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쁨

Search Result 3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Joy in Russian and Korean (기쁨의 의미연구 -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

  • Kim, Jung-Il
    • Cross-Cultural Studies
    • /
    • v.41
    • /
    • pp.113-140
    • /
    • 2015
  • This paper explains how the basic and instinctive emotion "joy" is verbally expressed in Russian and Korean. In particular, the main concern of this pater is on the cultural context with which the emotion "joy" is related and the ways in which the emotion "joy" has a wide range of uses. The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the uses of the expression "joy"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in both languages. In Russian, joy has two variants, radost' and udovol'stvie.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however, the former is mainly connected with more mental, spiritual, cultural, and religious contexts, whereas the latter is mainly related with more concrete, instantaneous contexts and daily life. The former produces an impression that has a more wide, spiritual, and macroscopic attitude toward a situation, whereas the latter produces an impression that has a microscopic and instantaneous attitude toward a situation. Compared with the Russian expressions, the Korean equivalents, 기쁨 and 즐거움, have a very similar opposition like that of the Russian. The former is based on a more logical and causal relation between an anticipation or desire and the current situations, whereas the latter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speakers in a situation and has a very instantaneous characteristic, like a udovol'stvie in Russian. Thus, it can be reasonable argued that the Russian udovol'stvie and the Korean 즐거움 share many similar semantic properties. In brief summary, in both languages there exists two distinctive variants that show a privative opposition to express the emotional concept of joy.

Health Zone_마음 비타민 - 기쁨과 희망! 찾아라 그러면 찾을 것이니

  • Lee, Eun-Jeong
    • 건강소식
    • /
    • v.36 no.7
    • /
    • pp.32-33
    • /
    • 2012
  • 앉아서 기다리는 자에게 기회가 찾아오진 않는다. 스스로 기회를 만들고 찾아나서는 사람에게만 손을 내미는 것이 바로 기회다. 그런데 우리가 갈망하는 행복과 기쁨, 희망도 마찬가지다. 마냥 앉아서 기다린다고 시나브로 행복해지는 건 아니다. 기쁨도, 희망도 모두 스스로 찾고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이 평범한 진리를 아는 사람이 드물다.

  • PDF

An acoustic study of feeling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표준어와 방언간의 감정변화에 대한 음성적 연구)

  • Lee, Yeon-Soo;Park, You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63-66
    • /
    • 2009
  • 사람의 감정 변화에는 크게 기쁨, 슬픔, 흥분, 보통 4가지 상태로 말할 수 있다. 이 4가지 상태에서 기쁨과 슬픔, 흥분과 기쁨 상태가 음성학적으로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흥분과 기쁨의 상태에서 방언의 노말 상태가 표준어의 기쁨, 흥분상태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표준어와 방언 간의 특징 때문에 흥분 상태를 인지하는 경우 방언의 보통상태가 흥분상태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음성학적인 차이를 구분 하고자 한다. 이들을 비교하기 위해 Pitch, Formant와 Formant RMS error 3가지 요소를 통하여 표준어와 방언간의 흥분 상태를 연구 하였다.

Neural Correlates and Electrodermal Activity Produced by Humor and Joy (유머와 기쁨에 따른 뇌 활성화와 말초의 피부전기 반응)

  • Suk Ji-A;Jang Eun-Hye;Lee Ok-Hyun;Lee Young-Chang;Sohn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373-37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뇌의 반응과 말초신경계의 변화를 통하여 유머와 기쁨의 긍정적인 정서의 구분이 가능한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fMRI와 말초신경계 반응 측정 실험 각각을 수행하는 동안, 유머와 기쁨정서를 유발하는 동영상 자극(2분)이 제시되었고, 실험이 끝난 후 심리적인 평가도 함께 수행되었다. fURI 실험은 boxcar design으로 한 session 내에 두 block으로 구성되었다. 말초신경계 반응실험에서는 안정상태와 정서상태에서의 피부전기 반응을 측정하였다. fMRI 결과, 유머자극과 기쁨자극 제시 시 공통적으로 precentral Cortex, temporal Cortex, precuneus 가 활성화 되었고, 유머자극은 기쁨자극에 비하여 우측 middle temporal cortex, 우측 inferior frontal cortex, 좌측 middle frontal cortex 에서 큰 활성화를 보였다. 피부전기 반응(EDA) 분석 결과 두 정서 모두 안정상태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유머자극은 기쁨자극에 비하여 피부전도수준(SCL)과 피부전도반응의 수(NSCR)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ifference of Facial Skin Temperature Responses between Fear and Joy (공포와 기쁨 정서 간 안면온도 반응의 차이)

