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혁신체제

Search Result 35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Evolution of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A Review of the Main Issues (혁신체제론의 진화 및 주요 논점)

  • Ku, Young-Woo;Cho, Sung-Bok;Min, Wan-Ke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225-241
    • /
    • 2012
  • This paper examines the evolution of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and its main issues. At first,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have appeared on the purpose to substitute the neoclassical macroeconomic policies. But various criticisms have been raised because of the restriction within national boundary of analysis, the lack of dynamic analysis, the danger of institutional determination, the deficiency of theoretical accuracy in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Technological systems, regional systems of innovation,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criticisms about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Nevertheless the unsettled questions in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remain. The academic and policy-making usefulness of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will be expanded by development of the complementary researches within approach.

  • PDF

Technological Regime, Knowledge Spillover and Innovation (산업의 기술체제 특성이 지식전파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Hong, Jang-Py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8 no.2
    • /
    • pp.147-174
    • /
    • 2010
  • This paper aims to analysis sectoral innovation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Sectoral innovation system approach proposed that the specific pattern of innovative activity and knowledge spillover in an industry can be explained as the outcome of different technological regimes. Technological regime is defined by the particular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opportunities, appropriability of innovations, cumulativeness of technical advances and properties of the knowledge base. Based on a sample of 2,882 firms in manufacturing sector,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stimat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Results of the analysis provide considerable support to the hypothesis that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are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underlying technological regime. In the industry based on the tacit and specific knowledge, firm's product inno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This paper also shows that high stability in the ranking of innovators are related to high degrees of cumulativeness and appropriability.

  • PDF

국가 전력기술 확산체제 구축방안 연구

  • 김은선;구영덕;조현춘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68-87
    • /
    • 2004
  • 본 연구는 국가기술혁신시스템의 틀 안에서 기술이전$\cdot$확산의 필요성과 역할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21세기 국내 전력산업이 경쟁력을 갖춘 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기술이전$\cdot$확산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전력기술 확산체제 구축이 국가기술혁신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제고하고, 연구 과정 중에 전력기술 확산체제가 국가기술혁신시스템 내에서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이론적 틀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이전$\cdot$확산 체제의 개념과 정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전력기술이전$\cdot$확산체제 구축의 필요성과 추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후 전력기술이전$\cdot$확산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예상되는 설계사항을 분석하고, 이에 부합하는 전력기술이전$\cdot$확산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력부문의 정책 및 전략의 추진체계 수립을 통하여, 국가기술혁신시스템 내에서 전력기술이 확산되도록 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Evolution of Innovation Policy and Innovation Theory (기술혁신정책의 진화와 기술혁신이론)

  • Song Wi-Chin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2 no.1 s.3
    • /
    • pp.39-61
    • /
    • 2002
  • This study reviews the emergence of new innovation policy paradigm in advanced countries and their impacts on the development of innovation theories in 1980s and 1990s. It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ew policy paradigm are the emphasis on the user-orientedness and the socio-economic aspects of innovation and the preference of capability enhancement of innovators over resource subsidy This new perspectives of innovation policies had effects on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innovation system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key concepts such as interactive teaming, innovating capability and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the innovation system theory, it has some problems to be solved for the innovation policy design because 'the social' is still peripheral factors in the constitution on the innovation system theory. This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to incorporate the social dimension of innovation into the innovation system theory.

  • PDF

제도 정합성의 관점에서 국방과학기술 행정체제 특성 분석

  • Bae, Yu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1-123
    • /
    • 2017
  • 우리나라는 국방부를 중심으로 한 국방과학기술 행정체제가 1970년대 마련된 이후로 큰 변화가 없었다가 2006년에 방위사업청 개청에 따라 큰 변화가 발생하였으나, 현재 국방과학기술 행정체제는 타 분야 과학기술 행정체제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국방과학기술 행정체제가 환경맥락에 맞게 변화하였는지, 과학기술 조정기구이라는 상위 수준에서 적절한 조정과 협력을 이루고 있는지, 국방분야 정부부처 및 출연기관 간에는 유기적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의 제도 정합성 관점에서 국방과학기술 행정체제의 특성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Components of Space Development Innovation System in Korea (한국 우주개발 혁신체제 하위 구성요소의 특성)

