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개발과제

Search Result 2,02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for Developing Competitive Manufacturing Technologies (생산기술 육성의 과제)

  • 장낙영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4
    • /
    • pp.280-284
    • /
    • 1995
  • 우리나라는 과거 성공적인 경제성장의 업적에도 불구하고, 기술의 취약성으로 인한 많은 애로 사항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을 탈피하기 위하여는 생산기술의 육성이 절실한 과제이다. 제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는 지능생산시스템의 설계능력 양 성과 설계 및 생산의 공동개발체제 구축이라는 개념이 도입 정착되어야 하겠으며, 이러한 방안을 빠른 시일내에 전파시키기 위하여는 생산기술 개발에 대한 시스템적 접근방법이 강조되어야 하 겠다. 우리나라 산업체의 생산현장의 문제를 풀기 위하여 학교, 연구소, 제조업체에서 중지를 모아서 산학연의 연구를 활발히 전개한다면, 우리나라가 21세기에 선진국의 대열에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리라 믿는다.

  • PDF

한국형 스마트 팜 정책 및 기술 동향

  • Lee, Yong-Beom;Kim, Sang-Cheol;Yun, Nam-Gyu;Lee, Jae-Su
    • ICROS
    • /
    • v.22 no.3
    • /
    • pp.58-64
    • /
    • 2016
  • 스마트 팜이란 인터넷과 연결된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농사 환경을 관측하고 원격에서 제어 관리함으로써 편이성과 생산성이 향상된 농장을 일컫는다. 현 정부는 농업의 위기적 상황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핵심개혁과제로 ICT 기술을 융합한 한국형 스마트 팜 기술 개발과 보급 확산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전개 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형 스마트 팜의 정책방향과 기술 개발 현황, 차세대 스마트 팜 개발을 위한 기술적 과제 등을 소개한다.

An AHP-based Assessment Criteria Decision System for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AHP 기반 국가 연구개발 과제 평가 기준 결정 시스템)

  • Park, Seong-Ho;Oh, Jae-Taek;Lee, Sang-Y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5
    • /
    • pp.405-410
    • /
    • 2020
  • Professionalism, objectivity, and fairness are highly required in the assessment of tasks in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Experts in the technologies should thus focus on the task's plan in the review process. The same scores in the assessment, however, do not mean that the judges don't have the same opinions. Another problem is the possibility that different weights can be applied for evaluation indexes. This study proposed an AHP-based assessment criteria decision system for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to reduce errors in task assessment and selection and improve the professionalism and fairness by objectify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each index. As a result, the assessment criteria were objectified for each index in the projects. In addition, the professionalism and fairness of experts were secured in the process of setting assessment criteria for each index based on the given marks of weights.

상용화를 위한 진공펌프 신뢰성평가에 관한연구

  • Im, Jong-Yeon;In, Sang-Yeol;Im, Seong-Gyu;Kim, Wan-Jung;Jeong, Wan-Seop;Hong, Seung-Su;Go, Deu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249-249
    • /
    • 2013
  • 지식경제부의 청정제조기반 산업원천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초고진공펌프 개발" 과제 중 제 3 세부 과제인 "고진공펌프종합특성평가시스템 설계, 진단기술 개발" 과제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수행결과 및 기 구축 돈 저진공펌프 종합특성평가시스템을 활용한 진공펌프의 상용화를 위한 신뢰성 평가에 관하여 소개한다. 10(3) mbar~ 10(-10) mbar 영역의 국내 진공펌프 개발 수준의 선진화를 위한 모든 특성평가장치의 국제적 신뢰성이 있는 완벽한 성능평가의 구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고진공펌프개발 총괄과제의 대명제는 "국제적 신뢰성을 가지는 상용화 제품의 완성"이며, 전체 사업 추진기간 동안 제품 개발 주체인 산업체에 상용화를 위한 신뢰성 기반기술의 완벽한 구현의 제공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진공펌프의 신뢰성 평가는 저진공펌프의신뢰성 평가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기 개발 완료된 특성평가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공정현장에서 판단할 수 있는 내구성진단 및 제작회사에서의 기계적 신뢰성 진단기술의 복합적인 요인들의 집합적인 분석에 기인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용화 단계의 내구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전제 조건은 대외적으로 공표할 수 있는 시험평가 데이터와 개발 주체에서 기밀 수준으로 유지해야만 하는 민감한 자료의 상시 생산 infra의 구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진공펌프개발이라는 과제의 대명제를 완성하기 위하여 추진 연구개발 방향 등 진행형인 2년간의 최종 상용화에 필요한 국제 신뢰성, 공정대응성 확보 등 핵심사업 추진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진공펌프 진단기술 개발

  • Im, Jong-Yeon;Gang, Sang-Baek;Sin, Jin-Hyeon;Kim, Wan-Jung;Jeong, Wa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365-365
    • /
    • 2011
  • 현재 지식경제부의 전략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초고진공펌프 개발" 과제 중 제 3 세부 과제인 "고진공펌프종합특성평가시스템 설계, 진단기술 개발" 과제에서 추진된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국내 초고진공펌프 개발 수준의 선진화를 위한 기본적인 초석은 현존하는 모든 진공 발생 장치의 국제적 신뢰성이 있는 완벽한 성능평가의 구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구축되고 있는 저진공/고진공펌프의 성능평가장치의 개요를 소개하면서 향후 크라이오펌프 및 터보분자펌프의 개발 및 상용화 단계에서 필요한 국제적 규격 및 내부적 가이드라인을 기 수행되고 있는 측정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지능형 물수급정보 통합관리기술 개발

