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상 정보

Search Result 2,24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Long-term runoff prediction of Gyeongan-cheon watershed using statistically forecasted weather information (통계적 기상예측정보를 이용한 경안천 유출량 장기 전망)

  • Kim, Chul-Gyum;Lee, Jeongwoo;Lee, Jeong Eun;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3-41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방법으로 도출된 장기 기상예측정보를 이용하여 유역에서의 유출량 전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한강권역의 월 강수량과 기온에 대해 글로벌 기후지수와의 원격상관성을 기반으로 다중회귀모형 기반의 통계적 예측모형을 구성하여 미래기간(1~12개월)에 대한 월 단위 기상예측정보를 도출하였다. 월 단위로 도출된 강수량과 기온은 통계적 상세화 기법을 통해 한강권역 주요 ASOS 관측소 지점별로 일 단위 강수량과 기온자료로 변환하였으며, 상세화된 일 자료를 유역모형인 SWAT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경안천 유역의 미래기간에 대한 유출량을 도출하였다. 유출량 예측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과거기간(2003~2021년)을 대상으로 관측유출량과 예측기상정보로부터 산출된 예측유출량을 비교하였다. 각 월별로 예측된 유출량의 중앙값과 관측값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PBIAS는 -5.2~-2.7%, RSR은 0.79~0.91, NSE는 0.34~0.38, r은 0.59~0.62로 강수량 및 기온의 예측성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전 기간에 대해 월별로 분석한 예측결과에 대한 3분위 확률은 5월, 6월, 7월, 9월, 11월은 평균 42.8%로 예측성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월에서의 평균 예측성은 17.3%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상세화된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유역모델링을 통해 산정한 유출량에 대한 전망 결과는 기상예측결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예측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측값 자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불확실성에 기인할 수도 있으며, 유출량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강수량의 예측성에 대한 문제가 유역 모델링 과정에서 증폭되어 나타나는 문제일 수도 있다. 또한 지점별 일 자료로 상세화되는 과정에서의 불확실성, 우리나라 여름철 유출량 변동성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다양한 대상유역에 대한 검토와 기상예측모형의 보완, 상세화 과정에서의 불확실성 해소 등을 통해 예측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 PDF

Pilot Study on the Typhoon for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Application and Disaster Prevention (기상정보 활용 및 방재를 위한 태풍 사례 연구)

  • Park, Jong-Kil;Jung, Woo-Sik;Choi, Hyo-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7 no.1 s.24
    • /
    • pp.21-28
    • /
    • 2007
  • It is very difficult to forecast accurately a damage from the natural disaster which occurs frequently due to the climate change. When the significant weather event is forecast, it will be able to minimize a damage with the suitable prevention action. But 2000's our country meterological disaster damage is a several trillion won.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Japan Meterological Agency, television and newspaper have reported, information substance, transmission system, an ex post facto valuation about typhoon Nabi between september $5{\sim}7$ in 2005 and heavy rainfall in 1998 at Japan. Through the investigation, we want to present basic data order to rises the application effect of disaster prevention meterological information. We think KMA must present many information report to promote a people's understanding about the meterological information and the serious disaster situation. Also the disaster damage estimation model development is necessary, which forecasts the accurate damage scale due to the weather event, such as typhoon, heavy rainfall, strong wind. And also we think the K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related agency, television and newspaper must positive reports the contents which is suitable to disaster response phases and an ex post facto examination. Then it grasps the problem of disaster prevention meterological information and must improve effectively.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Dynamic Water resources Assessment Tool (DWAT) to predict ensemble streamflow (앙상블 하천유량 예측을 위한 동적수자원평가시스템의 적용 및 평가)

