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창업

Search Result 1,21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V+인(人)SIDE - 성공을 준비하는 기술창업자들의 든든한 조력자 - 창업진흥원 기술창업지원팀 -

  • 벤처기업협회
    • Venture DIGEST
    • /
    • s.137
    • /
    • pp.50-50
    • /
    • 2009
  • 아무리 좋은 아이템이 있다고 해도 맞춤형 정보와 함께 철저한 준비를 해야지만 창업에 성공할 수 있다. 우수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지만 기술창업의 벽이 높다고 느끼는 예비창업자가 있다면 '창업진흥원 기술창업지원팀(팀장 성승호)'의 도움을 받아보자. 기술창업자들의 성공을 돕는 것에 큰 보람을 느끼고, 아이디어가 넘치는 역량 있는 팀원들로 구성된 창업진흥원 기술창업지원팀을 소개한다.

  • PDF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모델과 글로벌 성공기술창업플랫폼 구축방안

  • Yang, Yeong-Seok;Yang, Su-Hui;Yu, Byeong-J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53-56
    • /
    • 2016
  • 미래창조과학부는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을 가속화 하기 위해 2016년부터 '연구소기업'의 설립을 촉진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 활성화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글로벌 관점의 성공기술창업플랫폼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의 성과 창출궤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공공기술-제조- -BtoB-글로벌의 라인 중 글로벌 관점에서 공공기술 기술창업기업의 성과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전문가 인터뷰조사와 사례조사등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기술기반 기술창업인 연구소기업등은 질적인 성과 즉 성공적 회수사례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양적인 성과에서 벗어나 창업초기 신규창출형 연구소기업에 대한 민간벤처투자가 활성화되고, 혁신적인 사례창출을 다수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성과창출이 요구됨을 도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이에 대해 공공기술 기술창업의 문제를 배태한 성공창업 솔루션 플랫폼으로"Inbound" 글로벌플랫폼을 제안하고 있다.

  • PDF

An Analysis of Factors on College Students' IT Technology Startups will (대학생의 IT 기술창업의지 영향요인 분석)

  • Joun, Hyang-Soon;Shim, Sang-O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9
    • /
    • pp.1-7
    • /
    • 2014
  •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courses, including my recent absence undergraduate entrepreneurship-friendly system is activated, the spread of technology startups to be scanning my college. However, the college is successful technology startups to take place in order to be solved many problems still exist. In this paper, we have a hard job and continuing high unemployment and social environmen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IT technology to enabl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ol ac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In particular, I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echnology startups will affect students' technical skills and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motive,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outside the extraction and evaluation items such as IT skills to analyze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In analysis result, IT major career college students interested in entrepreneurship as an alternative to the higher technology, technical skills and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start-motivated alternative to independence and had an impact on employment. In addition, the university was founded in tech startup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lot of outside influence.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eong, Sang-Eun;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225-230
    • /
    • 2018
  •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의 기술창업기업은 기존 조직 내부의 기술들 이외에 외부의 다양한 기술들을 들여와 기존 기술과 융 복합하여 기술 사업화를 도모하여 치열한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도 글로벌 경쟁력과 첨단기술을 갖춘 중소 벤처기업 육성 안이 대거 포함되어 기술기반의 기술창업기업을 창출하고 육성하여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술사업화의 핵심적 요소로 간주되고 있는 기술사업화역량 및 외부기술획득활동은 여러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기술기반의 기술창업기업의 창출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술창업기업의 신제품개발성과 향상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기술기반의 기술창업 기업의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성과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ICT기반 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기술혁신이 기술개발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ang, Seon-A;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23-28
    • /
    • 2019
  •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창업자들의 경우 대부분 창업자가 보유한 기술을 기반으로 ICT관련 기술을 활용한 사업을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CT창업의 경우 보유한 기술에 대한 가치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보유한 기술의 수준이 높으면 기술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ICT창업의 경우도 다른 창업과 다르지 않게 많은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이 필요합니다. 본 연구는 ICT기반 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기술혁신역량이 기술개발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을 통해 ICT창업자가 갖추어야할 역량과 다양한 요인에 대해 밝히고자 합니다. 기존연구는 일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였으며 최근 급속도로 늘어난 ICT기반 창업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렇기 때문에 ICT기반 창업자에 대한 적용은 시기적절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하게 정의된 기업가정신 및 기술혁신역량의 구성요인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독립변수로 하여 기술개발성과와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실증 연구하였다.