  • Jeong, Seung-Gwon;Choe, Jin-Tak;Lee, Dong-Seop;Maeng, Seung-J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6
    • /
    • pp.75-78
    • /
    • 2014
  • 본고에서는 2012년 7월 출범한 국토교통부R&D 연구단인 Smart Water Grid(SWG) 연구단 과제 중 연구단의 세세부 연구성과로 도출되는 요소기술인 프로그램의 개발플랫폼을 제공하고, 개별 프로그램을 통합운영하기 위한 통합운영시스템과 통합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는 "지능형 물수급정보 통합관리기술 개발" 세세부 과제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적응정책

  • Bae, Deok-Hyo;Kim, Seong-Jun;Kim, Hyeong-Su
    • Water for future
    • /
    • v.47 no.1
    • /
    • pp.40-47
    • /
    • 2014
  • 기후변화-수자원 적응과제들의 성공적인 수행과 결과물의 활용을 위해서는 안전행정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물관련 정부부처간의 긴밀한 협조체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1)안전행정부의 재난관련 방재패러다임 전환 및 위기관리 체계강화를 위한 추진과제(자연재해 지자체 방재시스템), (2)환경부의 기후변화에 따른 물환경관리 대책 추진과제(비점오염, 수질, 수생태, 습지), (3)농림축산식품부의 농업수자원 및 산림자원 확보 추진과제(농업용수, 산림재해) 등의 진행상황 및 결과의 공유체계 및 공동활용을 위한 채널구축이 필요하다. 포럼에서의 의견으로서, 타분야 특히 산업일선에서는 이미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정책과 더불어 관련기술의 개발이 진행되어 우리 수자원분야는 많이 늦은 감이 있다는 지적, 그리고 제시된 기획과제 중에서 제4세부과제인 수자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술개발이 매우 중요하다는 언급이 많았다. 이에 저자들은 수자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농업 그리고 에너지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협력연구(Water-Food-Energy Nexus)를 통하여 세 분야의 통계기반, 정보공유, 융합가치 등의 제반연구는 매우 중요한 미래과제라고 강조하였다.

  • PDF

고선명 텔레비젼(HDTV) 개발

  • 박종철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4 no.5
    • /
    • pp.44-52
    • /
    • 1997
  • 본 논문은 선도기술개발 2단계 사업의 하나인 주문형 반도체 개발과제에서 개발되는 고선명 텔레비전 수상기에 관한 내용으로 현재 방송되고 있는 아날로그 전송 방식인 칼라 텔레비전에 비해 약 4배 이상의 비디오 해상도와 5.1채널의 오디오 음질을 서비스하는 규격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본 과제는 고선명 텔레비전의 전송, 오류정정 복호, 역 다중화, 비디오 복원 및 오디오 복원에 필요한 주문형 반도체를 개발한다.

  • PDF

정부출연연구기관 수행과제 특성의 다양성이 논문 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

  • Jang, Ho-Won;An, So-Hui;Yun, S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9-163
    • /
    • 2012
  • 1990년대까지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연구개발의 한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으나, 최근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경제 사회 및 기술적 환경 속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 및 위상에 대한 문제점들이 선행연구에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정부출연연구기관은 각자의 역할 및 위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부R&D 과제들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 중 특정 기술분야 및 기술단계에 집중된 과제를 수행하는 출연연구기관이 있는 반면, 다양한 기술분야 및 기술단계의 과제를 수행하는 출연연구기관도 있다. 한 분야에 집중된 과제의 수행은 해당 기술분야의 노하우(know-how), 지식, 기술을 집중적으로 축적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함으로써 높은 논문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 기관에서 다양한 분야의 과제를 수행하는 것 또한 여러 분야의 지식이나 기술을 획득 보유하게 함으로써 다양하고 창의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지식 및 기술 간 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통해 높은 논문성과를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판단하는 시각에 따라 기관이 수행하는 과제의 집중화 정도가 논문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상반되게 해석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우리나라의 출연연구기관의 경우 그 영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논문을 주요 연구성과로 하는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수행하는 과제특성의 집중화 정도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이들 집단 간의 논문성과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출연연구기관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정책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 Method to Use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Process of R&D Project Planning (연구개발(R&D)과제 기획에서의 산업·기술정보 활용방안)

  • Kim, Yong;Han, Hee-Jung;Lee, Kyun-Hyung;Lee, Yoon-Seok;An, Seung-Kwo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3 no.4
    • /
    • pp.69-96
    • /
    • 2012
  • Based on analysis of trend and development of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such as patents and scientific data, using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planning can be a important factor to reduce budget and opportunity cos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needs to collect and analyze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planning of R&D project. To do it, this study examines definitions, needs and types of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for planning of R&D project. And the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use of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planning of R&D and performs case study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s a method to analyze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for R&D planning and proposes the role of a library for R&D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