인 2010년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대기기온 변화의 영향만을 고려하였다. 2011년에 비해 2100년의 대기기온이 연평균 $2.44^{\circ}C$ 증가하였을 때 표층수온은 평균 $1.72^{\circ}C$, 최대 $4.31^{\circ}C$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층수온은 평균 $0.36^{\circ}C$, 최대 $1.33^{\circ}C$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층구조 형성기간의 비교를 위해 표층과 심층의 수온이 $5^{\circ}C$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기간을 조사한 결과 2011년에 비해 2100년에서 5일 일찍 시작되어 11일 더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Polarization Potential Distrbution of a Steel Disc in the Water by Specific Resistance of Corrosion Circumstances (환경의 비저항을 고려한 수중 원강판의 분극전위분포에 관한 연구)

  • 김귀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17 no.2
    • /
    • pp.105-108
    • /
    • 1981
  • The oceanic effect on the climate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analysed based 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in order to study relationships between the fluctuation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that of climatic elements. Meteolorogical data from 1960 to 1979 were used. In the year when difference between the air and water temperature was maximum, the air temperature in southern coast was higher than normal year. A fluctuation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plays an important influence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the air temperature in the coastal area. Humidity of the coastal climate depends upon the oceanic effect in summer, but not in winter. This results may be due to prevailing wind effect. The oceanic effect on the precipitation in the coastal area is not found.

  • PDF

Sea Surface Temperatur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Coastal Climat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우리나라 남부해안 기후의 특성과 해면수온과의 관계)

  • 한영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17 no.2
    • /
    • pp.65-69
    • /
    • 1981
  • The oceanic effect on the climate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analysed based 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in order to study relationships between the fluctuation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that of climatic elements. Meteolorogical data from 1960 to 1979 were used. In the year when difference between the air and water temperature was maximum, the air temperature in southern coast was higher than normal year. A fluctuation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plays an important influence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the air temperature in the coastal area. Humidity of the coastal climate depends upon the oceanic effect in summer, but not in winter. This results may be due to prevailing wind effect. The oceanic effect on the precipitation in the coastal area is not found.

  • PDF

Analysis on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over Asia under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에 따른 아시아 지역의 수문기상성분 분석)

  • Kim, Jeong-Bae;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7-327
    • /
    • 2022
  • 지구온난화로 전 세계는 기후위기에 직면해있다. 특히, 아시아의 경우 복사강제력과 대규모 대기순환인 몬순이 지역기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리적 위치 및 계절에 따라 폭염, 홍수, 가뭄 등 다양한 기상이변 및 수재해 문제를 겪고 있다. 더욱이, 아시아 지역은 온난화가 심화됨에 따라 식량 및 물 안보위기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와 직결되는 기후 및 수문특성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온상승 조건을 고려하여 아시아 지역의 기후특성을 전망하고, 수문모형(VIC)을 활용하여 수문전망을 수행하였다. 미래 기후전망을 위해 적정 CMIP6 기후모델과 공통사회경제경로(SSP5-8.5) 시나리오를 활용하였다. 시나리오로부터 산출된 기온자료 및 CPC (Climate Prediction Center) 전 지구 관측 기온자료를 활용하여 산업화 이전 대비 잠재적인 전지구 기온상승(1.5℃~5.0℃) 조건을 추정하였다. 통계적상세화 기법을 적용하여 아시아 지역에 대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상세화하고, 기후구분법을 적용하여 기후대를 구분하였다. 미래 기온상승 조건 하에서 아시아 지역의 기후특성을 전망하고 기후대의 분포변화를 분석하였다. 전 지구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지역별 기후특성이 변화하였으며, 이는 기온 및 강수량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고 및 최저기온은 모든 기후대의 전 지역에서 상승하며, 이는 평균적으로 전 지구 평균 기온을 상회하였다. 강수량 및 강수일수는 대체로 증가하였으나, 기후특성에 따라 지역별 편차를 보였다. 기상성분의 변화로 기후대별 수문성분(증발산량, 유출량)은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극한 유출량의 변화경향은 모든 기후대에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지속적인 지구온난화는 아시아 지역의 수문순환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되며, 기후대별 수문기상성분의 변화는 지역의 기후특성에 따라 편차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구온난화 조건별 아시아 지역의 미래 기후 및 수문기상성분 변화 특성은 기상 및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atistically Downscaling for Projecting Climate Change Scenarios over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지역에 대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통계적 상세화)

  • Shin, Jin-Ho;Lee, Hyo-Shin;Kwon, Won-Tae;Kim, Min-J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91-1196
    • /
    • 2009
  •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미래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구기후모델(AOGCM)의 기온과 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지역에 대한 통계적 규모 상세화(statistical downsacaling, SDS)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은 Cyclostat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CSEOF) 분석과 회귀분석을 결합한 것으로 관측과 AOGCM 시계열의 통계적 상관성을 이용하고 있다. 20세기말(1973-2000) 동안의 광역규모의 기온(ECMWF)과 강수량(CMAP) 및 AOGCM의 기온과 강수량 자료에 통계적 상세화 기법을 적용하고 비교함으로써 이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는데, 상세화된 기온과 강수량 자료는 관측된 계절변동성과 월변동성을 잘 모사하였다. 특히, 여름철 관측에 비해 저평가된 AOGCM의 강수량 크기와 변동성이 상세화를 통해 관측치에 근접하게 되었다. AOGCM의 미래 강수량 변화는 21세기 후반에 계절적으로 봄과 여름에 증가할 것을 예상되었다. 상세화된 AOGCM의 강수는 겨울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특히 여름철에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AOGCM의 미래 기온변화는 21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하며, 계절적으로 겨울철의 기온 상승폭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되는데, AOGCM을 상세화한 결과에서는 겨울과 더불어 여름에도 기온 상승폭이 클 것으로 전망되었다. 개발된 기법은 역학적 결과와 관측과의 통계적 상관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역규모의 기후적 특성뿐만 아니라 한반도 지형 등 지역적 특성도 모두 반영함과 더불어 광역규모의 자료를 빠른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상세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지닌다. 한편 상세화에 사용된 CSEOF의 모드수 등에 따른 불확실성 등은 통계적 상세화 과정에 개선될 여지가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