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평가

Search Result 8,545,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nalysis of Functional Appraisal Process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기능평가 프로세스 분석)

  • Kim, Myoung-Hu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4
    • /
    • pp.187-214
    • /
    • 2008
  • This article minutely examines functional appraisal process that focuses on not content but function in which the records are created. Taking everything into consideration, functional appraisal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constitutes consecutive process that is performed organically in pre-creation stage of records. Ultimately functional appraisal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is organic process selecting electronic records across phases of whole record management, which assure business context and recordness, and need to run organization and perform business.

Evaluation of Forest Functions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ommunal Forests at the Watershed Level (공유림 분포패턴을 고려한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

  • Gwun, Soonduk;Jang, Kwangmin;Seol, Ara;Chung, Joos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7 no.1
    • /
    • pp.71-76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 land units of communal forests for evaluating forest functions using GIS. As the candidates of the effective land units, we chosen the administrative units of parcels and 3 different scales of watersheds; small, medium and large. However, the administrative units of parcels were discarded because of the extreme complexity of ownerships and the highly petty scales of parcels. Instead, the 3 different levels of watershed units were applied to evaluating forest func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resultant functional maps were compared each other in terms of the appropriateness or adequacy for field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ggregated area by watersheds provides the appropriate scales of land area for forest functions and the small watershed is the most adequate one as the effective land units for forest functions in communal forests.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IDS K4 SFR and Common Criteria SFR (정보통신망 침입탐지시스템 평가기준 K4 등급 보안기능요구사항과 공통평가기준 보안기능요구사항간의 비교 연구)

  • 이태승;김태훈;조규민;이경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642-64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평가기준에 기반하여 평가$\square$인증 받은 침입탐지시스템 제품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K4 등급의 보안기능요구사항과 공통평가기준 보안기능요구사항을 본 논문에서 설정한 보안목적과 자산에 기반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들 보안기능요구사항간의 호환 가능성을 검토하고 상호 호환되지 않는 K4 보안기능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새로운 공통평가기준 기반 기능 컴포넌트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Assessment of Dam-Wetland Functions and Economic Value using HGM and CVM (HGM과 CVM을 이용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 Kim, Duck-Gil;Yoo, Byong-Kook;Kim, Hung-Soo;Jang, Su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7-187
    • /
    • 2012
  •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생물다양성, 홍수조절, 온실가스 저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습지에 대한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습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 중 하나가 댐 및 주변지역을 습지로 조성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댐 및 주변지역의 습지로서의 활용을 위한 특성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주변지역에 조성된 습지와 댐 저수지 자체를 모두 포함하여 댐습지라고 정의하고, 댐습지가 지니고 있는 습지의 기능 및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기준습지와 대상습지로 구분되며, 기준습지는 우포늪과 보령댐, 대상습지는 용담댐이다. 댐습지의 기능평가는 수문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하는 HGM(Hydrogeomorphi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가치평가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였다. 기능평가 결과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각각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자연습지인 우포늪을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댐의 주목적과 관련이 있는 수문학적 기능이 높게 평가되었으나 습지 내에서 진행되는 생지화학적 기능과 다양한 식물 종에 대한 서식처로써의 기능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령댐을 기준지역을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기능이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의 경제적 가치평가는 댐습지 생태공원조성에 따른 훼손된 습지의 보호, 희귀생물종의 보호, 휴양 및 여가기능 제공을 주요인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가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용담댐의 총 가치는 우포늪의 가치와 비교하였을 때 우포늪의 35~41%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결과는 댐이 단순히 이 치수 측면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생태학적으로도 활용성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서 향후 댐의 친환경적 활용 방안 및 댐습지 관리 방안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증진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euro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외상후 뇌손상의 신경인지기능 평가)

