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대불일치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6초

성역할 정체성 및 성역할 불일치가 여성과 남성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Gender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Sex Role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 이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6-446
    • /
    • 2006
  • 본 연구는 성역할 정체성 및 성역할 불일치가 남성과 여성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치이론, 양성성 이론, 남성성 이론, 자아불일치 이론 등이 성역할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예측을 위해 고찰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서는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40세의 남성 125명과 여성 197명이 편의표집 되었다. 공변량 구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모두 지각된 남성성만이 영향을 미쳤다. 이에 비하여, 여성들의 경우, 외모만족도에는 지각된 여성성, 여성성 불일치, 남성성 불일치가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에는 지각된 여성성, 지각된 남성성, 여성성 불일치, 남성성 불일치가 영향을 미쳤다. 신체질량지수는 여성 경우에만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곁과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신체이미지 카운슬러 등의 실무자들이 젊은 여성들의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를 고양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강의에 대한 소비자만족모델: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Consumer Satisfaction Model for Cyber Learning: Focused on Expectation-disconfirmation Paradigm)

  • 유현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5-310
    • /
    • 2010
  • This study measured college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ir cyber learning through an online survey of students who had taken one or more cyber learning before. 500 returned and us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SPSS WIN 12.0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were very interested in their cyber learning. Their decision to take the cyber learning was initiated more by emotional motives (m=3.13) than by rational motives (m=3.35). Second, the consumers' expectations for the cyber learning were divided into the 'Expectation for service quality' and the 'Expectation for economy,' and their 'Expectation for economy'(m=4.02) was higher than their 'Expectations for service quality'(m=3.60). Third, the consumers' expectations for the cyber learning and the results of the cyber learning were analyzed, and a discrepancy between these two were also analyzed. The analysis of discrepancy between the two showed that the average of the resul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expectations, which means that the cyber learning did not meet the consumers' expectations in every aspect, However,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was 3.20, which means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 cyber learning overall. Fourth, causes of dis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were divided into internal factors due to personal matters and external factors due to classes and other factors. It was found that dissatisfaction due to internal factors was greater than that due to external factors. Lastly,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and willingness to use it agai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e for its use affected the formation of expectation but it did not affect the results. 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affected the willingness to use it again positively. However, the effect of dissatisfaction on the willingness to use it agai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문화적 차이에 따른 모바일 테크놀로지 패러독스 인식의 차이에 대한 비교 연구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Mobile Technology Paradox)

  • 전켄트;채명신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19
    • /
    • 2007
  • 모바일테크놀로지가 사용자의 생활에 깊이 관여하면서 그 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실제 가능한 기능 사이에 갈등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신기술에 대한 사용자들의 기대와 실제에 대한 갈등을 테크놀로지 패러독스란 개념으로 연구되었다. 모바일 테크놀로지 패러독스에 대한 논의는 신기술 수용관점에서 보면 지속기술사용/수용 후 행동 이론과 연관된다. 패러독스의 인식은 사용자들의 사용전 기대와 사용 후 경험의 불일치가 형성됨을 말하며, 그 패러독스를 극복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전략은 사용 후 기대로 조정되는 과정을 밝힐 수 단초를 제시하여 주고 있다. 한편, 모바일 테크놀로지패러독스 인식과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 문화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모바일테크놀로지 패러독스 인식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문화적 차이에 따른 그 인식의 차이를 실증하였다.

  • PDF

유통업체에 대한 신뢰와 기대가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ostpurchase satisfaction to the trust and expectation of retailers.)

  • 문승제
    • 산업융합연구
    • /
    • 제3권1호
    • /
    • pp.33-54
    • /
    • 2005
  • This article examines customer repurchase intention change. Specially we focus whether pre-purchase expectation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s to retailers contribute to repurchase intention change. The previous work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were empirically tested the product based on the disconfirmation theory. But this study present the relations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o stores. First, this study deliberately classified the types of stores. And I set the repurchase intention process apart into three part for empirical wok. In one part, the effect of trust has on expectation was tested. At the second procedure I test the expectation impact to satisfaction. Part three wa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 empirical test, convenience 200 sample was used. For these sample I use questionnaires that include the intensity of repurchase intention to postpurchase dissonance. Statistically regression uses as a solid tool to prove the relations betwee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MANOVA results support the level of effect that different each store. They were suppor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lso, by MANOVA the difference of them wa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 PDF

환경 변이에 강인한 화자 인식 기술

  • 김유진;정재호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1-49
    • /
    • 2002
  • 음성 인식 기술과 뿌리를 공유하는 화자 인식 기술은 지난 수십 년간의 연구결과로 괄목할 만한 진보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일반화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지도록 하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이 실제 환경에 적용되었을 때, 발성 환경을 제어할 수 없으며 그 결과 훈련 환경과는 다른 환경에서 발성된 음성을 인식 해야하는 이른바 '불일치 조건(mismatch condition)' 현상이 발생하게된다. 초기에는 이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잡음 자체를 모델링하고 제거함으로써 훈련과 인식 환경의 차이를 일정하게 정규화(normalization)해주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잡음에 의한 왜곡의 모델이 복잡하고 실제 인식 성능에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을 추가로 극복하기 위해, 훈련과 인식 환경의 차이를 보상해주는(compensation)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화자인식기술과 함께 성능저하를 일으키는 불일치 요인들 및 그것들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플랜트 PPI 제어기의 모델 불일치를 위한 제어변수 추정 (The Control Parameter Estimation for Model Mismatch of Plant′s PPI Controller)

  • 신강욱;박준열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9-54
    • /
    • 2004
  • 공정제어에 있어서, 긴 시간지연은 시스템의 효과적인 제어성능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정의 모델을 이용한 스미스 예측기와 이를 이용한 PPI 제어기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들 제어기는 실 플랜트와 모델간에 존재하는 오차 때문에 실제 플랜트에서는 원하는 제어성능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모델 불일치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제어변수 추정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추정전략은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유용한 결과를 얻었다.

