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업 성과

Search Result 13,08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Yu, Jeong-Heon;Bae, Byeong-Yun;Jeon, Gi-S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93-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성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KIDP의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제품 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이 27.5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에서는 대기업과 중기업에 비해 소기업이 제품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 요소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위해 수집한 데이터의 업종별 추이를 살펴보면 기술 기반 업종이 도 소매업을 비롯한 기타 업종에 비해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려운 경영여건에서도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KIDP로부터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을 받은 기업 중 186개(2013년, 2014년, 2015년)를 대상으로 업력이 7년 이하인 창업기업과 업력이 7년 이상인 계속기업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기업 중 디자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의 경영성과(매출액)의 차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KIDP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효과가 있는지를 선정연도를 전후 비교하여 "창업기업이 계속기업에 비해 경영성과(매출액)에 더욱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는 창업기업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제조업과 창업기업 내의 제조기업 경영성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토빈 Q를 이용한 합병효과분석

  • Oh, Hyeon-Ta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163-181
    • /
    • 1998
  • 본 연구는 Tobin-Q 비율(이하 토빈 Q, 또는 Q)을 이용하여 합병제의기업과 피합병대상기업을 합병전 경영성과의 우열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 집단별 초과수익률을 측정 검증함으로써 합병전 후의 합병관련기업의 합병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합병제의기업과 피합병기업 모두 합병 공시 후 양의 초과수익률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병제의기업은 토빈 Q가 낮을수록 합병성과가 크게 나타났고, 피합병대상기업은 토빈 Q가 높을수록 합병성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합병제의기업과 피합병대상기업의 토빈 Q를 동시에 고려한 경우에는 합병제의기업의 Q가 높고 피합병대상기업의 Q가 낮으면, 합병성과가 작았고, 합병제의기업의 Q가 낮고 피합병대상기업의 Q가 높으면 합병성과가 높게 나타난다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영성과가 좋은 합병제의기업이 대체적으로 이득을 보지만, 경영이 부실한 피합병대상기업을 인수할 때 더 많은 이득을 본다는 Lang, Stulz, Walkling(1989)의 연구결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또한 경영성과가 나쁜 기업을 합병함으로써 보다 많은 합병가치 창조가 가능하다는 Servaes(1991)의 연구결과와도 상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합병이 대개는 계열그룹내, 또는 지배회사와 피지배회사간의 합병이 주류를 이루고, 세법상 합병기업의 손실은 승계되지만 피합병기업의 손실은 승계되지 않으므로 형식상 합병제의기업과 피합병대상기입이 뒤바뀌는 경향이 많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추정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everage in Unliste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비상장.비등록 중소기업의 재무레버리지 결정에 관한 연구)

  • Kim, Moon-Kyum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9 no.1
    • /
    • pp.33-66
    • /
    • 2002
  • 본 연구는 기존의 재무관리이론과 중소기업이론의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자본구조를 결정하는 재무적 제 요인을 비상장 비등록 중소기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자본구조결정이론이 제시하는 변수 외에 중소기업의 고유요인으로 경영자위험과 업력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중소기업의 재무레버리지 사용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담보가치, 성장성, 업종, 기업규모, 수익성, 그리고 중소기업고유요인으로 설정된 경영자위험의 여섯으로 나타났다. 담보로 사용할 수 있는 고정자산의 비중이 크며 성장성이 높고 기업규모가 큰 제조업을 하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하여 부채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익성이 높아 사내유보를 많이 한 기업, 현금흐름이 불안정하여 경영자의 통제권에 대한 위험이 높은 기업은 부채를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 단기부채의 사용에 따른 재무행태의 차이점 분석에서는 장기에 걸쳐 결정되는 담보가치와 기업규모 변수는 단기차입금의 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중소기업은 경영자위험을 단기차입금이 아닌 장기차입금의 축소를 통하여 헤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형태별로 즉, 법인기업과 개인기업으로 나누어 재무레버리지 결정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는데 개인기업은 법인기업에 비하여 그 행태가 매우 단순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기업의 장기차입금 모형에서 의미 있는 변수로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담보가치, 기업규모의 두 변수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개인기업의 단기차입금 분석에서는 유의적인 변수를 찾을 수가 없었다. 이러한 사실은 개인기업이 규모의 절대적 왜소와 경영능력의 열악함으로 재무레버리지의 사용에 있어서 법인기업에 비하여 불리한 위치에 있음을 의미하며, 같은 이유로 개인기업에 대하여는 재무레버리지 결정에 대한 논리적 설명이 일정 부분에서는 불가능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PDF