  • PDF

창업기업 업종 분류체계의 개선방안 연구

  • Park, Dae-Han;Seong, Chang-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39-47
    • /
    • 2018
  •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서 창업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는 창업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정부의 실효성 있는 지원과 체계적인 창업 육성정책 수립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새롭게 변화하는 창업 트렌드와 창업기업의 특성에 적합한 창업업종 분류기준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창업 육성정책 수립을 위하여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에 떠오르는 융합기술기반 창업 트렌드를 반영한 새로운 창업업종 분류체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창업 생태계 동향과 창업업종 분류 체계의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창업업종 분류체계를 개선하였다. 연구결과 창업업종 분류는 크게 기술창업과 일반창업으로 구분하고, 기술창업은 ICT 서비스, ICT 제조, 일반제조, 문화콘텐츠, 바이오 분야로 로 구분하며 일반창업은 유통과 서비스로 재분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 산업별 분류체계에서 벗어나 창업기업의 업종 분류체계의 새로운 기준을 마련하여, 향후 창업 트렌드를 반영한 효율적인 창업지원정책 마련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기술창업 성과 제고를 위한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에 관한 연구

  • Gil, Un-Gyu;Sim, Yong-Ho;Kim, Seo-G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79-83
    • /
    • 2016
  • 기술창업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증가하며,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었다. 창업 이후에는 다양한 지원이 마련되어 있으나, 창업 이전에 성공적인 창업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술 창업의 성과를 제고하고, 기업가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한다.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의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창업기업의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E 연구원의 예비창업프로그램을 거치고 법인을 설립한 기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창업기업의 성과로서 고용 지표를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창업프로그램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은 출연연 또는 대학의 연구원들에게 창업 성공을 촉진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창업가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Eom, Hyeon-Jeong;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61-67
    • /
    • 2020
  • 현재 글로벌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산업구조는 물론 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거대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깊어져서 이에 대한 빠른 대응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또한 4차 산업의 주축인 디지털 혁명과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로 변화의 가속화가 진행되면서 이러한 변화에 얼마나 신속하게 대응하느냐가 생존과 성장의 핵심이 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창업가 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기술창업과 창업가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업가 역량을 독립변수로 하고, 정부지원활용을 매개로, 창업가 일반적 특성(업종, 업력, 창업경험, 특허보유, CTO인력보유 여부 등)을 조절변수로 하여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대전 대구 지역의 연구개발특구, 산업기술단지, 첨단산업단지, 창업보육센터, 테크노파크등, 기술집접화시설에 입주해 있는 217개 기업을 대상으로 온 오프라인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Firm Performance by Characteristics of Founders in ICT Field (ICT 분야 창업자 특성에 따른 기업성과 상관관계 분석)

  • Sim, Yong-ho;Song, Min-kyoung;Kim, Seo-kyu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1 no.2
    • /
    • pp.615-635
    • /
    • 2018
  • The Korean government has selected job creation policy as first goal in order to overcome the recession and respons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based start up is worth noting in order to job creation. Because the ripple effect of technology based start up is higher than self-employ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conduct various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vitalization of technology based start up. In order for technology based start up to be successful, it is necessary to maximize personal (founder) capacity.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features of personal (motivation, capability, experience, entrepreneurship)", "competitiveness of company" and "corporate performance"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lso, i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based on the career of CEO (work for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VS the others). This study can be utilized when policy making and practice about technology based start-up.

'Inbound Globalization' Model for Enhancing the Global Performance of High-Tech Startups from GRI(Government Research Institutions) with Diagnosing the Its Defects (공공기술기반 기술창업의 현황과 글로벌 성과제고 위한 '국내기반형 글로벌 창업(Inbound Globalization)' 모델 연구)

  • Yang, Youngse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3
    • /
    • pp.27-35
    • /
    • 2016
  •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have boosted up launching more 'GRI(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Spin-off High-tech startup' to accelerate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GRI technologies via the alternative of high-tech startup since 2101. This paper is proposing to found the global platform of accommodating more successful high-tech startup with diagnosing the current policy platform of launching GRI high-tech startup. This paper deliver the outcomes of case study including FGI research over developing the ideas of the experts for the policy line-up of starting from GRI technologies-Hardware Manufacture-BtoB-Global. The research result suggests that the focus of policy should falls not on the quantitative goals, but on more disruptive successful case through utilizing uprising private equity investment in the early stage of business. One of the best policy brought by this research is 'Inbound Globalization Strategy of bringing global early stage investors in Korea for incubation and investment rather than sending out our startup to global without validation by global inves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