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업연속성계획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tinuity of Operation Planning Framework - Focusing on High Level Structure - (기능연속성계획 프레임워크 개선 방안 연구 - HLS 기반 중심으로 -)

  • Lee, Young-Jun;Kim, Jae-Hak;Lee, Mi-Su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63-264
    • /
    • 2022
  • 2010년부터「기업재해경감법」에 따라 기업재난관리표준으로 기업재해경감 우수기업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하지만 「기업재해경감법」이 자율로 되어 있어 민간기업 스스로가 이 제도를 도입하여 실행하는 문화가 정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처럼 새로운 제도 시행을 하기 전 공공분야에 적용하여 효과성이 검증되면 민간으로 확대한다. 따라서 재난관리책임기관이 기능연속성계획을 수립하게 되면 의무화가 되지 않은 민간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기수립 되어 있는 기능연속성계획의 성숙도 측정이 어렵고 평가체계를 도입하기 위한 후속 정책 지원을 위하여 HLS 기반의 프레임워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irections to Unify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and Disaster Reduction Activity Plan through Improvement of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기능연속성계획과 재해경감활동계획의 일원화를 위한 기업재난관리표준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Cho, Jong-yeu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85-18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세우는 "기능연속성계획"과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자율적으로 수립하고 있는 "재해경감활동계획"에 대한 일원화를 위한 「기업재난관리표준」에 대한 개정안의 구성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기업재난관리표준」의 미비점들을 도출하고, 해당 미비점을 바탕으로 「기업재난관리표준」의 목차에 대한 사전적 개정안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Optimal Disaster Reduction Program for Industrial Disaster Early Response (산업체 재난 조기대응을 위한 최적재해경감방안 연구)

  • Lee, Keu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211-215
    • /
    • 2010
  • 본 연구는 아직 초보수준인 국내기업의 업무연속성 유지를 위한 재해경감 활동계획 수립 및 실행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조기대응체계 구축을 통하여 어떠한 재난에도 안전을 기할 수 있는 기업 연속성 유지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내 재난관리 표준으로 채택된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관리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고, 국내기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실행지침을 제시하였으며, A기업을 대상으로 재해경감활동계획수립 및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관리의 가이드라인 5단계 주요 절차 중 계획수립단계의 위험 평가, 영향분석, 예방경감계획 및 대응관리계획 수립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국내 재해경감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재난대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기술 부분도 제시하였다.

  • PDF

BCMS-based Case Study of COVID-19 Pandemic Response : Focusing on Electric Energy Utility Company (BCMS 기반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사례 연구: 전력에너지 공기업 중심)

  • Lee, Seung-Kyun;Kim, Duck-H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75-177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업무연속성계획의 가동 경험을 분석하여 체계를 개선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을 일으킨 대유행병으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 업무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력에너지 공기업은 위기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필수 대응 사례를 분석하여 업무연속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근무환경 분리, 핵심인력 확보, 비상대응 업무계획 수립 등 다양한 대책을 시행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력에너지 공급업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이러한 대책들은 효과적으로 시행되었고, 감염병 재난관리에 대한 매뉴얼로 활용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Optimum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to Establish the Early Counter System on the Industrial Accidents (산업체재난 조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최적 재해경감활동 방안 연구)

  • Lee, Keun-Jae;Yoon, Myong-O;Lee, Won-H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2
    • /
    • pp.9-20
    • /
    • 2010
  • This study indicates direction on establishment of the operational plan for disaster mitigation and its implementation for maintaining business continuity of the local company of the first step, and seeks plans for maintaining their continu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arly counter system constructed for achieving lasting safe at the any disaster. For achieving it, we investigated the standard of disaster management selected by the government called "Incident Preparedness and Operational Continuity Plan" Guideline, and investigated a guideline to be easily applied to domestic companies. And, we also studied on how to build the operational plan of disaster mitigation and apply IT techniques to A corporation. Especially, this study indicates the models of establishment of risk assessment, impact analysis, prevention and mitigation plan, response management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plan among 5 main steps on "Incident Preparedness and Oper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Guideline. We devised the plan to activate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throughout the country. It shows the skills to be prepared to upgrade the level of disaster response in this study.