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and job performance (기업정보포탈과 직무성과와의 관계)

  • 이동만;강영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3.05a
    • /
    • pp.219-239
    • /
    • 2003
  • 지난 몇 년간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기업 환경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중 하나가 전자적인 형태로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양의 급증이라 할 수 있다. (Martin White, 2000 : 신학철, 2001) E-business 환경에서 이처럼 정보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은 기업의 주요 경쟁원천이 되고 있다. 정보의 중요성을 깨달은 기업들은 운영효율성 증가를 위해 백오피스시스템과 프론트오피스시스템 등에 많은 투자를 했다. (안승용, 2001) 하지만 새로운 정보시스템 도입 시 레거시시스템과의 통합을 고려하지 않아 업무효율성 향상을 위한 정보기술이 역으로 업무수행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Jaydip, 2002) 예컨대 기업의 각 시스템간에 정보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필요한 정보 역시 기업내 여러 시스템에 산재되어 있어 정보의 이용 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각 시스템에 산재해 있는 정보사용의 효율성을 놀이기 위해 기업 내 다양한 정보시스템간 통합의 필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이전까지 분산 환경이던 IT환경이 점차 기업정보포탈(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EIP)같은 통합 환경으로 바뀌게 되었다. (KRG Report, 2002) EIP는 현재와 E-business를 준비하는 기업에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현재 IBM, MS 같은 글로벌 기업 뿐 아니라 다수의 국내 업체들도 통합 솔루션 시장 진출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IP의 개념을 살펴보고 기존의 정보시스템과 EIP 관련 연구를 기반으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EIP의 성과를 시스템 품질과 정보품질로 측정하여 이들 요인이 EIP사용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EIP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EIP성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EIP를 도입하거나 구현중인 기업에게 적합한 경영관리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iv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Focus Daedeok Innopolis Research Institutes (공공 R&D 기관의 효과적인 기술사업화에 관한 연구 - 대덕특구 연구소기업을 중심으로 -)

  • Yang, Young-Seok;Choi, Jong-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232-236
    • /
    •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대덕특구내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2006년부터 도입한 연구소기업 제도가 연구소기업의 성과창출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은, 첫째 현 단계 연구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현재 지정된 16개 연구소 기업중 일부인 5개 표본 연구소기업의 경영성과를 재무요인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연구소기업의 설립 및 운영제도에 대해 기술사업화 성과제고 측면에서 그 효과성을 평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연구소기업의 설립과 운영과정이 실질적인 기업성과를 창출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양적성과 중심의 제도개선 보다는 효과적인 연구소 기업 기술사업화 모델이라는 소프트웨어적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됨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연구소기업 기술사업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대덕특구 내 설립된 연구소기업이 당초 의도했던 기술사업화 성과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더 나아가 향후 창출될 연구소 기업의 선정, 평가, 지원 등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평가한다.

  • PDF

The Long-run market Performance of Initial Public Offerings and Earnings Management (최초공모주의 장기성과와 이익관리)

