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도 공간

Search Result 4,064,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Handwritten Numeral Recognition Using Karhunen-Loeve Transform Based Subspace Classifier and Combined Multiple Novelty Classifiers (Karhunen-Loeve 변환 기반의 부분공간 인식기와 결합된 다중 노벨티 인식기를 이용한 필기체 숫자 인식)

  • 임길택;진성일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C
    • /
    • v.35C no.6
    • /
    • pp.88-98
    • /
    • 1998
  • Subspace classifier is a popular pattern recognition method based on Karhunen-Loeve transform. This classifier describes a high dimensional pattern by using a reduced dimensional subspace. Because of the loss of information induced by dimensionality reduction, however, a subspace classifier sometimes shows unsatisfactory recognition performance to the patterns having quite similar principal components each oth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se of multiple novelty neural network classifiers constructed on novelty vectors to adopt minor components usually ignored and present a method of improving recognition performance through combining those with the subspace classifier. We develop the proposed classifier on handwritten numeral database and analyze its properties. Our proposed classifier shows better recognition performance compared with other classifiers, though it requires more weight links.

  • PDF

Fuzzy Behavior Knowledge Space for Integration of Multiple Classifiers (다중 분류기 통합을 위한 퍼지 행위지식 공간)

  • 김봉근;최형일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6 no.2
    • /
    • pp.27-45
    • /
    • 1995
  •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Fuzzy Behavior Knowledge Space(FBKS)" and explain how to utilize the FBKS when aggregating decisions of individual classifiers. The concept of "Behavior Knowledge Space(BKS)" is known to be the best method in the context that each classifier offers only one class label as its decision. However. the BKS does not considers measurement value of class label. Furthermore, it does not allow the heuristic knowledge of human experts to be embedded when combining multiple decisions. The FBKS eliminates such drawbacks of the BKS by adapting the fwzy concepts. Our method applies to the classification results that contain both class labels and associated measurement values.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FBKS could be a very promising tool in pattern recognition areas.

  • PDF

A Classified Space VQ Design for Text-In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문맥 독립 화자인식을 위한 공간 분할 벡터 양자기 설계)

  • Lim, Dong-Chul;Lee, Hanig-Sei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6
    • /
    • pp.673-680
    • /
    • 2003
  • In this paper, we study the enhancement of VQ (Vector Quantization) design for text in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In a concrete way, we present a non-iterative method which makes a vector quantization codebook and this method performs non-iterative learning so that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epochally reduced The proposed Classified Space VQ (CSVQ) design method for text In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is generalized from Semi-noniterative VQ design method for text 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CSVQ contrasts with the existing desiEn method which uses the iterative learninE algorithm for every traininE speaker. The characteristics of a CSVQ design is as follows. First,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the non-iterative learning by using a Classified Space Codebook. Second, a quantization region of each speaker is equivalent for the quantization region of a Classified Space Codebook. And the quantization point of each speaker is the optimal point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each speaker in a quantization region of a Classified Space Codebook. Third, Classified Space Codebook (CSC) is constructed through Sample Vector Formation Method (CSVQ1, 2) and Hyper-Lattice Formation Method (CSVQ 3). In the numerical experiment, we use the 12th met-cepstrum feature vectors of 10 speakers and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method, changing the codebook size from 16 to 128 for each Classified Space Codebook. The recognition rate of the proposed method is 100% for CSVQ1, 2. It is equal to the recognition rate of the existing method. Therefore the proposed CSVQ design method is, reducing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maintaining the recognition rate, new alternative proposal and CSVQ with CSC can be applied to a general purpose recognition.

A wavefront analyzer for precise measurement of the visual acuity (시력 정밀 측정용 파면분석기)

  • 고동섭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72-73
    • /
    • 2003
  • 시력 진단장비로는 자각식 측정법인 시력표, 타각식 계측기로는 검영기와 자동굴절력측정기 등이 있으나 눈도 일반 광학계와 같이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눈의 광학적 기능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광학수차의 공간 분포를 정밀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광학수차는 시력의 한계를 규정하고 안광학 기기의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눈의 광학수차를 측정하기 위한 파면분석기에는 공간분해굴절계, Tscherning 파면분석기, 광선추적파면분석기, 주사실틈굴절계, 그리고 Shack-Hartmann 파면분석기(SH 파면분석기) 등이 있으며, SH 파면분석기는 적응광학계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ound field reproducing algorithm for home theater systems (효과적인 홈시어터용 음장재생 알고리즘 개발)

  • Shim Hwan;Lee Sin-lyul;Yoo Jae-hyoun;Sung Koeng-M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531-534
    • /
    • 2004
  • 음장 재생기는 인공잔향기의 일부로 알려져 있었으나 실제로는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인공잔향기의 용도가 대체로 무향에 가까운 음원에 인공잔향을 가해주는 것이라면, 음장 재생기는 청취자에게 넓은 공간감을 위해 이미 잔향이 가해진 음원에 초기반사음만을 가해주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음장재생기는 모사하고자 하는 공간의 충격응답에서 직접음 대비 반사음의 세기를 조절하여 sound coloration을 줄이고, 초기반사음의 패닝을 이용하여 넓은 공간감을 효과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본 음장재생기는 ITDG, LEF, Stage width, Room size, Liveness 등의 객관적 인자들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공간의 모사뿐 아니라 가상공간의 크기와 느낌을 변화시킬 수 있다.