자연경관심의제 도입의 기대-성과 분석 (Expectation-performance Analysis on Natural Landscape Review Program in Korea)

  • 이관규;홍정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3-113
    • /
    • 2010
  • 본 연구는 환경부 주관으로 2006년부터 시행되어 온 자연경관심의제도의 제도 도입 당시의 기대수준과 현재의 성과수준을 분석함으로써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진행되었다. 동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얻고자 하였던 목표와 효과를 분석변수로 설정하고 당시의 기대수준과 제도도입 약 4년이 지난 2010년도 시점의 기대치 달성 성과수준을 비교하였다. 자연경관심의위원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분석하였으며, 비교결과 도출된 기대와 성과의 불일치 수준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제도 도입시 기대수준은 3.79, 성과수준은 3.09으로 나타나 당초 기대에 비해 그 성과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주요 항목은 자연경관을 고려한 개발사업계획 수준 제고(-2.91), 경관개선 실천성 제고(-2.97), 자연경관자원 주변경관의 개선(-3.00)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찰하여 동 제도의 발전방향으로 심의절차개선과 홍보강화, 자연경관심의위원 전문성 확보, 심의내용과 범위 개선, 심의기준 객관화, 전문가 참여 의무화를 단기적 발전과제로 도출하였다. 중장기적으로는 계획적 접근에 의한 경관관리 및 심의와 자연경관보전자원의 대상과 개념을 시각적 자원 뿐만 아니라 생태적 자원으로도 확장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웹 사이트 사용자의 정보품질 만족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Quality Satisfaction of Web Site User)

  • 함봉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9-190
    • /
    • 2004
  • 본 연구는 기대불일치 이론에 근거하여 웹 사용자들의 정보 품질에 대한 기대수준은 어떠하며 또한 기대에 대한 지각 성과수준은 어떠한지 그리고 이들 변수 간에는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웹 정보 품질의 기대는 동화효과에 의해 지각된 성과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대일치성에는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웹 정보 품질의 지각된 성과가 기대일치성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웹 정보 품질만족에 正(+)의 영향을 미쳤으며, 웹 정보 품질만족이 전반적인 총체적 만족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비스 회복에 대한 기대-성과 불일치와 지각된 공정성이 패션 상품 고객의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Potential Influence of Expectation-Performance Dis-Confirmation and Perceived Justice for Service Recovery upon Fashion-Product Consu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 신수연;이정임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3호
    • /
    • pp.526-540
    • /
    • 2010
  • Due to fierce competition, many domestic fashion businesse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securing and maintaining customers. Accordingly, fashion companies are devoting all their energy to secure customers by using high quality and diverse strategies for distribution and promotion, and to secure loyalty by satisfying customers with the offer of excellent service.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systematic service recovery strategy available for handling service failure effectiv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rehensively analyzing influences of expectation dis-confirmation and perceived justice for service recovery upon consu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ervice failure that customers experienced, the more consumers who expect it to be recovered led to the higher formation of expectation-compensation dis-confirmation. Second, it was indicated that the higher seriousness in service failure that customers experienced led to the lower satisfaction and loyalty to service recover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influence of expectation-compensation dis-confirmation for service-failure recovery upon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customers who showed more positive dis-confirmation to expectation-compensation were indicated to form the more satisfaction and loyalt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justice in the process of service-failure recovery upon customer satisfaction, all in 3 dimensions of justice had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패스트 패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후 행동 - 기대불일치 모형을 중심으로 - (Post-purchase behavior toward fast fashion brands - Applying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 -)

  • 전경숙;박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6호
    • /
    • pp.930-94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 to consumer post-purchase behavior toward fast fashion brands. This study incorporated re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consumer satisfac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consumer satisfaction, which is influenced by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influences repurchase intention. It was also hypothesized that expectation influences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d the brands and prices of the most recent purchases of fast fashion and also examined whether the purchases were planned or unplanned. The hypothesized path was tested a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instrumental and symbolic performance on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answered by 344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urchased brands were,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purchase, Uniqlo, Zara, H&M, and Forever21, followed by domestic brands, 8seconds, Spao, and Mixxo. The frequency of unplanned purchase was more than twice higher than planned purchase. 2) Based on expectation and performance, dissatisfactory group was larger than satisfactory group, which were 35.8% and 24.7% respectively. 3) It was revealed from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 analysis tha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had positive influence, but cognitive dissonance had neg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all hypothesized path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 som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marketers in the fast fashion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