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어단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5초

2단 기어를 통한 전기자동차의 모터와 인버터의 효율 개선 (Improvement of Motor and Inverter Efficiency Using Two Gear in EV)

  • 이태연;남광희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8-22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에 2단 기어를 사용하여 모터와 인버터 측면에서의 효율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2단 기어 시스템에서의 높은 기어비를 갖는 1단 기어는 차량의 바퀴 쪽에서의 높은 토크를 낼 수 있도록 하며, 낮은 기어비를 갖는 2단 기어는 더 넓은 범위의 속도 구간을 보여준다. 2단 기어 시스템에서 개선된 효율을 보이기 위하여 토크와 속도 그리고 효율을 고려한 변속시점을 제안한다.

  • PDF

구굴 작업에 따른 소형 관리기의 PTO 기어 부하 용량 시뮬레이션 (Load capacity simulation of PTO gears for a small cultivator during rotary ditching operation)

  • 이바울;최창현;최영수;이리중;김용주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1-11
    • /
    • 2017
  • 지속적인 고령화 추세에 따라 여성과 고령층의 노동력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소형농기계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소형 관리기는 정식 작업 전 경운, 정지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농기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 관리기에 토크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작업 중 가장 큰 부하를 받는 구굴 작업 부하를 측정하였다. 또한, 작업 시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PTO (Power Take Off) 기어의 부하 용량(load capacity)을 기어 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TO 기어의 부하 용량은 안전율, 피로수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측정된 부하 데이터는 변동 하중이므로, 부하 크기와 빈도수의 규칙적인 신호로 단순화하기 위하여 레인플로우 카운팅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SWT (Smith-Watson-Topper) 방법을 이용하여 공칭 토크를 계산하였다. PTO 기어의 안전율은 ISO 6336, 피로 수명은 마이너 법칙(Miner rule)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PTO의 변속 단수 총 2단이며, 5개의 스퍼 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소형 관리기의 주행 속도 또는 PTO의 회전속도 증가에 따라 PTO에서 발생하는 평균 부하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주행 단수 및 PTO 기어 단수가 증가할수록 기어의 안전율과 피로 수명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PTO 기어의 안전율은 접촉 응력에서의 안전율보다 굽힘 응력에서의 안전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소형 관리기의 PTO 수명은 주행 단수 2단, PTO 단수 2단 일 때 가장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소형 관리기의 주행 속도와 PTO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작업하는 것이 PTO 기어의 수명에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F Match의 기구적 최적설계

  • 설용태;박성진;이의용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188-19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RF 플라즈마 발생 장치인 RF-Match의 기구적 최적 설계를 제안하였다. RF-Match의 정합소자 구동 기어단의 효율 개선을 위해 베벨기어를 웜기어로 대체 설계하여 백래쉬를 제거하였으며, 정합소자의 고전력 인가로 인한 아크 발생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접지를 개선하여 RF-Match의 기구적 성능을 향상 시켰다.

  • PDF

사출 성형 플라스틱 단붙이 기어의 강도평가 (Strength Estimation of Injection Molded Plastic Stepped Spur Gear)

  • 정태형;문창기;하영욱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7-23
    • /
    • 2006
  • The strength estimation is carried out for injection molded plastic stepped gear. The stepped gear is considered as a plate model which is fixed by two edges and freed on the other sides. The stress of common normal gear is calculated by Lewis formula which can be derived quite simply from the equation fur the stress at the root of a cantilever beam. Stress ratio(step factor) between the common normal gear and stepped gear is proposed for the ratio of the bending stress of normal gear and that of stepped gear. This study proposes the step factor added in Dupont equation which is used for strength estimation of injection molded plastic stepped gear.

기어 물림부의 스프링강성 변화와 구동기의 불균형을 고려한 2단 기어장치의 진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bration of 2-Stage Gear System Considering the Change of Gear Meshing Stiffness and Imbalance of Motor)

  • 정태형;이정상;최정락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8-14
    • /
    • 2001
  • We develop a method to analyze dynamic behavior off multi-stage gear train system. The example system consists of three shafts supported by ball bearings at the ends of them and two pairs of spur gear set. For exact analysis, the meshing tooth pair of gear set is modeled as spring and damper having time-dependent meshing stiffness and damping. The bearing is modeled as spring.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compared to that of other model having mean mesh stiffness. The effect of the excitation force by the unbalance off rotor off motor is also analyzed. Finally, the change ova natural frequency of the whole system due to the change of an angle between three shafts is compared in each case, and from this analysis, the avoiding angle for design is advised.