  • Eum, Yeong-Ji;Eom, Jin-Sup;Sohn, Jin-H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5 no.1
    • /
    • pp.1-8
    • /
    • 2012
  • There have been many emotion researches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responses on specific emotions with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heart rate, blood volume flow, and skin conductance. Very few researches, however, exists by detecting them with facial skin temperatur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facial skin temperature by using thermal camera, when participants stimulated by monitor scenes which could evoke fear or joy. There were totally 98 of participants;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in their adult age and midd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ir adolescence. We measured their facial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presenting emotional stimulus to see changes between both times. Temperature values were extracted in these regions; forehead, inner corners of the eyes, bridge of the nose, end of the nose, and cheeks. Temperature values in bridge and end of the no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fear emotion stimulated. There was also significant temperature increase in the area of forehead and the inner corners of the eyes, while the temperature value in end of the nose decreased. It showed decrease in both stimulated fear and joy. These results might be described as follows: When arousal level going up, sympathetic nervous activity increases, and in turn it makes blood flow in peripheral vessels under the nose decrease. Facial temperature changes by fear or joy in this study were the same as the previous studies which measured temperature of finger tip, when participants experiencing emotions. Our results may help to develop emotion-measuring techniques and establish computer system bases which are to detect human emotions.

  • PDF

An Analysis on the Pitch Variation Of the Emotional Speech (감정 음성의 피치 변화 분석)

  • Chun Heejin;Chung Jihye;Kim Byungil;Lee Yanghe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93-96
    • /
    • 1999
  • 감정을 표현하는 음성 합성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이전 논문에서는 음운 및 운율 요소(피치, 에너지, 지속시간, 스펙트럼 인벨로프)가 각 감정 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네 가지 감정 표현(평상, 화남, 기쁨, 슬픔)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에 대해 음절 세그먼트와 라벨링을 행한 감정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감정 표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피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감정별 피치를 정규화 하였으며, 감정 음성 데이터베이스 내의 문장별 피치 패턴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감정별 피치의 평균 ZScore는 화남이 가장 작았으며, 기쁨, 평상, 슬픔의 순으로 높았다. 또한 감정별 피치의 범위 변화는 슬픔이 가장 작았으며, 평상, 화남, 기쁨의 순으로 높았다. 문장별 피치의 패턴은 감정 표현에 따라 전체적으로 대부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문장의 처음 부분은 화남의 경우 다른 감정에 비해 대체로 높게 변화하였고, 화남과 기쁨의 경우 문장의 뒷부분에서 다른 감정에 비해 피치가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Toegye : a person of pleasant and noble mind (퇴계(退溪)의 인간상(人間像) : 열락군자(說樂君子))

  • Lee, Sangik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41
    • /
    • pp.39-70
    • /
    • 2014
  • Toegye pursues a life of pleasure, joy and nobility. Anyone who is a scholar shall feel a joy in learning and practicing. However, not everyone can enjoy true pleasure or true calling through self-cultivations. Everybody wants "a joy of distant friends' visitations." But most of Confucian scholars prefer forests as a place of learning and self-cultivation. Toegye especially likes a forest life and then gives same value to walking as to reading. "Not to be angry even if not recognized" must be a high stage of self-cultivation. Toegye does not pursue fame or glory and always resign into a country life. His life-time resignation makes him obtain great after-death fame and glory. Thus, nobody feels jealousy against him but adores him.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이해 : Sen의 인간 존재실현력(human capability) 패러다임을 통한 접근

  • Choe, Hye-Ji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3
    • /
    • pp.103-126
    • /
    • 2009
  • 본 연구는 조손가족 연구의 패러다임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인간의 존재적 역량과 선택적 자유를 강조한 Sen의 인간 존재실현력 패러다임을 조손가족 연구에 적용하여 선행연구의 시각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조손가족 조부모의 존재실현력을 성별과 연령대별로 고찰하고, 존재실현력이 성취된 기능으로써 양육부담과 양육기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했다. 이차자료를 이용한 사회조사연구로 설계했으며, 100명 조손가족 조부모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남성 조부모는 여성 조부모보다 존재실현력의 모든 지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연령대에 따른 존재실현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부모의 양육부담은 질병유무, 수리력, 관계의 질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으며, 양육기쁨은 일상생활기술, 관계의 질, 유희역량, 재정상태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착한 중소기업, 행복나눔 전도사 최전남 남성기전(주) 대표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01
    • /
    • pp.59-61
    • /
    • 2015
  • 처음에는 가족끼리 작은 실천을 했다. 그 기쁨은 컸다. 누군가와 함께 그 기쁨을 나누고 싶었다. 그래서 회사로, 그가 속한 집단으로 나눔이 점차 커져갔다. 최전남 남성기전(주) 대표(한국자동제어공업협동조합 이사장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 감사) 이야기다. 최전남 대표의 꾸준한 나눔활동은 한사람의 배려(날개짓)가 여러 불우한 이웃을 행복하게 하는 나비효과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또한 따뜻하고 착한 중소기업의 인식개선에는 이만한 활동이 없기 때문이다. 남에게 배풂으로써 내가 행복하고 이웃이 행복하다는 '행복나눔 전도사' 최전남 대표를 만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