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록군

검색결과 1,113건 처리시간 0.024초

증평군 기록관은 증평을 닮았다 (The JeungPyeong-gu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Office resembles JeungPyeong)

  • 신유림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82-287
    • /
    • 2019
  • 충청북도 증평군은 1읍 1면의 행정구역과 3만 7천명의 인구를 가진 전국에서 손꼽히는 작은 기초자치단체이다. 그러나 증평의 사람들은 한마음으로 뭉쳐 증평군으로의 승격을 이루어 내는 등 꾸준히 '도전과 투쟁의 역사'를 만들어왔다. 증평군 기록관도 최근 여러 실험적인 도전을 통해 연구사 충원과 함께 지역아카이빙 사업예산을 확보하면서 증평군과 비슷한 '작지만 위대한' 성공들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2017년부터 증평군 기록관에서 추진했던 마을기록 만들기, 경관 아카이빙, 기록전시회, 국비공모 등의 사업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그 의미를 짚어보았다. 증평군 기록관의 성공경험을 공유하고, 더 많은 기록관들이 도전적인 실험을 할 수 있도록 작게나마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보훈복지 관점에서 살펴본 미 육군의 인사기록 관리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Personnel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the U.S. Army in terms of Veterans' Welfare)

  • 김용찬
    • 기록학연구
    • /
    • 제62호
    • /
    • pp.259-286
    • /
    • 2019
  • 본 연구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의 보훈복지 사업 추진을 위한 근간이 되는 군 인사기록의 중요성과 철저한 기록관리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미 육군의 사례(육군 군 인사기록(AMHRR), 양방향 인사 전자기록 관리 시스템(iPERMS), 기록정보서비스)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 군에 적용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보훈복지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함께 사회 저변에 군을 예우하는 풍토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통합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tadata Schema for the Records and Archives on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 서연수;남연화;박지원;엄소영;김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9-129
    • /
    • 2016
  • '군위안부' 관련된 문제해결과 올바른 역사교육을 위해 '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은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서는 국가지정기록물로 관리되고 있는 '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은 일부에 해당하며 '위안부'와 관련하여 다양한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민간기관에서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을 다양하게 소장하고 있다. 민간기관의 수도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이며, 각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기록물들은 문서류뿐만 아니라 시청각 기록물류, 박물류로 다양한 유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민간기관의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통합 메타데이터 스키마 구축을 제안하였다. 먼저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관 및 단체와 기록물의 유형 및 특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여러 기관의 기록물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기준으로 분류하고, 기록물의 유형 및 특징을 참고하여 국가표준인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을 기반으로 스키마를 제안하였다.

일본군 '위안부' 지식그래프: 파편화된 디지털 기록의 연결 (A Knowledge Graph on Japanese "Comfort Women": Interlinking Fragmented Digital Archival Resources)

  • 박하람;김학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1-78
    • /
    • 2021
  •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기록은 민간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일부 기록은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되어 온라인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록은 기관에 따라 메타데이터의 구성과 표현 방식이 다르다. 한편, 기록 사이의 관계를 정의할 수 있는 체계가 미흡하기 때문에, 현재 구축된 일본군 '위안부' 기록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파편적인 형식으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디지털 기록을 연계하기 위한 지식 모델을 제안하고, 분산화된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록을 통합하여 일본군 '위안부' 지식그래프를 구축한다. 일본군 '위안부' 디지털 아카이브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공통 요소를 도출하고, 표준 어휘를 적용하여 디지털 기록의 다양한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를 의미적으로 표현한다. 특히, 흩어져 있는 기록을 연계하고 검색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의 정제가 이루어지고, 외부데이터를 활용하여 기록의 맥락 정보를 강화하고 있다. 구축된 지식그래프의 검증은 분산된 기록의 탐색 여부를 측정하는 질의를 통해 수행된다. 검증 결과, 지식그래프는 흩어져 있는 기록을 연계하여 검색할 수 있고, 외부데이터로부터의 강화로 기록의 맥락 정보를 풍부하게 제공하며, 의미 기반의 검색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맞춘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다.

