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Foundations of Wooden Pagodas in Ancient Korea

한국 고대 목탑의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에 관한 고찰 - 백제 사지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Since now, the study of wooden pagodas in ancient Korea have been proceeded to the site plan, the devices and the goods of sarari containers and the reconstruction. They are based on the result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the historical material documents. But the study of the foundations of wooden pagodas have been unsatisfactory. In this paper, the investigations of the wooden pagodas in the Three Kingdoms are proceeded. Through this action, we have checked the method of the foundations, the type and installation of Simchoseok(central base stone) and the erection of Simju(central base pillar).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ree types were in the method of the foundations-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and lower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we know the types of the installation of Simchoseok were the underground-type central base stone and the ground-type central base stoned. The factors of the central base pillars were changed with the rising of central base stones from the lower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o the surface of the foundation. This change was needed to construct the larger wooden pagodas than the ones of the past. In especially, the large wooden pagodas with the ground-type central base stoned were appeared in the king of Baekje, Muwang(A.D. 600~640). We assume that the method of the construction of larger wooden pagodas like that was forwarded to Silla and Japan.

지금까지 한국 고대 목탑에 대한 연구는 발굴조사와 사료를 통한 평면 배치계획, 사리장엄구, 복원 등에 중심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이에 비해 목탑의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조사된 삼국시대 사찰 중 목탑지로 확인된 유구의 검토를 통해 각각 기단토 구축방법과 심초석의 형태, 안치 방법, 심주의 입주 등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목탑지 기단 구축방법은 지상성토형 굴광판축형 지상삭토형으로 구분되며, 심초석은 지하(반지하)와 지상에 안치되는 형식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심초석의 위치가 지하에서 지상으로 상승함에 따라 심주의 위치도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목조건물의 구조 변화에 따른 것으로 특히 7세기 백제 무왕(武王)대에 목탑이 대형화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대형화된 목탑의 조탑술은 신라 황룡사지 목탑, 일본 백제대사(百濟大寺) 목탑의 건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