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능평가

검색결과 8,552건 처리시간 0.039초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기능평가 프로세스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Appraisal Process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 김명훈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187-214
    • /
    • 2008
  • 본고에서는 기록물의 내용이 아닌 기록이 생성된 기능에 기반을 두고 행해지는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기능평가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전자기록 환경에서 기능평가는 가장 보편화된 평가방식으로, 기록물의 생산 이전단계부터 수행되는 연속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형성하게 된다. 종국적으로 기능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평가는 업무맥락 및 기록품질을 지님과 동시에, 조직의 영위 및 업무 수행에 필수적인 전자기록을 선별해 주게 된다.

공유림 분포패턴을 고려한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 (Evaluation of Forest Functions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ommunal Forests at the Watershed Level)

  • 권순덕;장광민;설아라;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71-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공유림의 기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평가단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능평가 단위로써 대유역, 중유역 그리고 소유역 단위의 평가방법을 고려하였다. 공유림의 경우 소유주체가 일원화 되지 않고 각 시 군의 행정권이 분산화 되어있으며, 산림의 규모가 영세한 특징이 있어 지번 단위의 평가방법은 공유림의 기능평가 단위로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공유림 기능평가에 적합한 평가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집수량 기준에 따라 소 중 대유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산림기능평가를 수행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각 평가단위에 따른 기능평가 결과에서는 유역단위 기능 구분 시 공유림의 소규모 산지들을 일정 규모 이상의 산지로 집단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각 평단단위 별로는 소유역 단위에서 중 대유역 단위로 갈수록 산림의 기능이 지나치게 단순화 되는 경향이 나타나 소유역 단위의 기능구분이 공유림의 산림기능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망 침입탐지시스템 평가기준 K4 등급 보안기능요구사항과 공통평가기준 보안기능요구사항간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IDS K4 SFR and Common Criteria SFR)

  • 이태승;김태훈;조규민;이경구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642-64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평가기준에 기반하여 평가$\square$인증 받은 침입탐지시스템 제품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K4 등급의 보안기능요구사항과 공통평가기준 보안기능요구사항을 본 논문에서 설정한 보안목적과 자산에 기반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들 보안기능요구사항간의 호환 가능성을 검토하고 상호 호환되지 않는 K4 보안기능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새로운 공통평가기준 기반 기능 컴포넌트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HGM과 CVM을 이용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Assessment of Dam-Wetland Functions and Economic Value using HGM and CVM)

  • 김덕길;유병국;김형수;장석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7-187
    • /
    • 2012
  •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생물다양성, 홍수조절, 온실가스 저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습지에 대한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습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 중 하나가 댐 및 주변지역을 습지로 조성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댐 및 주변지역의 습지로서의 활용을 위한 특성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주변지역에 조성된 습지와 댐 저수지 자체를 모두 포함하여 댐습지라고 정의하고, 댐습지가 지니고 있는 습지의 기능 및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기준습지와 대상습지로 구분되며, 기준습지는 우포늪과 보령댐, 대상습지는 용담댐이다. 댐습지의 기능평가는 수문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하는 HGM(Hydrogeomorphi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가치평가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였다. 기능평가 결과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각각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자연습지인 우포늪을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댐의 주목적과 관련이 있는 수문학적 기능이 높게 평가되었으나 습지 내에서 진행되는 생지화학적 기능과 다양한 식물 종에 대한 서식처로써의 기능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령댐을 기준지역을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기능이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의 경제적 가치평가는 댐습지 생태공원조성에 따른 훼손된 습지의 보호, 희귀생물종의 보호, 휴양 및 여가기능 제공을 주요인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가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용담댐의 총 가치는 우포늪의 가치와 비교하였을 때 우포늪의 35~41%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결과는 댐이 단순히 이 치수 측면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생태학적으로도 활용성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서 향후 댐의 친환경적 활용 방안 및 댐습지 관리 방안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증진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외상후 뇌손상의 신경인지기능 평가 (Neuro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 오병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2권2호
    • /
    • pp.177-185
    • /
    • 1995
  • 외상후 뇌손상은 대표적이며, 가장 중요한 신경정신계 질환의 하나이다. 더욱이 외상후 뇌손상 환자들은 각종의 사고 및 산업재해 등으로 인해 그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한 다양한 기질성 정신장애로 고통을 겪게 된다. 따라서 외상후 뇌손상은 손상의 시점에서부터 정확하고 올바른 평가는 물론 손상후의 경과 및 치료대책의 수립에 있어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신경인지기능의 평가는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신경인지기능평가는 뇌의 손상부위와 이와 관련된 기능장애 및 행동의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해 주기 때문이다. 신경인지기능 평가의 영역은 지각, 운동기능은 물론 주요인지기능인 기억, 언어, 실행 및 감정조절능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외상후 뇌손상환자들은 손상부위 및 정도에 따라 신경인지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대표적인 신경인지기능평가 도구로는 KWIS, Halstead-Reitan, Luria-Nebraska batteries, 특히 전두엽기능검사인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를 비롯하여, 현재는 PC/S Vienna Test System 및 Stim등의 각종 전산화 인지기능검사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즉 외상후 뇌손상환자를 위한 신경인지기능평가의 목적은 뇌손상과 관련된 신경인지기능장애를 정확히 평가하여,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인지재활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다. 물론 여기에는 신경정신상태검사(neuropsychiatric mental status examination)를 통하여 외상 후 뇌손상의 경과 및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의식소실 및 외상후 기억 손상 시간의 정확한 측정은 물론 심리 사회 문화적인 상태와 두부외상전 환자의 지적수준 및 사회 적용기능이 함께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양측 상지 기능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Measurement Instruments of Bilateral Upper Extremity Function)