정보시스템 재해에 대비한 업무 지속성 관리

  • 김종기;김기윤;이경석;김정덕
    • Review of KIISC
    • /
    • v.11 no.1
    • /
    • pp.9-19
    • /
    • 2001
  • 정보시스템이 기업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됨에 따라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기업의 활동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의 기술 및 경영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정보시스템 재해에 대한 대책에 있어서도 종래의 기술 중심으로 업무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의 수립으로 변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활동에 치명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비상계획의 개념과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최근에 대두된 업무 지속성 관리의 측면에서 업무 지속성 계획을 수립하고 운용하는 방법론을 CCTA에서 제시한 수명주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the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on Private Facilities (민간시설 기능연속성계획 수립 대상 기준 개발 연구)

  • Changyoung S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20 no.2
    • /
    • pp.245-256
    • /
    • 2024
  • Purpose: Securing the continuity of essential functions in the private sector and ensuring the stability of people's daily lives. Method: Based on the national core-based management targets, private sectors in areas directly related to people's lives are selected. Presents standards for establishing functional continuity plan obligations. Result: Establishing the scope of establishing a functional continuity plan in five areas that have not been designated as mandatory in the private sector and presenting standards based on this. Conclusion: In disaster situations, functional continuity of the private sector,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people's lives, can be secured to maintain people's daily lives and establish a social safety net.

A study on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BCP for domestic companies (국내 기업의 BCP 강화 필요성에 관한 연구)

  • Jang,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93-396
    • /
    • 2016
  • 매년 각종 인재 및 자연재해로 인한 기업의 피해와 손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피해와 손실은 재난복구를 신속히 수행하기 위한 BCP가 체계적으로 수립되어 있다면 그 피해와 손실을 현저히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관리의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 일본, 영국을 중심으로 재난대비를 위한 BCP의 체계를 살펴보고 국내 기업에 BCP를 강화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Legal Character and System Improvement Methods of Enterprises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기업 재난관리 표준의 법적성격과 제도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Rhee, Sang-So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29-330
    • /
    • 2017
  • 재난은 인류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하게 발생되어왔다. 최근 21세기 들어 발생하는 재난은 그 현상이 더욱 다양하고 복잡하며 그 피해의 정도가 대규모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졌다. 태풍, 집중호우, 강풍, 폭설, 지진, 황사 등의 자연재난은 지구온난화현상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화재, 구축물의 붕괴, 지하철사고, 테러 및 감염병 등의 사회 재난도 더욱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나아가 사스,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 및 대형 테러 등 전 세계적 차원의 사회 재난의 발생 또한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재난는 개인이나 국가의 정책만으로 예방하고 관리할 수 없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자본주의 경제의 한축을 이루고 있는 기업의 재난을 관리하여 연속성을 확보하고 더나아가 리질리언스(Resilence)를 보장하기 위한 일환으로 2007년 7월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 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기업재해경감법 이라함.)이 공포된 지 약 10여년이 경과하였다. 이는 법 제도화를 통하여 기업의 재해경감활동을 지원하기 취지에서 출발한 것 이다. 그 후 현재 까지 어느 정도의 발전이 있었지만 경과 년 수에 비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후 그 기업들이 좀 더 원활하게 재해경감활동을 위한 계획을 수립, 실행, 검토 및 유지하기 위한 지침으로서 기업재난관리표준을 2010년 4월 2일 제정하였고 이후 재해경감활동 수립계획을 제정하여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기업재난관리표준은 제정된 이후 2013년 12월 9일 전면 개정작업을 통해 경영관리 프로세스 모델(Plan-Do-Check-Act)이 적용된 관리체계를 접목시키고 용어정의를 국제표준과 일치시켜 기업재해경감활동 상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현 정부에서는 주무부처가 바뀌고 조직이 변화되어 행정안전부고시 제2017-1호(2017.07.26.일)로 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재난관리표준과 연관된 제반 법령 및 규정 등에 대한 법적성격 과 지위를 규명하고, 기업재난관리표준의 관련분야 적용 시 문제점 및 바람직한 제도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