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대도

Search Result 31,290,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A Study on Difference in Job Expectation and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Employees of University (직무기대도와 직무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학 교직원을 중심으로)

  • Yoo, Hyunggyu;Lee, Min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42-243
    • /
    • 2018
  • 기존 연구들은 과업, 보수, 상사, 부하, 승진 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만족도가 높아야 직무몰입을 가져온다고 제시하였다. 모든 분야에 대해서 만족도를 높인다면 업무 몰입도와 업무성과는 당연히 높아지겠지만 현실적으로 제약이 있으므로 우선 순위를 정하여 집중적으로 지원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직원에 대한 지원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하여 '만족도' 연구에 '기대도' 개념을 추가하였다. 즉, 만족도가 낮더라고 기대도가 낮다면 해당 요소는 만족하지 않을 거라는 기대를 하고 입사 및 근무하고 있으므로 지원대상에서 후순위가 된다. 반면에 만족도가 높더라도 기대도가 더 높다면 해당 요소는 기대도에 비해 여전히 부족하므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항목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만족도와 기대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제한적인 재원으로 직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만족도 개선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Patient's Expectation Toward Quality Care of Dental Services (치과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환자 기대도 조사연구)

  • Choi, Jun-Seon;Lee, Sea-Baic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2 no.1
    • /
    • pp.1-9
    • /
    • 2002
  • The objection of this present study are (1) measurement of patient's expectation toward quality care of dental services. (2) Analysis of differential expectation of dental service by the patient characteristics and (3) presentation of measurement implication for better dental service at the dental clinic.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April 25 to June 9, 2001 and for 77 patients of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102 patients of dental clinic. The study found, in general, that patient's expectation on the clinic environmental factor was most highly scored followed by dental human factors.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from the patient's residence to the clinic was highly concerned as be an important factor in dental service utilization.

  • PDF

The Effect of Consumers' Should-expectation and Will-expectation on Consumer Satisfaction: Focusing on Regulatory Focus (소비자의 규범적 기대와 예언적 기대가 소비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성향을 중심으로)

  • Park, Do-Hyung;Chung, Jaek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2
    • /
    • pp.8462-8471
    • /
    • 2015
  • It is widely known that consumer satisfaction, as well as consumer voice and loyalty, affect firms' performance. Prior studies on consumer satisfaction have focused on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 and its effects on satisfaction related to disconfirmation with consumer expectation and with perceived performance. This study classified consumer expectation into should-expectation and will-expectation, and investigated how disconfirmation with these expectation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fferently based on regulatory focus. Specifically, for promotion-focused consumers, disconfirmation of will-expectation has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than that of should-expectation. For prevention-focused consumers, disconfirmation of should-expectation has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cademic insights that not only generic expectation (will-expectation) but also should-expect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consu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regulatory focu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can be used as a guide to manage consumer expectation in practice.

The Impact of Consumers' Should-expectation and Will-expectation on Consumer Satisfaction: Focusing on Emotional and Rational Expectancy Disconfirmation (규범적 기대와 예언적 기대가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감정적 vs. 이성적 기대불일치를 중심으로)

  • Park, Do-Hyung;Lee, Dongwon;Chung, Jaek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7
    • /
    • pp.245-255
    • /
    • 2016
  • Consumer expectation is divided into rational and emotional components with regard to the experience of products or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types of expectations and consumer satisfaction. For the theoretical framework, we use the dual expectation theory with respect to the should-expectation and will-expectation, and verify their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under rational expectation, consumer satisfaction increases when the result of their experience exceeds their expectation and the impact is stronger when the will-expectation is satisfied. Under emotional expectation, consumer satisfaction increases when the should-expectation exceeds the result of the actual performance, but decreases when there is disaccord between the will-expectation and performance. For emotional-based expectation, the impact on consumer satisfaction is stronger for should-expectancy disconfirmation than for will-expectancy disconfirmation.

Run expectancy and win expectancy in th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KBO) League (한국 프로야구 경기에서 기대득점과 기대승리확률의 계산)

  • Moon, Hyung Woo;Woo, Yong Tae;Shin, Yang Wo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2
    • /
    • pp.321-330
    • /
    • 2016
  • Run expectancy (RE) is the mean number of runs scored from a specific base runner/outs situation of an inning to the end of the inning. Win expectancy (WE) is the probability that a particular team will win the game at a specific game state such as half-inning, score difference, outs, and/or runners on base. In this paper, we derive RE and WE for th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KBO) League based on six-year data from 2007 to 2012 using a Markov chain model.