특성화에 기반한 시.군 자료관 설립 방안 연구 - 경기도를 사례로 - (Characteriz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City/County Records Centers in Kyonggi Region)

  • 김익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5-175
    • /
    • 2004
  • 시 군 자료관은 이용자층이나 운용목표 등에 있어서 공공기관에 설치되는 자료관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시 군 자료관 설립을 위해서는 시 군의 환경 및 시 군 자료관의 특성에 맞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 군 자료관의 일반적 특성은 물론 각 시 군의 기록물관리 환경을 고려한 설립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경기도 시 군 자료관의 설립 환경을 분석하였다. 기록물관리법에 근거하여 자료관의 개념과 기능을 정리하고, 경기도 시 군 기록물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둘째, 시 군 자료관에 적합한 단계별 설립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각 시 군이 기록물관리 환경과특성에 맞는 자료관 설립전략을 세우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해 3가지 유형의 자료관 모델을 제시하였고, K시, S시, Y시 등 3개시를 대상으로 이러한 특성화 전략을 적용해 보았다.

  • PDF

일본군 '위안부' 구술기록의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data Elements for Management of Oral History Archives about Sexual Slavery by Japan's Military)

  • 봉지현;남영준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5-250
    • /
    • 2019
  •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구술기록은 중요한 증거로써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시의 피해상황이나 실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와 여러 기관의 구술자료에 대한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구술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는 총 16개의 상위요소와 각각 그에 따른 하위요소로 구성하였다. 제안된 상위요소들은 6개의 '필수요소'와 10개의 '선택요소'로 구성하였다. 필수요소는 기록물의 제목(Title), 면담날짜(Date), 기록물의 형태(Format), 구술기록을 생산한 구술자(Creator), 구술기록의 면담내용(Content), 기록물의 권한(Rights) 요소이다.

한반도 미기록속 식물: 대청지치(지치과) (The first record of Thyrocarpus glochidiatus (Boraginaceae) in Korea)

  • 양종철;이유미;박수현;하상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73
    • /
    • 2010
  •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도에서 발견된 지치과 미기록속의 1분류군을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 분류군은 중국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Thyrocarpus glochidiatus Maximowicz로서, 한국명은 발견된 지역명을 따라 '대청지치'로 명명하였다. 이 분류군에 대한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고, 도해 및 생태 사진을 제시하였다.

인터넷 정보망을 이용한 군 건강 및 생산관리수의학

  • 김선진;이학모;손우찬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021-1028
    • /
    • 2000
  • 본 란에서는 지난 호의 군 건강 및 번식 관리 프로그램의 원리에 이어서, 이 프로그램을 효율적인 기록 관리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기록이라 하면 단순한 사실의 나열을 넘어서 자료들을 통합하고 가공하며 유용한 형태로 보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록은 수의사나 농부의 능력을 가늠하는 척도로 여겨질 만큼 중요하다. 여기서는 무엇을 기록해야 하는가 하는 점에서부터 자료의 저장 방법 및 다양한 시스템들, 특히 컴퓨터 이용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 PDF

한국군 해외파병 관련 국내 기록의 현황과 기록관리 실태 (Current State of Domestic Records and Record Management Related to Dispatch of ROK Armed Forces)

  • 유정아;임진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7-319
    • /
    • 2016
  • 한국군의 해외파병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세계평화유지에 기여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국가안보를 더욱 굳건하게 하며, 간접적으로는 국방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등 상당한 의미를 가지는 당대의 사건이라 하겠지만, 관련 기록들에 대한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해외파병업무가 진행되는 동안 생산되는 각종 기록들은 다양한 관련 기관으로 분산되어 관리되고 있어 개별 기록물들에 대한 검색이나 접근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정 해외파병과 관련된 일련의 기록들을 컬렉션화하는 작업은 더더욱 어렵다. 또한 해외파병과 관련된 기록들은 대부분 공적 프레임의 차원에서 작성된 기록물만을 이관대상으로 하고 있어 일상 아카이브 측면에서의 기록물 생산 및 관리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군 해외파병과 관련된 기록의 현황을 파병절차, 관련 기관 및 파병부대별로 정리하고, 기록관리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