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업 마케팅 모형

Search Result 22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Comparison of Manufacturing Firms and Service Firms Using a Marketing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마케팅성과모델을 이용한 제조기업과 서비스기업의 비교)

  • 윤성준;최계봉
    • Asia Marketing Journal
    • /
    • v.4 no.4
    • /
    • pp.28-50
    • /
    • 2002
  • 본 연구는 마케팅성과에 대한 Kotler의 접근법을 원용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제조기업과 서비스 기업들의 마케팅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발견하고 경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조 분야에서 10개 기업, 서비스 분야에서 9개 기업을 각각 선정하여 전체 19개 기업의 마케팅 성과의 수준을 평가해 보았다. 확인요인분석 결과 제조기업의 마케팅 성과요인으로는 마케팅 인력, 마케팅 조직, 마케팅 전략이 추출되었고 서비스기업의 요인으로는 마케팅 인력, 마케팅 정보, 고객지향성, 마케팅 전략이 추출되었다. 5개의 마케팅성과요인과 제품력, 유통력, 판촉력, 가격력으로 구성된 마케팅역량, 그리고 고객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할 목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축하고 관계들에 관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제조기업은 마케팅인력, 마케팅 조직, 마케팅 전략의 세 요인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 기업에서는 마케팅 인력, 마케팅 정보, 고객지향성, 마케팅 전략의 4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각 요인의 평균치 분석결과, 서비스기업이 제조기업에 비해 마케팅성과 영향요인, 마케팅역량과 고객만족에서 모두 우세하게 나타났다.

  • PDF

기업의 시장 선정에 있어 다목적계획모형의 적용

  • Jeong, Hui-Ji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4
    • /
    • pp.173-196
    • /
    • 1999
  • 현대의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총족시켜야 하는 기업으로서는 기업성장에 관련된 전략을 끊임없이 수립하여야 한다. 특히 기존 시장 및 새로운 시장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욕구 및 기업의 목적 등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가를 반드시 평가하여야 한다. 효과적인 시장의 선정은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시장을 유지하게 할 뿐 아니라 기업의 가용자원을 사업과정에서 할당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시장 평가와 선정을 위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기존 시장선정모형에서는 시장 성장률, 판매 수익, 현금 흐름 등과 같은 속성들의 단일 목표에 대한 최적해를 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은 여러 상충하는 목적들을 동시에 고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 적합한 다목표 지향적인 수리모형 구축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제공되는 데이터의 불명확성과 여러 목적들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의사결정자의 열망수준과 그 만족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퍼지집합을 적용한 3 유형의 다목적계획모형을 제시하였다. 최소연산자 모형, 가중치 다목적계획 모형 및 선제우선순위 다목적계획모형의 구축 후, 설례를 통해 그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Supporting-Platform of International Marketing for SME's early export performance (중소기업 수출마케팅 지원 플랫폼(Platform)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조기 수출성과 창출을 위한 마케팅 플랫폼과 활용 사례 -)

  • Shin, Youn-Sik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7 no.1
    • /
    • pp.57-85
    • /
    • 2015
  • This paper is a study on export support system that a small company can make the export performance early in the overseas market and also can enhance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ies. The model is solved to operational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xport support program, and it contained a further support action 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the program. We want to create a Smart-Platform(Export Power Double Plus-Platform: EPDP)that we can improve the export capability of SMEs in the short term. The model will be very useful to export support agencies as an integrated support platform that supports the international marketing of the korean SMEs. And added some case studies of SMEs in Daejeon city.

  • PDF

A study on the portal model of collaborative commerce (협력상거래 포탈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안요찬;임창인;서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353-36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들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경영, 자금, 기술, 마케팅, 물류 등 Total Solution 차원의 중소기업지원시스템 중 마케팅ㆍ유통과 관련 협력상거래(collaborative commerce)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결합되어 대전ㆍ충남 중소기업간의 협력, 제휴를 지원하고, 나아가 대기업, 학계, 벤처캐피탈들이 참여하여 교류할 수 있는 정보공유와 만남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협력상거래 포탈 사이트를 구축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ㆍ구축하고자 한다. 협력상거래 포탈의 기술적 정의는 중소기업간에 인터넷을 통하여 마케팅ㆍ유통과 관련한 기업핵심정보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인 협업 전자상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모든 기술적 요소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협력상거래 포탈의 협업적 프레임워크 기능 요구사항은 \circled1Integration of product & process information, \circled2Extensibility and flexibility of framework, \circled3Platform independence, \circled4Interdependence and modularity of services, \circled5Interoperability among services, \circled6Accessibility of legacy system(ERP, SCM, CRM) 등이다.