Automatic Anticipation Effect Generation for Character Animation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위한 기대 효과의 자동 생성)

  • Kim, Jong-Hyuk;Choi, Jung-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52-858
    • /
    • 2006
  • 전통적으로 3차원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의 동작에 관한 연구는 주로 동작의 사실적인 표현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적인 애니메이션은 전통적인 2차원 애니메이션에 익숙한 관객들이 어색함을 느끼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전통적인 2차원 애니메이션의 기법을 3차원 애니메이션에 적용하는 비사실적 (non photorealistic) 애니메이션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2차원 애니메이션기법 중 하나인 기대 효과(anticipation effect)를 3차원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동작에 적용하는 자동화된 방법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2차원 애니메이션 기법에 따르면 기대 효과는 애니메이션을 더 설득력 있고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기대 효과는 주요한 동작이 일어나기 이전에 반대 방향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3차원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의 동작은 각 관절의 회전과 캐릭터 중심의 이동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주요한 동작에 대하여 각 관절의 회전과 캐릭터 중심의 이동에서 반대 방향의 움직임을 찾아 주요한 동작 이전에 연결하는 것으로 기대 효과의 동작을 표현할 수 있다. 모션 캡쳐나 키 프레임 방법을 통해 미리 제작된 애니메이션 파일로부터 기대효과를 생생하기 위해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대 효과의 추가가 필요한 주요 동작의 각 관절별 회전을 외삽하여 반대 방향의 회전 움직임을 생생하고 무게 중심의 이동을 예측하여 주요 동작과 반대 방향의 움직임을 갖는 기대 동작을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기대 동작과 원래의 동작을 기대 효과의 타이밍을 고려하여 합성하는 것으로 기대효과가 포함된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 PDF

유배우율 변화에 따른 유배우 기대여명의 추이(1960${\SIM]$2000)

  • Jin,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59-64
    • /
    • 2005
  • 유배우율과 생명표의 작성기법을 응용하여 작성된 결혼생명표를 이용하여 1960${\sim}$2000년까지의 연령별 유배우율의 추이, 평균적으로 부부가 함께 생활하는 기간인 유배우 기대여명의 변화, 유배우 잠재 기대여명과 유배우 기대여명의 관계 등을 알아보았다.

  • PDF

Analyzing Expected Inflation Based on a Term Structure Model: A Case of Korea (이자율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기대인플레이션의 추정 및 특징)

  • Song, Joonhyu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6 no.2
    • /
    • pp.65-101
    • /
    • 2014
  • This paper estimates and characterizes expected inflations using an affine term structure model based on the empirical stochastic process of the interest rates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xpected inflation which marked above 4%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s dampened and stabilized after the crisis. Moreover, we investigate the rationality of the various expected inflation measures in terms of the unbiasedness and efficiency and find that unbiasedness is not rejected across the all measures, while the efficiency cannot be empirically warranted. Besides, we run Granger causality tests and conclude that the expected inflations compiled from the Consensus, BOK-Expert have the cross-causality with the long-run actual inflation, while the expected inflation estimated from the term structure model has the cross-causality with the short-run actual inflation. These results connote that expected inflations collected from different sources and methods have their targets and horizons and the central bank needs to watch all of them with a balanced view instead of preferring one to the other.

  • PDF

온라인 정보원천이 고객만족과 인터넷쇼핑몰 지속사용에 미치는 영향 : 기대불일치패러다임 적용

  • Kim, Jae-Jeon;Park, Gyeong-J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583-588
    • /
    • 2008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만족과 지속사용의도를 예측하기 위해 구매 경험자를 대상으로 구매의사 결정 시 이용한 정보에 대한 사후 만족 측정을 통해 정보원천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구매와 관련된 기대형성에 정보원천이 미치는 영향과 전통적인 기대불일치 패러다임하에서 기대불일치와 만족간의 관계를 온라인 환경에서는 정보만족이 매개함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정보원천 중 자신의 구매경험이 기각되었으며 반면 다른 소비자의 소비경험인 온라인 구전정보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적인 기대불일치이론과 달리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전반적 만족에 대한 정보만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 만족에 대해 정보만족이 직접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사결정 유용성은 전반적인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의 중요성을 실증한 것으로 정보를 통한 기대관리, 정보만족을 기반으로 한 고객만족과 지속사용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 PDF

The Expectation of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of Students Majoring in Health in Convergence Era (융복합 시대에 일부 보건계열 전공 학생들의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기대도)

  • Moon, Ja-Young;Sim, Seon-J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9
    • /
    • pp.97-10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ctation toward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AI) of students in majoring health, and to utilize it as a basic data for widespread use of medical AI for 500 students majoring in health science at Cheonan city. The awareness of AI was 18.6%, the reliability of AI was 24.8%, and agreement to use of medical AI was 38%. Also, the higher the awareness and reliability of AI were, the higher the expectation of AI was. As a result, education on medical AI in the major field should be a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healthcare environment utilizing medical AI by raising awareness, reliability and expectation of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