  • PDF

2.5MW 풍력발전기 동력분기식 기어트레인의 진동특성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power differential gear train for 2.5MW wind turbine)

  • 김정수;박노길;이형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253-26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스퍼 유성기어시스템 2단, 헬리컬기어 시스템 1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메인 축과 증속기가 플랜지 결합되어 있는 동력분기식 2.5MW 풍력발전기에 대해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유성기어시스템, 헬리컬기어시스템, 메인 축 등은 MASTA 상용프로그램으로 모델링하고, 기어박스 케이스, 토크암, 유성캐리어, 플랜지 등은 유한요소법으로 모델링하였으며, 부분구조합성법으로 조합하여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2.5MW 동력분기식 풍력발전기 기어트레인의 고유진동 특성 해석을 수행하였고, 블레이드 풍하중에 의한 가진, 질량불평형, 축 어긋남 등에 발생하는 가진원에 대해 위험속도 분석을 하였다.

시설하우스 중하중용 동력개폐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e thermal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under heavy load)

  • 김승희;이공인;김진영;최덕규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2-377
    • /
    • 2003
  • '92년부터 추진한 농업구조개선으로 시설원예 농업은 현대화 대형화되어 환기를 위한 천측창 개폐장치와 보온을 위한 커튼개폐장치의 자동화로 시설원예농업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천측창 동력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설치개소가 많고 빈번한 작동으로 일찍이 동력개폐기 문제점이 지적되었고, 그에 따른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초기의 동력개폐기는 2단 웜기어 감속방식을 사용하여 동력전달효율이 낮아지고 웜기어의 마모로 고장이 잦고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어 감속방식을 유성기어로 전환하여 실용화되면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중략)

  • PDF

2MW급 풍력발전기 사이클로이드 피치감속기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cycloidal pitch reducer for the 2MW-class wind turbine)

  • 민영실;이형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9호
    • /
    • pp.895-90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사이클로이드기어시스템 1단, 한 쌍의 평기어시스템, 입력 축, 출력 축,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는 2MW급 풍력발전기용 사이클로이드 피치감속기에 대해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안정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평기어에 대해서는 ISO 6336에 의한 기어강도해석을 통하여 안정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2MW급 풍력발전기용 사이클로이드 감속기의 고유진동 특성 해석을 수행하였고, 입력축 질량불평형, 출력축 질량불평형, 평기어 치합전달오차, 사이클로이드기어 치합전달오차 등에 발생하는 가진원에 대해 위험속도 분석을 하였다.

유연핀을 적용한 2.5MW급 풍력발전기용 기어박스의 동응답 해석 (Dynamic Response Analysis of 2.5MW Wind Turbine Gearbox with Flexible Pins)

  • 조진래;정기용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37-44
    • /
    • 2016
  • 본 연구는 2.5MW급 풍력발전기용 기어박스의 동특성 분석에 관한 것으로서, 유연핀(flexible pin) 채용에 따른 유성기어축의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 개선여부와 충격하중에 따른 기어박스의 동응답 특성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내부의 복잡한 기어시스템의 하중전달을 정확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치접촉을 등가 치강성계수를 갖는 스프링요소와 물림률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기어의 등가 치강성계수는 기어치에 대한 변형해석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동특성 분석을 위해 기어박스 입력단에 충격 토오크를 부과하였다. 수치실험을 통해 등가 치강성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양단 그리고 일단 고정축과의 상대 비교를 통해 유연핀 적용에 따른 유성기어축의 미스얼라인먼트 개선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파의 수평운동을 이용한 가동물체형 파력발전장치의 개발과 전력생산에 관한 수리실험 (Development of a Moving Body Type Wave Power Generator using Wave Horizontal Motions and Hydraulic Experiment for Electric Power Production)

  • 황성수;이동수;양경욱;변정환;박일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73-80
    • /
    • 2016
  • 파의 왕복운동을 지속적인 일방향 회전운동으로 유도하여 발전기의 가동에 있어 기계적인 손실 에너지를 감소시켜 발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파의 수평왕복운동을 직접 이용하는 가동물체형 파력발전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실제 전력생산에 관한 수리실험이 수행되었고 그 결과가 토의되었다. 수리실험에서 부력 탱크의 형상에 따른 발전장치의 발전효율은 파력판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하는 직경 9 cm의 고정식 부력 탱크가 평균발전효율 14.6%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효율이 좋을 것으로 기대되었던 부력 탱크가 자유로이 승강하는 경우는 발전효율이 8.5%로 좋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여러 파랑조건에 따른 직경 9 cm의 고정식 부력 탱크형 발전모형의 평균발전 효율이 수심 90 cm에서 기어비 2단 3.9%, 3단 4.9%, 4단 4.9%, 5단 12%, 6단 10.0%, 7단 3.1%, 그리고 8단 3.0%를 나타냈으며, 수심 80 cm의 기어비 5단에서 15%의 발전효율이 계측되었다. 따라서 이 파력발전장치는 수심 80~90 cm의 기어비 5단에서 비교적 높은 13.5%의 평균발전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