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온변동

Search Result 35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Variations in Soil Heat Flux and Air Temperature by Net Radiation at a Mud Flat in Hampyeong Bay (함평만 갯벌에서 순복사에 의한 토양열 플럭스와 기온의 변동 분석)

  • Park, Ho-seon;Kwon, Byung Hyuk;Kim, Il-Kyu;So, Yoon Hwan;Oh, Se Bong;Kang, Dong-hwan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26 no.9
    • /
    • pp.1101-1110
    • /
    • 2017
  • In this study, we analyze changes in soil heat flux and air temperature in August (summer) and January (winter) according to net radiation, at a mud flat in Hampyeong Bay. Net radiation was observed as $-84.2{\sim}696.2W/m^2$ in August and $-79.4{\sim}352.5W/m^2$ in January. Soil heat flux was observed as $-80.7{\sim}139.5Wm^{-2}$ in August and $-49.09{\sim}137W/m^2$ in January. Air temperature was observed as $24.2{\sim}32.9^{\circ}C$ in August and $-1.5{\sim}11.1^{\circ}C$ in January. The rate of soil heat flux for net radiation ($H_G/R_N$) was 0.17 in August and 0.34 in January. Because the seasonal fluctuation in net radiation was bigger than the soil heat flux, net radiation in August was bigger than in January. We estimated a linear regression function to analyze variations in soil heat flux and air temperature by net radiation. The linear regression function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the soil heat flux by net radiation was y=0.19x-7.94, 0.51 in August, and y=0.39x-11.69, 0.81 in January. The time lag of the soil heat flux by net radiation was estimated to be within ten minutes in August 2012 and January 2013. The time lag of air temperature by net radiation was estimated at 160 minutes in August, and 190 minutes in January.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models and phenology of Hydrochara affinis (잔물땡땡이의 온도발육모형과 생물계절)

  • Yoon, Sung-Soo;Kim, Myung-Hyun;Eo, Jinu;Song, Young-J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2
    • /
    • pp.222-230
    • /
    • 2020
  •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models for Hydrochara affinis were built to estimate the ecological parameters as fundamental research for monitor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ice paddy ecosystems in South Korea. The models predicted the number of lifecycles of H. affinis using the daily mean temperature data collected from four regions (Cheorwon, Dangjin, Buan, Haenam) in different latitudes. The developmental rate of each life stage linearly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rose from 18℃ to 30℃. The goodness-of-fi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models of each life stage. Unlike the optimal temperature, the estimated thermal limits of development were considerably different among the models. The number of generations of H. affinis was predicted to be 3.6 in a high-latitude region (Cheorwon), while the models predicted this species to have 4.3 generations in other reg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to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estimating climate change effects on lifecycle variations of H. affinis and studies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rice fields.

East Asian Precipitation and Circulation Response to the Madden-Julian Oscillation (매든-줄리안 진동의 위상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의 강수와 순환의 변동성)

  • Han, Sang-Dae;Seo, Ky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3
    • /
    • pp.282-293
    • /
    • 2009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adden-Julian oscillation (MJO) or the Intraseasonal Oscillation (ISO) on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circulation anomalies over East Asia according to the eight different MJO phases during the winter and summer seasons. A nonlinear response appears the wintertime precipitation pattern during the phase of 3 (where the MJO center is located over the Eastern Indian Ocean) and 8 (where the MJO center is located over the Western Hemisphere) over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for these phases, the positive precipitation anomalies appear for the MJO intensity less than 2 standard deviations while the negative precipitation anomalies appear in the case of the MJO intensity greater than 2 standard deviations. The negative precipitation anomaly in the latter case is duandard d stronger anomalous anticyclone formed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cold and dry advection by northerly winds. The response of precipitation and circulation to the boreal summer ISO is also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Korean Monthly Temperature During Summer and Eurasian Snow Cover During Spring (우리나라 여름철 월별 기온 변동성과 유라시아 봄철 눈덮임 간의 상관성 분석)

  • Won, You Jin;Yeh, Sang-Wook;Yim, Bo Young;Kim, Hyun-Kyung
    • Atmosphere
    • /
    • v.27 no.1
    • /
    • pp.55-65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urasian snow cover in spring (March and April) is associated with Korean temperature during summer (June-July-August). Two leading modes of Eurasian snow cover variability in spring for 1979~2015 are obtained b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EOF) analysis. The first EOF mode of Eurasian snow cover is characterized by a zonally elongated pattern over the whole Eurasian region and its principal component is more correlated with Korean temperature during Jun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OF mode of Eurasian snow cover is characterized by an east-west dipole-like pattern, showing positive anomalies over eastern Eurasian region and negative anomalies over western Eurasian region. This dipole-like pattern is related with Korean temperature during August. The first leading mode of Eurasian snow cover is associated with anomalous high (low) pressure over Korea (Sea of Okhotsk) during June, which might be induced by much evaporation of soil moisture in Eurasia during March.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ode of Eurasian snow cover is associated with a wave train resembling with Eurasian (EU)-like pattern in relation to the Atlantic sea surface temperature forcing, leading to the anomalous high pressure over Korea during August. Understanding these two leading modes of snow cover in Eurasian continent in spring may contribute to predict Korean summer temperature.