  • Jeonghyeon Choi;Deokhwan Kim;Cheolhee Jang;Hyeonjun Kim;Hyeongseob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6-346
    • /
    • 2023
  • 한국은 기상·수문정보의 예측이 기상 및 기후 측면에서 주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단기 및 중기 수자원 평가 및 분석을 위해 필요한 시공간적 규모, 정확도, 평가체계를 고려한 기상 기후 예측정보의 활용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수자원 평가 및 분석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국내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천유량을 예측하고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에서 회원국을 대상으로 배포 중인 수자원 평가 도구인 동적수자원평가시스템(Dynamic Water resources Assessment Tool, DWAT)을 경안천 유역에 대하여 구축하고, 과거 관측 기상 및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보정하였다. 앙상블 하천유량 예측을 위해서 전지구적인 기후 패턴과 국내 기상 특성 간의 상관성 분석 후 이를 예측인자로 활용하여 다중회귀모형과 인공신경망 모형으로부터 생성된 1,000개의 앙상블 강우 및 기온 예측정보를 DWAT의 입력자료로 이용하였다. 2022년에 대한 앙상블예측정보를 DWAT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앙상블 하천유량이 예측되었다. 예측된 일-단위 하천유량은 실제 관측유량과 차이를 보이나 이는 예측된 앙상블 강우 및 기온정보의 오차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수문 모형 결과의 오차는 강제 자료의 오차에 큰 영향을 받는 한계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따라서 단기·중기 수자원 평가 및 분석을 월-단위 하천유량으로 변환하여 월별 통계치를 분석하는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Analysis of the Efficient Clutter Removal Method Using an Array Antenna in a Local Weather Radar (국지적 기상 레이다에서의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효율적인 클러터 제거 방법 분석)

  • Lee, Jong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8
    • /
    • pp.1180-1187
    • /
    • 2022
  • As the likelihood of occurrence of the localized microbursts or severe flooding is increased due to the unusual weather changes, it is the very urgent problem to detect these weather hazards with a local weather radar. For a local weather radar of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detect the low altitude and the fast varying weather conditions. Therefore, the very fast update of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efficient clutter removal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this goal, the appropriate method should be applied which does not need the mechanical elevation scanning and has the capability of the efficient clutter removal. Therefore, in this paper, the useful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elevational filter banks with the spatial FFT algorithm was analyzed and investigated using a simple array antenna. It is shown that the suggested method can be used for both the minimization of the ground clutter and the fast update of weather information.

The Design of Sensor System for Scalable Mobile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s (확장 가능한 모바일 기상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센서 시스템의 설계)

  • Choi, Jin-Oh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6
    • /
    • pp.1327-1332
    • /
    • 2011
  • In the mobile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s, an existing sensor system should be expanded to serve precise information. This is because of large cost problem to add the existing sensors. This thesis proposes a system architecture to construct scalable mobile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s and suggests mobile phone, sensor network, and public traffic vehicle as expended sensors. The proposed scalable sensors are compared each other and analysed the results to evaluated their strength and weakness. In this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e data collected at server, a data processing methods are proposed to support efficient query processing. The proposing data processing methods have several benefits. They compress some data volume sensed by various sources on some area at some time to a logical unit. Still it could preserve same services quality.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수문기상 정보를 이용한 가뭄의 전이 분석)

  • Yu, Myungsu;Kim, Tae-Woong;Cho, Younghyun;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57-357
    • /
    • 2017
  • 가뭄은 다른 재해와 다르게 즉각적이며 객관적인 판단이 쉽지 않은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가뭄을 판단한다. 그러나 적용되는 가뭄지수에 따라 동일한 종류의 가뭄이더라도 판단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가뭄은 발생과정과 피해영향에 따라 기상학적, 농업적, 수문학적,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강수의 부족은 기상학적 가뭄을 발생시키며, 기상학적 가뭄이 지속되면 토양수분 부족으로 농작물의 피해를 가져오는 농업적 가뭄이 나타난다. 이어서,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유역의 토양수분 감소는 하천유량 및 댐 저수량 등의 결핍으로 수자원 부족이 발생하여 수문학적 가뭄을 초례한다. 각각의 가뭄은 다른 종류의 가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가뭄의 종류가 기상학적 가뭄에서 농업적 가뭄 혹은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 변화되는 현상을 가뭄 전이(drought propagation)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 기상학적 가뭄에서 농업적 가뭄으로의 전이관계를 가뭄지수와 수문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상학적 가뭄에서 농업적 가뭄으로 발전되는 가뭄의 크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가뭄 전이 현상을 바탕으로 기상학적 가뭄 상황에 따른 미래의 농업적 가뭄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 계획