  • Kim, Jongbum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0 no.4
    • /
    • pp.41-49
    • /
    • 2016
  • This research intends to make a model of space development in Korea as a sectoral innovation system. The main contents include a character analysis of the elements of three low levels of the space development innovation system, including governance (the main agent and cooperation relationship of which the center is a research institute supported by government),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and the diffusion of research results.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factors that bring about technological innovation of industrial sectors to produce technological innovation policy.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should thus be formulated for specific, individual sectors, and not all sector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Linkage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Technology Strategy of Korean IT Industry (국내 정보통신업체의 경영전략과 기술전략의 연계성에 관한 실증분석)

  • Song Gi-Uk;Lee Deok-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9-364
    • /
    • 2006
  • 기업의 기술혁신체제는 크게 기술전략의 수립 및 실행과정과 연구개발시스템의 설계 및 관리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업이 기술 혁신체제를 확보한다는 것은 곧 변화하는 시장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논문은 국내 정보통신업체의 기술혁신체제실태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경영전략과 기술전략과의 연계체제에 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신기술 출현과 동아시아 기술혁신체제의 변화 : 한국, 일본 및 대만 기술혁신체제의 거버넌스 비교

  • 김혁래;오인규;박헌준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0 no.2
    • /
    • pp.45-68
    • /
    • 2002
  • This paper raises two questions about the overall national innovation system (NIS) in Korea, Japan, and Taiwan - (1) what has distinguished the three countries in terms of their NIS in the past and (2) why are the changes that are taking place now, relatively make the NIS in these countries similar to each other\ulcorner At present, the NIS of each country is becoming more privatized and flexible than the pre-financial crisis period. We argue that this assimilation is due to the free flowing technologies readily available in the international technology markets. We argue significant shifts in the NIS of these three countries, notably a move from a manufacturing-based NIS with a high level of protection, piracy, and stability to a venture-based NIS with high levels of flexibility, risk taking,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PDF

중소기업구조개선(中小企業構造改善)과 지역기술혁신체제(地域技術革新體制)

  • Park, Ju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2
    • /
    • pp.3-61
    • /
    • 1996
  • 80년대초 이후 기술혁신의 가속으로 중소기업에서도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이 경쟁력의 유지를 위한 핵심과제가 되면서, OECD 국가는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의 이전(移轉)을 촉진하는 정부지원을 확충하였다. 경제성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기술혁신만이 아니라 기술혁신의 성과를 확산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향상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정보의 공급확대를 위하여 연구개발사업(硏究開發事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의 이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의 공급원(供給源)(대학, 시험연구기관 등)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다양한 중개(仲介)(촉매(觸媒))기관(機關)의 설립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연구개발과 과학기술정보이전에 관한 과학기술공급원과 중소기업간의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교환(情報交換)과 인적교류(人的交流)를 확대하고 과학기술공급원이 제공하는 지식을 중소기업이 이용하기 쉬운 기술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개기관이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사업자와 신뢰관계(信賴關係)를 구축하는 것이 긴요하며, 기술변화를 인지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초기단계에서는 중소기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술확산과정(技術擴散過程)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역혁신체제(地域革新體制)의 구축과 기술혁신정책(技術革新政策)의 지역화(地域化)가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 통상산업부와 과학기술처도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를 시도하고 있다. 연구기반과 산업기반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다양한 유형의 산학연 공동연구기반이 구축될 계획이다.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는 시도단계에 불과하며 효율적인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여건도 불리하다. 선진국에 비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자원(硏究資源)에서도 현격한 차이가 있으나, 네트워크의 혁신성을 좌우하는 지식집약형 중소기업의 비중과 중소기업기술개발의 혁신성에서도 선진국에 비하여 절대열위에 있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현장에 밀착된 지역의 전문가집단이 지역경제의 비전과 지역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연구개발사업(地域硏究開發事業)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며, 기획 추진과정에 참여하는 지역대학 지역시험연구기관 지역산업단체 등이 구성하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협의체(協議體)가 정보공유(情報共有)와 공동학습(共同學習)을 통하여 지역혁신체제의 형성을 주도하고 경쟁과 협력의 조화를 통하여 기술혁신을 가속시키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규범(規範)과 문화(文化)가 정착되도록 노력하며 중앙정부는 지역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지원에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지역산업의 혁신성과에 의하여 지원을 차등화(差等化)하는 경쟁원리를 도입하여 지역사회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유도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