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번역

Search Result 457,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n Extension of Grammar Writing Language for Machine Translation (기계 번역을 위한 문법 기술 언어의 확장)

  • 심철민;최승권;여상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171-173
    • /
    • 1998
  • 변환 방식의 기계 번역 시스템에서 구조 변환은 번역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각 번역 시스템들은 이러한 구조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특별한 기법을 사용한다. 구조 변환을 수행하는 방안으로는 어휘 사전에 기술된 구조 변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변환 엔진에 언어 현상별 구조 변환 규칙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하여 구조 변환 규칙을 기술하는 방법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스크립트 형식의 범용 문법 기술 언어(Grammar Writing Language)를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문법 기술 언어는 규칙 기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연산자와 기본 함수를 제공하며, 그 적용 대상에 따라 컴파일러 버전과 인터프리터 버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문법 기술 언어는 영한 기계번역의 변환 모듈뿐만 아니라 한영 변환 등의 트리 구조 변환을 요하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Science Technology - 빠르게 정확도 높여가는 인공지능 번역

  • Kim, Hyeong-Ja
    • TTA Journal
    • /
    • s.171
    • /
    • pp.46-47
    • /
    • 2017
  • 최근 자동 번역에 도입된 인공신경망 기술이 영어 고민을 덜어주고 있다. 해외여행 때마다 모르는 언어로 쓰인 메뉴판을 보고 음식을 주문해야 하는 상황이나 길을 찾거나 각종 안내 표지판을 확인할 때 도움을 주고 있는 것. 실시간 번역이 가능해 외국인도 두렵지 않다.

  • PDF

Verification of the Domain Specialized Automatic Post Editing Model (도메인 특화 기계번역 사후교정 모델 검증 연구)

  • Moon, Hyeonseok;Park, Chanjun;Seo, Jaehyeong;Eo, Sugyeong;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3-8
    • /
    • 2021
  •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기계번역 기술도 많은 진보를 이루었지만 여전히 기계번역을 통한 번역문 내에는 사람이 교정해야 하는 오류가 다수 포함되어있다. 이렇게 번역 모델에서 생성되는 오류를 교정하는 전문인력의 요구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기계번역 사후교정 연구가 등장하였고, 해당 연구는 현재 WMT를 주축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후교정 연구는 최근 도메인 특화 관점에서 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많은 도메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이런 연구들은 기존 번역문의 품질을 얼만큼 향상시켰는가에 초점을 맞출 뿐, 다른 도메인 특화 번역모델의 성능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뛰어난지는 밝히지 않기 때문에 사후교정 연구가 도메인 특화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 명확하게 알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메인 특화 번역 모델과 도메인 특화 사후교정 모델간의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도메인 특화에서 사후교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제적인 성능을 검증한다. 이를 통해 사후교정이 도메인 특화 번역모델과 비교했을 때 미미한 수준의 성능을 보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고, 해당 실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도메인특화 사후교정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The Problems and Suggestions in a North Korean E-K Machine Translation System (북한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Lee, Byeong-Hee;Jhun, Sung-Jin;Seo, Jeong-Hyeon;You, Beom-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493-496
    • /
    • 2003
  • KISTI는 최신 해외 과학기술 정보를 우리 글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온라인 상에서 영문 제목을 한글로 번역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중국 단동에 소재한 하나프로그램 센터와 남북한 과학기술 정보교류 차원에서 공동으로 개발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하나프로그램 센터에서 개발한 영한 번역 시스템을 가지고 각종 문서의 제목을 번역하였을 때 발생하는 번역 오류를 분석하고, 알타비스타 번역 서비스를 이용하였을 때의 번역 결과와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본 영한번역 시스템이 실용적으로 쓰이기 위해서는 문법 구조에 관한 연구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 PDF

Sentence-Frame based English-to-Korean Machine Translation (문틀기반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

  • 최승권;서광준;김영길;서영애;노윤형;이현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323-328
    • /
    • 2000
  • 국내에서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을 1985 년부터 개발한 지 벌써 15년이 흐르고 있다. 15년의 영한 자동번역 기술개발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의 번역품질은 4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번역품질이 낮은 이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textbullet$ 입력문에 대해 파싱할 때 오른쪽 경계를 잘못 인식함으로써 구조적 모호성의 발생문제: 예를 들어 등위 접속절에서 오른쪽 등위절이 등위 접속절에 포함되는 지의 모호성. $\textbullet$ 번역 단위로써 전체 문장을 대상으로 한 번역패턴이 아닌 구나 절과 같은 부분적인 번역패턴으로 인한 문장 전체의 번역 결과 발생. $\textbullet$ 점차 증가하는 대용량 번역지식의 구축과 관련해 새로 구축되는 번역 지식과 기구축된 대용량 번역지식들 간의 상호 충돌로 인한 번역 품질의 저하. 이러한 심각한 원인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문틀에 기반한 새로운 영한 자동번역 방법론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문틀에 기반한 영한 자동번역 방법론은 현재 CNN 뉴스 방송 자막을 대상으로 한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다. 이 방법론은 기본적으로 data-driven 방법론에 속한다. 문틀기반 자동번역 방법론은 규칙기반 자동번역 방법론보다는 낮은 단계에서 예제 기반 자동번역 방법론 보다는 높은 단계에서 번역을 하는 번역방법론이다. 이 방법론은 영한 자동번역에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쌍의 번역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Strategy of San Mao's Prose (싼마오 산문의 한국어 번역 전략 연구)

