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단 축조술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백제(百濟) 기단(基壇) 축조술(築造術)의 대신라(對新羅)의 전파(傳播) (A Study on How Baekje delivered Stylobate-Constructing Techniques to Silla Counterpart)

  • 조원창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2호
    • /
    • pp.57-69
    • /
    • 2005
  • A stylobate, part of the foundation for hardening soil below the floor, has been built with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stone, tile and brick, in several kinds of combined constructions of soil, stone, and brick. In particular, Baekje used a tile-piled stylobate that could not be found in Goguryeo and Silla counterparts, thus showing outstanding performance in the construction culture. Archeological excavations up to now evidence the stylobate played a role in building the magnificent structures or enhancing the decorative effects. It can be enough inferred that such features are reflected on dual footing stylobate, framed stylobate and tile-piled stylobate. Baekje had delivered its techniques for constructing stylobate to Silla from about the middle of 6th century. They can be traced down back from the dual stylobate that has been identified in Hwangryong-sa temple lastly built in the old site of Silla, those constructed with broken stones at Najeong, tile-piled stylobate of the mode of vertical-horizontal rows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Inwang-dong, Gyeongju, the capital of the kingdom, and a framed stylobate at Hall enshrining Buddha (Golden Hall) site of Gameun-sa temple site. Recently, relics of structures, including temple sites, are intermittently being unearthed in the old sites of Baekje and Silla. However, studies linking archeology with architecture can be rarely found up to now. It is, therefore, necessary that the relics should be correctly construed in archeological as well as architectural aspects. We expect that further studies can graft architectural insight into archeological analysis.

  • PDF

한국 고대 목탑의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에 관한 고찰 - 백제 사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Foundations of Wooden Pagodas in Ancient Korea)

  • 정자연;탁경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105-135
    • /
    • 2007
  • 지금까지 한국 고대 목탑에 대한 연구는 발굴조사와 사료를 통한 평면 배치계획, 사리장엄구, 복원 등에 중심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이에 비해 목탑의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조사된 삼국시대 사찰 중 목탑지로 확인된 유구의 검토를 통해 각각 기단토 구축방법과 심초석의 형태, 안치 방법, 심주의 입주 등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목탑지 기단 구축방법은 지상성토형 굴광판축형 지상삭토형으로 구분되며, 심초석은 지하(반지하)와 지상에 안치되는 형식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심초석의 위치가 지하에서 지상으로 상승함에 따라 심주의 위치도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목조건물의 구조 변화에 따른 것으로 특히 7세기 백제 무왕(武王)대에 목탑이 대형화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대형화된 목탑의 조탑술은 신라 황룡사지 목탑, 일본 백제대사(百濟大寺) 목탑의 건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