A Study on the Method of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 PDSI (팔머가뭄지수의 잠재증발산량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Moon, Jang-Won;Lee, Dong-Ryul;Kim, Joong-Hoo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38-438
    • /
    • 2011
  • 팔머가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는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제안된 최초의 포괄적인 가뭄지수라 할 수 있다. 가뭄을 단순히 하나의 기상인자로만 판단하려 한 것이 아니라 수문순환 과정 속에서 여러 가지 요소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 결과로 인식하고 이를 가뭄지수 산정 과정에 고려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PDSI는 가뭄뿐만 아니라 습윤상황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분수지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양량, 유출량, 토양수분량의 정보는 그 자체로서도 분석 대상 지역의 수분상황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PDSI는 방법론상의 여러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가뭄의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가뭄 정량화를 위한 새로운 가뭄지수 개발 시 적합성의 비교 기준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PDSI에서 고려하고 있는 기상 및 수문학적 조건이 우리나라의 상황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미흡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자료를 이용하여 PDSI를 산정하였다 할지라도 지수 산정 과정에서 고려하고 있는 기상 및 수문특성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산정된 PDSI가 나타내는 가뭄상황과 실제 우리나라의 가뭄상황은 다를 수 있다. 특히 PDSI 산정 과정에서 잠재증발산량 산정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는 월열지수법은 방법의 한계로 인해 우리나라와 같이 동절기 평균기온이 0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증발산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실제 증발산 발생 양상과 비교할 경우 크게 차이가 나는 점이라 할 수 있으며, 강수량과 증발산량의 관계에 대한 검토로부터 지수 산정 과정이 시작되는 PDSI에 있어 이러한 오차는 결과의 신뢰성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PDSI에서 이용하고 있는 월열지수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잠재증발산량 산정 방법의 변경에 따라 산정된 PDSI의 변동 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지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PDSI의 활용에 있어 유용한 정보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Climate Literacy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Keeling Curve Activities Highlighting Inquiry Process (초등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Keeling Curve) 활동을 중심으로)

  • Son, Ju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9 no.3
    • /
    • pp.292-30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keeling curve activities highlighting inquiry process on elementary students' climate literacy. Most of the students have not been able to correctly understand just how serious phenomenon that the temperature rise of the last 100 years is. As a result, there is educational limitations in order to bring about a substantial change in the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So the development program was applied to various questions and explored strategies in order to compare with past climate change data. The results described that 46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domain, critical thinking of affective domain and practical domain.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eachers' instructional perspectives and students interview, they supported the researcher's opinion that the developed program could help students improve the climate literacy.

Non Working Day Estimation in the Construction Project in Cheongju and Chungju Region Considering Weather Condition (기후조건에 따른 청주지역의 작업불능일 산정)

  • Baek, Dae-Hyun;Han, Min-Cheol;Han, Cheo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558-561
    • /
    • 2007
  • In this paper, non working day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in Cheongju and Chungju region considering weather condition was estimated. In Cheongju region, non working day for outside and half outside work was 157days and for interior work 144days. For Chungju region, non working day for outside and half outside work was 160days and for interior work 144days. Non working day affected by temperature was 144 days at both Chungju and Cheongju. Non working day due to low temperature was 109 days and it due to high temperature was 45 days for Choengju. In Chungju, it was 11Sdays for cold weather, while it due to hot weather was 29 days.Non working day due to rainfall was 23 days at both region. To reduce the deviation between estimated non working days and measured ones, proper selection of the duration is required.

  • PDF

Evaluation of Dam Inflow Predictability Using Hybrid Seasonal Forecasting System (하이브리드 계절예측 시스템을 이용한 댐 유입량 예측성 평가)