  • Kim, Young-Kyu;Kim, Yong-Hee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2
    • /
    • pp.71-98
    • /
    • 2000
  • 본 연구는 1988년 6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상장된 267개 최초공모주 를 대상으로 3년간 성과를 분석하고 그리고 이들 기업들이 채택한 이익관리방법에 따라 성과에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누적초과수익률(CAR)로 추정한 최초공모주의 장기성과는 양(+)의 초과성과를 매입보유초과수익률(BHAR)로 추정한 경우에서는 저성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공개기업의 이익관리방법에 따라 성과에 차이가 나는지를 보기위해 표본기업 267개 기업중 기업의 결산시점이 달라 분석이 어려운 기업들을 제외한 후 219개 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누적초과수익률(CAR)과 매입보유초과수익률(BHAR)로 분석한 결과, 두 모형 모두에서 기업의 이익을 공격적으로 관리한 기업(DCA2)의 성과가 이익을 보수적으로 관리한 기업(DAC1)의 성과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대해 명확한 해석을 내리기에는 기업의 제반환경 및 여건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어려움이 따르나 고려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로 최초공모주 기업들이 공개에 앞서 기업성과를 과대계상하거나 또는 매출액 및 이익부풀리기 등과 같은 분식회계처리방법이 한 요인이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PDF

The Analysis of Management Performance and Governmental Support Policy for SMB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과 기업성과 분석)

  • Oh,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126-128
    • /
    • 2009
  • 한국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을 분석하고 기업의 성과 분석을 통해 지원 정책의 유효성을 연구하였다. 중소기업의 지원 정책 과제를 창의와 혁신주도의 역동적인 중소기업군 육성, 기술경영혁신 활동 및 협력활동 강화, 자금 인력 판로 등 성장기반 구축 등 3가지로 분류한 후 기업의 성과(사업성과, 기술성과, 정책만족)와 비교하여 정책의 영향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가 추진하는 중소기업 정책에 대한 기업의 성과의 특징은 자금 지원 분야였다. 전체 24개 측정 변수에서 연구 결과 중 가장 유의미한 변수로 선정된 5개 변수는 1)벤처,이노비즈,경영혁신형기업 육성, 2)지식기반서비스 육성자금 지원, 3)기술 연구개발 지원, 4)경영안정자금 지원, 5)공공부문의 중소기업 판로 지원이었다.

  • PDF

Effects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in Their Business Performance;Focused on Business Incubator Company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기업가의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Lee, Yun-Jae;Kim, Hong;Lee, Yong-G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389-413
    • /
    • 2006
  •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기업가를 대상으로 기업가의 심리특성과 역량특성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 기업가의 심리특성(성추욕구, 위험감수성향)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가의 역량 특성 중 기회인지 능력과 네트워크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기업가의 특성이 기업성과에 실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에 창업보육센터에서는 입주기업 기업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종 지원서비스를 계획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

The Effects of Venture Business Finance Supporting Programs on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Venture Firms Using Data Envelope Analysis (자료포락선분석을 활용한 벤처기업 자금지원정책의 기업 효율성 및 생산성 효과 분석)

  • Kim, Hong Kee;Yoo, Jin Man;Oh, Keun Yeob
    •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 /
    • v.38 no.3
    • /
    • pp.165-184
    • /
    • 2016
  •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effects of venture business finance supporting programs on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venture firms, on the basis of the data envelope analysis (DEA) using data of 406 firms in the 2013 Venture Business Detailed Survey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finance supported venture firms is higher than that other venture firms.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in venture firms enjoying government supporting programs is higher than that in venture business without government supporting programs, especially in the technical progress rather than in efficiency improvement. Also the R&D supporting programs for venture firms lead to an increase in productivity. Taking the above results into consideration, government's venture supporting programs are evaluate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an increase of productivity and the proper scope for fragile venture firms.

A Study on Moderating Role of Business Incubating Service in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Performance (기업가특성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창업보육서비스의 조절역할에 관한 연구)

  • Lee, Yun-J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5
    • /
    • pp.1428-1445
    • /
    • 2008
  • This study focuses on examination a) of impacts of entrepreneu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business performance (need fur achievement and risk-taking propensity), b) of impacts of entrepreneur's competency characteristics(vision, opportunity recognition, social deftness, frequency of networking and reliability) on business performance, and c) of controlling impacts of business incub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y) and business performance. According to a study, among entrepreneu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need for achiev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whereas risk-taking propensity i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addition, among entrepreneurs' competency characteristics, vision, social deftness, and network reliability have no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whereas opportunity recognition and frequency of network have an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need for achievement has a negative impact on controlling business incubator services. Business incubator servi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 network reli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