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본심리욕구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1초

관광지에 대한 인지행동론적 연구 동향

  • 한병선;신대봉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2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5-39
    • /
    • 1992
  • 인간은 누구를 막론하고 미지의 지역에 대한 동경과 아울러 그 지역을 방문해 보고자 하는 기본적인 심리를 가지고 있다. 특히 경제적 여유가 신장되고 관광에 대한 일반의 관심이 대단히 높아지면서 우리 주변에 산재하고 있는 관장자원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다.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관광객들 개개인의 서로 다른 욕구와 취향, 또는 외부적 여건으로 인한 지각(Perception)의 결과 관광 환경에 대한 상이한 Image가 형성될 것이며, 이는 곧 관광 주체로 하여금 관광지를 선택하게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관광지리학 분야에서의 관광자원 또는 Wildness에 대한 인지행동론적 연구는 1960년대의 주관적 환경을 강조하는 행태지리학에서 시작되었으며 관광 목적지에 대한 지각, 인지, Mental Map, 관광행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계량적이고 실증적인 시대의 전형적인 산물로서 관광객들의 직접적인 관광형태로 나타나게 하는 의사결정 과정을 중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에 대한 인지는 과거에 개인의 경험과 현재의 다양한 주변 여건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오늘날 인지행태론적 연구는 관광지리학 뿐만 아니라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등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관광지 및 관광자원에 대한 국내외의 인지행태론적 연구를 검토해 보고 이러한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MDS 분석법을 살펴 보고자 한다.

  • PDF

여대생의 기본 심리 욕구와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Basic Needs and Career Indecision)

  • 강성진;유순화;최혜경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058-107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basic needs(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career indecis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60 female college students in B city. To analyze data,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sychological basic needs was generally high among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rades. Second,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was generally low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rades. Third, the result of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basic needs and career indecision. Discussions and suggestions related to the results were provided.

자기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동기 경로 모형 검증 (Examination of the Learning Motivational Process Model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 이민희 ;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
    • /
    • pp.77-99
    • /
    • 2008
  • 자기결정이론에서는 기본적인 욕구 - 자율성, 능력감, 유대감 - 를 충족시켜주는 사회적 환경에서 성장한 청소년들에게 자기 결정력이 발달하여 공부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삶에 대한 만족감이 증가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의 이런 주장이 한국 청소년에게도 적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장면에서 동기가 형성되고 작동하는 경로를 추적해보았다. 연구 결과, 한국 청소년들에게 자기결정이론은 부분적으로 부합했다.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면 자기결정력이 발달하고, 자기결정력이 발달하면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며,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면 주관적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타율성을 억제하고 공부에 대한 걱정, 불안감, 경쟁심, 죄책감, 수치심 등을 완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그러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자기결정력의 영향은 미미하였고 학업성취도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즉, 한국에서는 스스로 공부하고, 성적이 좋은 학생들의 삶의 질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더 나은 것은 아니었다.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들은 부모, 교사,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능력감을 맛보며, 자율적인 삶을 살 필요가 있어 보인다.

  • PDF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아동의 의사결정 참여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 채은영;이재연
    • 아동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9-151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87 elementary school students (5th and 6th grad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EM. Results: First,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Secon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through the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Third,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ed the effects of parents' and teachers's autonomy support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The finding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prospective research and practices for improvi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 요인이 학습만족과 학습전이를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MP Learner Basic Psychological Need factor on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Transfer)

  • 이은혜;권두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3-227
    • /
    • 2017
  • The recent entry into information society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universalization of the Internet through rapid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produced a new educational method called PMP learning. PMP learning overcomes restrictions of previous education methods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allows the learners to customize their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ir leads, providing voluntary education that centers on the learner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in academic achievement of PMP learners through the theory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metastasi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 study model which applies perceived autonomy, perceived competence, and perceived relationship, which are major variables of the theory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was presented. For practical verification of the study model,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for students of R High School in Hamyang.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in PMP learning. It also plans to suggest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by supporting intrinsic motivation of learners.