  • Cho, Jaepil;Kim, Chul-G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27
    • /
    • 2017
  • 신뢰성 있는 수개월 선행시간의 댐 유입량 예측은 가뭄 상황으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효율적인 댐 운영을 위해 필수적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의 경년 및 계절 내 변동성이 증가됨에 따라서 기존의 과거 통계치를 이용한 댐 운영 의사결정은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최근 엘리뇨-남방진동(ENSO) 등의 전구기후지수와 지역수문기후와의 원격상관성을 활용하여 수개월 이후에 대한 수문조건을 통계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매월 제공되는 역학적 예측모형으로부터 생산된 월단위 예측정보를 유량예측을 위한 유역모형에 활용하기 위하여 편이보정 및 상세화 기법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유입량 예측을 위해 SWAT 모형을 선정하였고 최장 6개월 선행 강수량 및 기온의 예측을 위해서 하이브리드 계절예측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이 시스템은 전지구역학적 예측모형의 자료를 편이보정을 거쳐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단순 편이보정(Simple Bias Correction, SBC) 방법에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예측자료를 생산하는 전구기후지수 기반의 Climate Index Regression (CIR), 실시간 재분석자료 기반의 Observation-based Moving Window Regression (MWR-Obs), 역학적 예측모형의 예측자료 기반의 Moving Window Regression (MWR) 방법을 통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충주댐을 대상으로 우선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SWAT 모형을 검 보정한 후, 관측기간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의한 예측 기상자료를 적용하여 모의된 댐 유입량과 관측 유입량과의 비교를 통해 예측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후정보를 활용하여 댐 유입량 예측에 있어서 예측성을 높이고자 시도되었으며, 도출된 결과는 향후 충주댐 운영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improving techniques for watershed water cycle using downscaled climate prediction (상세화 기후전망자료를 활용한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 적용 및 평가)

  • Jang, Cheol Hee;Kim, Hyeon Jun;Cho, Jae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34-334
    • /
    • 2019
  •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가용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평가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지역기후 및 유역특성에 적합한 결과를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기후변화가 유역의 물순환계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면, 물순환 개선 기술을 통해 지속가능한 유역 물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은 기후변화가 진행 중에 있거나 예상되는 지역에 대하여 강우로부터 발생되는 유출을 지연, 저류, 침투시켜 지속가능한 물순환 체계를 유지하고 회복하도록 하는 기법이라 할 수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 적응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실무적인 유역 물순환 개선 및 평가 모형인 CAT3(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3)을 개발하였으며 본 모형은 침투시설, 저류시설, 습지, 빗물저장시설과 같은 물순환 개선시설에 대한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 상류의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APCC 기후변화 시나리오 통계적 상세화 자료를 활용하여 물순환 개선 기술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통계적 상세화 자료는 APCC에서 개발된 AIMS(APCC Integrated Modeling Solution) 플랫폼을 이용하였다. AIMS는 다양한 기후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관점에서 상세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화 기법은 SDQDM(Spatial Disaggregation Quantile Delta Mapp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상세화된 기후자료는 과거자료의 재현성 및 미래 기간에 대한 왜곡도를 평가하기 위해 극한기후지수(Climate Index)를 이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친 수자원가용량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해 연강수량(PRCPTOT)을 사용하였으며 증발산량의 평가 및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관련 극한기후지수는 평균기온 개념의 DTR(TMAX&TMIN)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상세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HadGEM2-CC, INMCM4, CanESM2 시나리오를 선택하였으며 각 시나리오별 물순환 개선 기술을 적용한 후 미래의 수문학적 변동성을 평가하였다.

  • PDF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in Cheongmi basin under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청미천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추정)

  • Son, Minwoo;Kim, Sang Ug;Chung, Eun-Sung;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2-572
    • /
    • 2016
  • 청미천 유역은 다양한 수계로 구성된 대유역에 해당되며 농업 및 공업활동에 따른 오염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이 가지는 특성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 및 분석한다. 비점오염원의 모의를 위해서는 SWAT 모형이 이용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로는 RCP4.5 및 RCP8.5 시나리오가 적용된다. SWAT 모형은 유역 모의를 위한 모형으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의 장기간 모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조건의 토양 및 토지이용 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강유-유출모형과 수질모형 등을 GIS와 연계한 호환모형을 이용하며 유출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거동을 해석하고자 한다. SWAT 모형을 이용한 모의를 위해 필요한 매개변수는 관측소 현황, 강우, 기온, 습도, 일사량, 풍속 등이다. 이중 일사량에 대한 정보를 가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고 나머지 매개변수는 청미천 유역의 특성치를 조사하여 입력하였다. 청미천 유역의 수질 오염원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시설용량이 일정 크기 이상인 하수처리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정보가 모의시 검토되었다. 청미천 유역 전체 오염원에 대한 점오원의 비율을 검토한 결과 홍수기에 점오염원의 영향이 낮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홍수기에 불특정 지점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의 기여도가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소규모 산업단지의 배출량 등에 대한 자료가 보완될 때 보다 신뢰성 있는 모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총질소와 총인의 경우에도 하계 홍수기에 크게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유물질의 경우는 그 변동 폭이 다른 항목에 비해 크게 나타나며 9월에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보다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점오염원을 포함하여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구축되는 과정 역시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