  • PDF

A micromachined spatial light modulator for phase and amplitude modulation (미세 가공 기술로 제작된 위상 및 방향 변조용 공간 빛 변조기)

  • 정석환;김용권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36-37
    • /
    • 2000
  • 최근 Micro-Opto-Electro-Mechanical(MOEMS)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적응 광학(Adaptive optics)분야나 패턴 인식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공간 빛 변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적응 광학용 공간 빛 변조기는 대기의 turbulence에 의하여 왜곡된 빛의 위상을 파면 센서(wave sensor)와 실시간 제어기를 통해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적응 광학 분야에서 상업적으로 사용되던 기존의 공간 빛 변조기는 전왜소자 배열(piezoelectric actuator array)에 의하여 지지되는 평면 거울을 사용하여 크기가 크고 전력 소비도 심하며 무엇보다도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다$^{(1)}$ . 그러나 MOEMS 기술의 적용으로 인해 공간 빛 변조기의 크기 및 무게 그리고 소비 전력이 줄어들었으며 반도체 공정을 통한 대량 생산으로 저가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중략)

  • PDF

Data Management Method of Table Unit for Efficient Load in a Spatial Data Warehouse Builder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기에서 추출된 데이터의 효율적인 적재를 위한 테이블 단위의 데이터 관리 기법)

  • Kim, Hyung-Sun;You, Byeong-Seob;Park, Soon-Young;Lee, Jae-Dong;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79-81
    • /
    • 2005
  •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기는 운영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버에 적재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구축기는 적재로 인한 서버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적재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데, 기존 기법은 적재할 데이터를 하나의 저장 공간에 관리한다. 따라서 서버가 특정 차원 테이블에 대한 실시간 질의처리를 위해 특정 차원 테이블의 즉시 적재를 요청할 경우, 구축기는 이를 위해 임시 저장한 모든 데이터를 검색하므로 처리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하나의 저장공간에 적재할 데이터를 유지하여 서버에 데이터 적재 시, 저장을 위해 혼합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비용이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기에서 추출된 데이터의 효율적인 적재를 위한 테이블 단위의 데이터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운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서버에 적재할 차원 테이블 단위로 구축기에서 각각 다른 저장 공간에 관리한다. 따라서 테이블 단위의 데이터 관리로 실시간 질의처리를 위한 특정 차원 테이블의 즉시 적재 비용이 감소하며, 테이블 단위의 병렬전송이 가능하여 전송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서버로 전송된 데이터는 테이블 단위의 벌크 삽입이 가능하여 적재시간이 감소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aster Processor for Spatial Object Management System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을 위한 래스터 처리기의 설계와 구현)

  • 박재진;황태규;김광;허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47-14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국가 지리정보 시스템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현재 연구, 개발되고 있는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에서 래스터 형태의 공간 정보를 처리하는 래스터 처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먼저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의 저장 시스템안에 저장될 래스터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클래스 라이브러리의 형태로 구현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작성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래스터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질의문 작성에 포함되는 질의 연산 및 관련 모듈을 구현하여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의 질의 수행기에 삽입하여 래스터 정보의 질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Time-Space Dimensions and Geometrical Spaces of Electronic Media Technologies (전자 미디어 기술의 시공간 차원과 기하 공간)

  • Lee Hee-S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2 s.113
    • /
    • pp.227-243
    • /
    • 2006
  • This paper reviews how electronic media technologies involve and produce time-space dimensions in geometrical spaces, focusing on four theoretical perspectives: van Dijk's dual structure of networks as scale extension and reduction; Latour's actor-networks as fluid and hybrid networks; Virilio's dromospherical time as global media vectors; and Castells' timeless time as non-sequential flows. In these four theoretical perspectives, we can see that electronic media technologies involve different and multiple time-space dimensions in geometrical media spaces: from the two-dimensional spaces (surfaces) of concentric circles, through the one-dimensional spaces (lines) of actor-networks to the zero-dimensional spaces (points) of dromospherical time and finally to the multi-dimensional spaces (hypertexts) of timeless time.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we need to explain electronic media spaces not only in terms of geometrical media spaces but also in terms of geographical media spa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electronic media spaces are dis/embedded in geographical spaces.

Method for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extraordinary axis direction Twisted-Nematic Liquid Crystal Spatial Light Modulator (꼬인 네마틱 액정 공간 광 변조기의 이상 굴절 축 회전 방향 결정 방법)

  • 조규보;김수중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4.06a
    • /
    • pp.85-88
    • /
    • 2004
  • 광 정보 처리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실시간 동작이 가능한 공간 광 변조기를 사용하며 그중 액정 화면은 기존의 공간 광 변조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특히 꼬인 네마틱 액정 화면 공간 광 변조기는 전기 신호에 따라 광을 변조 할 수 있다는 원리에 의해 여러 가지 이론과 설계 방법이 연구되었으며 기본 매개 변수들을 효과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계속 발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원형 편광 된 광을 꼬인 네마틱 결정을 갖는 공간 광 변조기에 투사 시켜서 검광기에 통과한 세기 분포를 관찰하여 이상 굴절 축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존스 행렬을 사용하여 수학적 타당성을 부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