  • Moon, Dae il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5
    • /
    • pp.265-270
    • /
    • 2022
  • San Mao is a prominent Taiwanese female writer. She created many works in a unique style based on what she experienced and studied through her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Among them, 『Daocaoren Shouj i』 is a prose that records episodes of overseas life. There are two Korean translations of this work. Different translators used different translation strategies. TT1 used a lot of semantic translation to emphasize and translate a lot of exotic feelings. On the other hand, TT2 pursued natural translation by using a communicative translation strategy. In addition, the peculiarity is that both translations attempted 'creative translation' and intentionally 'transformed' and translated. This creative translation helps the reader to immerse and understand the work. With this study as an opportunity, we hope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San Mao's translation will be conducted.

Design of a Multilingual Translation System Based on Interlingual Approach (중간언어에 기반한 기계 번역시스템의 설계)

  • Kim, Sang-Kuk;Park, Chang-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521-526
    • /
    • 1993
  • 다언어간 번역을 지향하는 기계번역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의미 이해기반의 해석기술과 언어에 독립적인 생성기술의 설계가 기본이므로 원시언어와 목표언어가 어느 한쪽의 언어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언어형식화가 가능한 중간언어 구조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한국어를 중심으로 하는 다언어 번역의 설계에서는 비교적 문구조의 정형화가 이루어진 영어와는 달리 어순 배열의 자유도가 높고 조사의 격표시로 문장구조가 결정되는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해석 및 생성 메카니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에 내포된 심층의미의 중간 표현으로써, 단어의 의미를 개념화시킨 개념소(Conceptual Primitive)간의 의미적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념 그래프(Conceptual Graph)를 채택하고 설계한 다언어 번역지향의 중간언어기반 번역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chine Translation Accuracy of Loanword by Language (기계 번역기의 언어별 외래어 인식 정확도 비교 연구)

  • Kim, Ky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319-322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빠른 무선 네트워크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통해 음악을 듣고, 게임을 하며, 웹서핑을 하는 등 PC에 버금가는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누구든 쉽게 전세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SNS를 통해 외국인 친구들과도 쉽게 연락을 할 수 있다. 기계 번역 기술 또한 이렇게 사용자가 늘어나는 만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그 정확도가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 명사나 구문과는 다르게 은어, 외래어 등의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단어들에 대한 기계 번역 정확도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계 번역기인 papago 번역기와 Google 번역기의 외래어 인식 정확도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후,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Method Customizing From Web-based English-Korean MT System To English-Korean MT System for Patent Documents (웹 영한 번역기로부터 특허 영한 번역기로의 특화 방법)

  • Choi, Sung-Kwon;Kwon, Oh-Woog;Lee, Ki-Young;Roh, Yoon-Hyung;Park, Sang-Ky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57-6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웹과 같은 일반적인 도메인의 영한 자동 번역기를 특허용 영한 자동번역기로 특화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특허용 영한 파동번역기로의 특화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1) 대용량 특허 문서에 대한 언어학적 특성 분석, 2) 대용량 특허문서 대상 전문용어 추출 및 대역어 구축, 3) 기존 번역사전 대역어의 특화, 4) 특허문서 고유의 번역 패턴 추출 및 구축, 5) 언어학적 특성 분석에 따른 번역 엔진 모듈의 특화 및 개선, 6) 특화된 번역 지식 및 번역 엔진 모듈에 따른 번역률 평가.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해 만들어진 특허 영한 자동 번역기는 특허 전문번역가의 평가에 의해 전분야 평균 81.03%의 번역률을 내었으며, 분야별로는 기계분야(80.54%), 전기전자분야(81.58%), 화학일반분야(79.92%), 의료위생분야(80.79%), 컴퓨터분야(82.29%)의 성능을 보였으며 계속 개선 중에 있다. 현재 본 논문에서 기술된 영한 특허 자동번역 시스템은 산업자원부의 특허지원센터에서 변리사 및 특허 심사관이 영어 전기전자분야 특허 문서를 검색할 때 한국어 번역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이용되고 있으며($\underline{http://www.ipac.or.kr}$), 2007년에는 전분야 특허문서에 대한 영한 자동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 PDF

A Script Format of Korean Sing Language for Animated Signing Avatar Service (아바타수어 서비스를 위한 한국수어 스크립트 기술)

  • Lee, Han-kyu;Choi, Ji Hoon;AHN, Ch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456-458
    • /
    • 2020
  • 한국수화언어(한국수어)는 농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농인이라 함은 청각장애를 가진 사람으로서 한국수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는 사람을 말한다. 수어를 하나의 언어로써 다른 언어로의 번역 또는 상호번역을 위하여 기계학습 기반의 기술이 연구개발 되고 있으나, 수어는 영상 기반의 언어이고 한국수어의 문법 및 사전체계의 구축이 진행 중인 이유로 한국수어의 번역기술은 상대적으로 다른 이종언어 간의 번역기술에 비하여 발전속도가 느리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한국수어로 번역하여 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어 스크립트 포맷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규격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