  • PDF

The Effects of Anticipated Benefits from Introducing e-business Activities by Traditional Shipping and Port Logistics Firms on Their Performance in Marketing Mix and Global Competitiveness (항만물류기업의 온라인 비즈니스화를 통한 마케팅 경쟁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 Yi, Jun-Sub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2 no.5
    • /
    • pp.183-200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ical anticipated benefit factors of introducing online business activities by traditional brick-and-mortar shipping and port logistics companies and their performance in marketing mix and global competitiveness. Three major benefit factors were derived including improved trust, information acquiring and limitation of offline business activities. The three empirically derived critical synergy factors were then used to examine how they improve the firms performance in marketing mix and global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show that the anticipated benefit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firms' performance in marketing mix. Subsequently, marketing mix significantly influence the firms' global competitiveness. The results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the shipping and port logistics firms to develop appropriate marketing mix strategies to improve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 PDF

A study of Key Success Factors in New Product Development -Focused on Korean Cosmetic Industry- (신제품개발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서성한;조서환
    • Asia Marketing Journal
    • /
    • v.2 no.3
    • /
    • pp.64-89
    • /
    • 2000
  • 기업의 사활은 신제품개발의 성공여부에 달려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국내에서의 신제품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는 그 기반이 미흡한 실정이다. 고로, 본 연구의 목적은 신제품 성공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성공요인간의 관계를 유추해 보는 것으로 한다. 본 연구논문은, Day & Wensley 의 SPP(Source-Position-Performance)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시장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 개 기업에서 총 159 부를 수집하여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마케팅 능력이 직접적으로 제품차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과 둘째, 임직원 몰입도가 부서간 통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셋째, 기술 능력이 단순히 뛰어나다 해서 제품을 차별화 시킬 수는 없다는 사실과 넷째, 부서간 통합정도가 직접적으로 제품차별화롤 가져올 수는 없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부서내 커뮤니케이션의 부족 및 부서간 갈등 둥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차별화가 신제품 성과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철저한 시장 특성 및 동향을 파악하여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기술 능력이 회사마다 평준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정확한 소비자 조사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신제품개발이다. 또한 신제품개발과정에서 최고경영자 및 마케팅 담당자들은 주관적인 판단보다는 기업의 마케팅 능력에 따른 객관적인 판단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특히 화장품시장에서는 브랜드마케팅에 의해 더욱 차별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단순한 제품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이 마케터의 역할이다. 기업은 단순히 제품만을 파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제품이상의 것을 판다, 그래서 소비자의 마음속에 정확하게 자사 제품을 포지션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 PDF

The Impact of Brand Management System and Marketing Mix Activities on Brand Performance (브랜드경영시스템과 마케팅믹스활동이 브랜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 Byoung-Tak;Lee, Jin-Yong;Park, Seong-Yong;Lee, Jae-Hyu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15 no.2
    • /
    • pp.71-97
    • /
    • 2005
  • Previous studies on brand performance have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topics of how marketing activities influence brand awareness and image only from a perspective of consumers and of how much brand awareness or image is related to brand performances. This study, unlike previous ones,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analyzes empirical data from a perspective of firms. We extend previous work by conside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brand management system and marketing mix activities on the relation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performance using a data set of marketing or brand managers in 1000 firms. The results show that firms possessing higher levels of brand management system, marketing mix, market orientation exhibit superior brand performance. Besides, brand management system and marketing mix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performance. This study also offer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current findings.

  • PDF

A Study of the Fengshui Marketing Model in the Housing Industry (주택산업의 풍수마케팅 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 Kim, Jong-Seop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
    • v.10 no.5
    • /
    • pp.29-36
    • /
    • 2012
  •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Fengshui-based marketing model that companies engaged in selling dwelling spaces can utilize to increase their sales. The study is based on an investigation of appraisal statements and analysis techniques used in Fengshui. The Fengshui marketing model can be used for corporate advertising, sales promotions, public relations events, and for framing an overall marketing strategy according to changing consumer demand. As a sales promotion strategy, it can be used to influence consumer psychology and behavior.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all-pervasive advertising and marketing of houses by construction companies under installment plans, the Fengshui marketing method can also be used for the sale of store locations, space for product display, and so on. Initially, I analyze living spaces according to traditional Fengshui theory, and subsequently apply the modern method to study topographical space structures and geomagnetism disturbances. I present a standard form for writing the Fengshui appraisal statement based on the objective analytical method of Fengshui. With its shortcomings remedied, the appraisal statement can lead to high-quality advertising and increased valuations because it is based on objective data analysis and systematic evaluation of houses. In brief, I have designed the Fengshui marketing model as a sales promotion technique for the housing industry. I believ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pplication of Fengshui in the housing industry's sales promotion efforts through high-quality advertising. Future research should evaluate Fengshui marketing in the housing industry based on case studies. Research questions to be addressed could include how Fengshui marketing has affected installment sales of houses and how Fengshui architectural practices affect general well-being. These studies would help propagate Fengshui marketing by validating its effectiveness. In addition, case studies should be undertaken to consider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Fengshui marketing, how it can contribute to maximizing a company's image and profits, and how it can promote customer satisfaction.

  • PDF

농업경영체의 내부마케팅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SNS 활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Hyeon-Ju;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55-160
    • /
    • 2020
  • 본 연구는 농업경영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SNS 활용을 조절변수로 하여 내부마케팅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내부마케팅요인을 교육훈련, 커뮤니케이션으로 및 보상시스템으로 구분하고 기업성과를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의 하위변수로 설정하였다. 농업경영체 종사자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349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0과 Process macro v3.4를 사용한 분석결과는 첫째, 커뮤니케이션과 보상시스템은 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교육훈련은 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커뮤니케이션은 비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교육훈련은 비재무적성과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보상시스템은 비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활용은 내부 마케팅요인과 재무적성과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활용은 내부마케팅요인과 비재무적성과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농업경영체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마케팅요인을 발굴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후속 연구로는 매개변수의 발굴로 형성된 매개모형에 대한 연구와 추가로 매개변수가 도입된 조건부과정 모형을 통한 조절된 매개분석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