  • Choi, Sung-Bong
    • Atmosphere
    • /
    • v.12 no.4
    • /
    • pp.10-19
    • /
    • 2002
  • 독자적 위성통신 기술 개발, 기상재난 조기예측체계 구축 및 해양관측을 위해 국내최초로 제작될 정지궤도 위성인 통신해양기상위성은 집중호우, 태풍, 황사, 적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여 대국민 복지를 제고하고 국가재난 안전관리 체계 구축 및 남북통일에 대비한 신속한 위성통신망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통신해양기상 위성 개발 사업은 2003년에 본사업에 착수하고 2008년에 발사할 예정이며 과학기술부, 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기상청의 주관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해양연구원, 기상연구소 및 국내 관련산업체 등이 개발에 참여하게 된다. 정지궤도위성의 국내개발을 통해 외화절감 및 수입대체효과를 가져오고, 통신해양기상위성 독자개발국으로서의 대외적 위상을 제고할 것이다.

A Study on Framework Development of Weather Information Services on New-Media (뉴-미디어 기상정보 서비스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 Kim, Jin-Tae;Yun, Yong-In;Lee, Kang-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1
    • /
    • pp.201-208
    • /
    • 2011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framework of weather information services which is for processing contents and providing proper contents to new-media such as outdoor electronic display, 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and terrestrial multi-channel broadcasting, etc. By introducing the analysis of media use and perception science of human intelligence, the contents producing method to improve recognizing rate for weather information is provide and the layered framework of weather information services for new-media is designed. It integrates many different services to the framework. It can prevent duplicate investment for services and serve a major momentum to technical progress.

Sensibility by Weather and e-Commerce Purchase Behavior

  • Hyun-Jin Ye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4
    • /
    • pp.177-182
    • /
    • 2024
  • A consumer's decisions are made by affection of product. Affection has types: evaluation, mood, emotion and sensibility that means unconscious changes. Previous researches have clarified weather factors affect to sensibility that means weather factors may have causal effects to consumer's decision making. This research utilize weather information from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SNS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text to make weather sensibility model, and clarify the model shows significant change to online shop customer's purchase behavior(purchase frequency) by merging customer's address information and geometric information of the model for apply weather model. As a result, a model utilize daily precipitation, sunshine hours, average ground temperature, and average relative humidity makes significant result to e-commerce purchase behavior frequency.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the Role of Special Weather Warning (기후변화 적응과 기상특보의 역할)

  • Park, Jong-Kil;Jung, Woo-Sik;Oh, Jin-A;Kim, Eun-Byul;Choi, Soo-Ji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73-173
    • /
    • 201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재해 중 건조와 관련하여 인플루엔자, 호흡기질환 등과 같은 질병과 산불발생빈도의 증가로 인해 건강 및 재산상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의 주택지역은 산림지역과 근접하여 산불 발생시 그 피해와 복구비용이 막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향후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될 경우 건조와 관련한 환자와 산불로 인한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사전방재계획 및 복구계획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건조현상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방재계획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방재 정보를 인지하고 실천하는 개인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특히, 개인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피해는 정부적인 대책보다 개인이 스스로 인지하여 대비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재해에 대한 개인의 인지정도는 대책마련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조로 인한 질병 및 산불 발생 등 기상재해 증가에 대한 사전방재계획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설문조사분석을 통한 일반인의 건조특보 인지도 및 활용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후가 변화함에 따라 더운 낮과 밤의 증가로 건조현상뿐만 아니라 폭염의 발생빈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후변화 적응측면에서 국민들의 건조특보 및 폭염특보와 관련한 정보 습득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대학생의 주된 폭염특보 관련 정보습득경로가 TV와 인터넷인 점을 참고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건조특보와 폭염특보 발표일수와 TV, 인터넷의 대중매체를 통한 보도회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집단과, 10대, 20대의 저연령층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는 대중 매체를 통한 건조특보와 관련한 정보전달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폭염특보와 관련한 언론보도는 기상전달뿐만 아니라, 폭염의 위험성, 폭염으로 인한 피해상황, 폭염특보제 홍보, 폭염과 관련한 대비책 등 다양한 내용으로 기재되었다. 반면에, 건조특보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단순 기상전달로 폭염특보에 비해 보도의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차후 대중매체를 통한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이 필요하다. 산불 및 화재예방과 관련하여 기상청의 정확한 기상정보 제공과 사전방재계획 수립에 대한 필요성을 직업별, 연령별로 구성된 각 집단의 50%이상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상정보 전달의 핵심인 기상청을 중심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상의 기초교육부터 체계적인 사전방재계획 및 안전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