  • 이주현;이예진;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7-22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양측상지기능 평가도구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대상자, 평가방법, 신뢰도, 타당도, 민감도 등을 분석하여 임상 및 연구에서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 12월 한달 동안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upper extremity'와 'motor acti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와 'assessment instrument' 'disability evaluations'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68개의 연구에서 44개의 상지기능 평가도구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가도구에서 양측상지기능 평가도구의 비율, 대상자, 측정방법, 신뢰도, 타당도, 민감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상지기능 평가도구 중 양측상지기능 평가도구는 2개로 가장 적었다. 모두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양측 상지수행을 통해 환측의 기능을 측정하는 평가도구였다. 평가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민감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양측상지기능 평가도구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양측상지기능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한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계층적 분석 기법을 이용한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성 평가

  • 국정훈;박희석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0-326
    • /
    • 1996
  • 컴퓨터를 애용한 편집엽무가 더욱 보편화되면서 워드프로세서의 역할은 한층 강조되어지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워드프로세서와 외국에서 개발된 워드프로세서들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에 우후죽순 처럼 출현하여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시점에서,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성 관점에서의 평가가 한층 더 중요 해 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워드프로세서의 주요 기능 및 세부 기능들을 정리 하고,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느끼는 기능을 가장 적절히 제공해주는 워드프로세서가 어떤 것인지를 계층 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사용자들은 주기능에서는 '파일 기능'과 '편집 기능'이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파일 기능'의 하부 기능에서는 '저장 기능'과 '미리 보기 기능' 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 앞으로 연구해야 할 워드 프로세서의 중요 기능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 대상이 된 세개의 워드프로세서 중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파일찾기, 미리보기, 그림편집, 보기배율, 그림, 기호 등의 기능)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제품이 가장 우수한 워드프로세서로 평가되었다.

  • PDF

교육용 기능성게임의 품질 평가 요소 : 비기술적 요소를 중심으로 (The Quality Evaluation Elements for Educational Serious Game : Focusing on Non-technical Elements)

  • 윤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111-112
    • /
    • 2012
  • 게임의 순기능을 이용해 교육, 훈련, 치료 등의 목적으로 개발된 기능성 게임은 이용자들의 게임 선택을 위해 게임의 품질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기능성게임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적, 비기술적 영역 가운데 비기술적 영역은 기능성게임의 종류를 반영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비기술적 품질 평가 영역을 추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방법론은 다른 종류의 기능성 게임의 품질평가 요소 추출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 후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품질 평가 메트릭을 개발할 예정이다.

  • PDF

정보보호시스템의 보안기능 통합평가 도구

  • 이경현;박영호;조현호;김창수;노병규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0-6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호시스템의 신분확인 기능과 데이터 무결성 기능 그리고 네트워크 취약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보호시스템의 보안기능 통합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온 평가기능들을 통합, 개선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안전성을 총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의 보호를 목표로 개발된 침입차단시스템의 구성상의 취약성이나 IPSec이나 SSL을 적용하여 가상사설망(VPN)을 구현 한 제품들에서 제공하는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자동화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