학령기 아동의 안녕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School-Aged Children's Well-Being and Its Related Variables)

  • 이희은;문수백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45-5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well-being. 748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umi-City, Pohang-City and Ulsan-City in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well-being, ego-resilience, self-esteem,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 attachment perceived by children. A variance-co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S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go-resilience, self-esteem,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 attachment were a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hildren's well-being. Second, children's self-esteem,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 attachmen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go-resilience. Third,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 attachmen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Fourth, parent attachmen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부모-자녀관계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유신복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2호
    • /
    • pp.466-47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basic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8 college students.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PSS 21.0 program, Amos 21.0. Additionally, PROCESS Macro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research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alternative structural model. The final SEM model fit indices of $x^2$(df), CFI, TLI, RMSEA were met the acceptable criteria of model fitness. In other words, among the goodness-of-fit indexes of the final study model, $x^2=261.075$(p<.001), RMSEA is .082, TLI equals .925, CFI equals .940.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Parental attachment has a direct effect o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lso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ve a direc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Second, Competence and relatedness showed a mediating effects on Parental attach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국가기술자격증을 위한 스마트러닝 ARCS 동기이론이 상호작용성, 학습몰입, 즐거움을 통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Smart Learning fo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RCS Motivation Theory is Interactive, Immersive Learning, Research Influence of Continuous use with Pleasure)

  • 박동철;황찬규;권두순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01-132
    • /
    • 2015
  • 국가기술자격은 개인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키고,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자격'은 '학력'과 함께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여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신호기능을 가지고 있고,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 등의 습득정도가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평가 또는 인정되는 것"이다.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학습은 스마트러닝을 통하여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인터넷의 발전과 정보통신기술의 혁명으로 인해 정보와 지식을 중요시하는 지식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교육제도 변화에 발맞추어 최근 급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스마트러닝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본연의 심리욕구를 다룬 대표적인 이론인 기본심리욕구 요인과 인간의 동기를 결정지을 수 있는 ARCS 동기이론이 상호작용성과 학습몰입, 즐거움을 통해 스마트러닝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 검증 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ARCS 동기유발에서의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을 통해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가기술자격증 스마트러닝에서 수강생의 내재동기화를 지지함으로써 스마트러닝의 학습자들은 지속적 사용의도가 있다. 따라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국가기술자격증의 취득의 목적을 달성하여 기술의 습득은 물론 산업의 발전과 자격증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래관계에 대한 자기평가편향과 주관적 안녕감, 대인행동의 관계: 적정한계선 가설의 검증 (How self-estimation bias in peer relationship relates to subjective well-being and to interpersonal behaviors: Testing the optimal margin hypothesis)

  • 이은주;염혜선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263-286
    • /
    • 2020
  • 본 연구는 실제 또래관계에 비해 자신의 또래관계를 긍정적으로 편향되게 지각하는 경향이 주관적 안녕감 및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대인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긍정적 착각의 적정한계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자기평가편향이 이들 변인과 곡선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346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에 한정된 영역특수적 자기평가와 그에 상응하는 객관적 또래관계 지표인 내향중심성을 준거로 자기평가편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에 대한 자기평가편향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게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기평가편향은 부정정서와 유의미한 정적 곡선관계, 관계성지지 대인행동과 유의미한 부적 곡선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 착각의 적정한계선 가설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긍정적 자기평가편향이 높을수록 부정정서는 낮고 대인관계에서 타인의 관계성 욕구를 지지하는 대인행동을 많이 하지만, 자기평가편향이 적정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부정정서는 높아지고 관계성 지지행동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긍정정서, 유능성지지 대인행동, 자율성지지 대인행동에 대해 정적 선형관계를 나타낸바, 긍정적 착각의 적정한계선 가설이 모든 결과변인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었다.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한국 재가노인의 욕구중심 사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Need Assessment Tool for the Korean Elderly at Home Focused on their Desires Based)

  • 김영숙;정국인;박소라
    • 한국노년학
    • /
    • 제27권2호
    • /
    • pp.459-472
    • /
    • 2007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에 거주하는 재가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환경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욕구 중심의 사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정도구는 총 20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가노인의 신체, 심리, 사회·환경적 상황을 통합적으로 사정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노인이 현재 생활하며 느끼는 실제적인 욕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주관적 호소를 포함시킴으로써 전문가적 입장에서 관찰되는 객관적 측면뿐만 아니라 노인의 주관적인 삶의 모습을 표현하게 하였다. 본 도구의 개발은 2004년 7월부터 2006년 3월까지 21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크게 그 과정을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단계에서는 문헌고찰, 외국자료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욕구 중심의 통합적 사정을 위한 문항들을 수집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1차적으로 개발된 도구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범사업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시범사업에서 선정된 250명의 재가노인과 본 연구팀이 자체적으로 선정한 재가노인 200명의 대상자에게 본 도구를 적용한 후, 도구의 미흡한 점을 수정, 보완하였다. 3단계에서는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포커스 집단 활용과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도구는 13개의 하위영역에 총 200문항이 구성되었다. 그 하위영역은 기본정보, 주관적 호소내용, 주수발자의 기본정보, 현재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주거환경, 건강상태, 재활상태, 일상생활(ADL, IADL, 배변, 배설, 조력), 사회적 지지, 행동장애, 의료건강, 생활습관, 강점으로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