  • Oh, Byoung Hoon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2 no.2
    • /
    • pp.177-185
    • /
    • 1995
  • 외상후 뇌손상은 대표적이며, 가장 중요한 신경정신계 질환의 하나이다. 더욱이 외상후 뇌손상 환자들은 각종의 사고 및 산업재해 등으로 인해 그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한 다양한 기질성 정신장애로 고통을 겪게 된다. 따라서 외상후 뇌손상은 손상의 시점에서부터 정확하고 올바른 평가는 물론 손상후의 경과 및 치료대책의 수립에 있어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신경인지기능의 평가는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신경인지기능평가는 뇌의 손상부위와 이와 관련된 기능장애 및 행동의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해 주기 때문이다. 신경인지기능 평가의 영역은 지각, 운동기능은 물론 주요인지기능인 기억, 언어, 실행 및 감정조절능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외상후 뇌손상환자들은 손상부위 및 정도에 따라 신경인지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대표적인 신경인지기능평가 도구로는 KWIS, Halstead-Reitan, Luria-Nebraska batteries, 특히 전두엽기능검사인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를 비롯하여, 현재는 PC/S Vienna Test System 및 Stim등의 각종 전산화 인지기능검사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즉 외상후 뇌손상환자를 위한 신경인지기능평가의 목적은 뇌손상과 관련된 신경인지기능장애를 정확히 평가하여,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인지재활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다. 물론 여기에는 신경정신상태검사(neuropsychiatric mental status examination)를 통하여 외상 후 뇌손상의 경과 및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의식소실 및 외상후 기억 손상 시간의 정확한 측정은 물론 심리 사회 문화적인 상태와 두부외상전 환자의 지적수준 및 사회 적용기능이 함께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ystematic Review on Measurement Instruments of Bilateral Upper Extremity Function (양측 상지 기능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Lee, Joo-Hyun;Lee, Ye-Jin;Park, Ji-Hyuk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5 no.1
    • /
    • pp.7-22
    • /
    • 2016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about instrument for bilateral upper extremity assessment. Methods : We searched published papers in Medline database. The keywords used in the search were 'upper extremity' and 'motor activ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ssessment', 'instrument', 'disability evaluations'. In total of 68 papers, 44 assessment instruments was extracted. We analyzed about numbers, subjects, methods, reliability, validity, responsiveness of assessment instruments about bilateral upper limb function comparing unilateral, combined bilateral and unilateral instruments. Results : The numbers of bilateral measurement tool were 2 in a total of upper extremity measurement tools. Also, subjects were patients with stroke and measurement was based on performance.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ools were high. Conclusions : Futher study will be needed to development and research about instrument of bilateral upper extremity.

계층적 분석 기법을 이용한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성 평가

  • 국정훈;박희석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320-326
    • /
    • 1996
  • 컴퓨터를 애용한 편집엽무가 더욱 보편화되면서 워드프로세서의 역할은 한층 강조되어지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워드프로세서와 외국에서 개발된 워드프로세서들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에 우후죽순 처럼 출현하여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시점에서,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성 관점에서의 평가가 한층 더 중요 해 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워드프로세서의 주요 기능 및 세부 기능들을 정리 하고,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느끼는 기능을 가장 적절히 제공해주는 워드프로세서가 어떤 것인지를 계층 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사용자들은 주기능에서는 '파일 기능'과 '편집 기능'이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파일 기능'의 하부 기능에서는 '저장 기능'과 '미리 보기 기능' 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 앞으로 연구해야 할 워드 프로세서의 중요 기능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 대상이 된 세개의 워드프로세서 중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파일찾기, 미리보기, 그림편집, 보기배율, 그림, 기호 등의 기능)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제품이 가장 우수한 워드프로세서로 평가되었다.

  • PDF

The Quality Evaluation Elements for Educational Serious Game : Focusing on Non-technical Elements (교육용 기능성게임의 품질 평가 요소 : 비기술적 요소를 중심으로)

  • Yoon, S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11-112
    • /
    • 2012
  • 게임의 순기능을 이용해 교육, 훈련, 치료 등의 목적으로 개발된 기능성 게임은 이용자들의 게임 선택을 위해 게임의 품질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기능성게임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적, 비기술적 영역 가운데 비기술적 영역은 기능성게임의 종류를 반영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비기술적 품질 평가 영역을 추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방법론은 다른 종류의 기능성 게임의 품질평가 요소 추출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 후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품질 평가 메트릭을 개발할 예정이다.

  • PDF

정보보호시스템의 보안기능 통합평가 도구

  • 이경현;박영호;조현호;김창수;노병규
    • Review of KIISC
    • /
    • v.11 no.2
    • /
    • pp.60-6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호시스템의 신분확인 기능과 데이터 무결성 기능 그리고 네트워크 취약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보호시스템의 보안기능 통합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온 평가기능들을 통합, 개선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안전성을 총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의 보호를 목표로 개발된 침입차단시스템의 구성상의 취약성이나 IPSec이나 SSL을 적용하여 가상사설망(VPN)을 구현 한 제품들에서 제공하는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자동화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