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적 투수평가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Functional Drainage Evaluation of Block Paving through the Usage of Sludge and Wheel Tracking Test (슬러지 투입 및 휠트랙킹 시험을 이용한 블록 포장의 기능적 투수평가)

  • Lee, Sang-Yum;Jung, Hoon-Hee;Mun, Sung-Ho;Park, Dae-Geun;Park, Ky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3 no.3
    • /
    • pp.31-38
    • /
    • 2011
  • As the percentage of permeable ground is reduced due to the increased impermeable roads of major cities, a heat island phenomenon can be dominantly observed, resulting in increased temperature. In addition, rainfall that would have been naturally absorbed and retained by the permeable ground is overflowed due to large volumes of run-off water, resulting in more sewer failures and increased erosion. In terms of permeable pavement system, block paving has been used anywhere as well as provides many years of service. The permeable block paving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the more traditional asphalt or plain concrete for minor roads; furthermore, it looks a lot better than other pavements.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drainage evaluation of block paving was carried out, considering the usage of experimental sludge and wheel tracking test, in order to simulate the field condition of roads.

Study on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Permeable Asphalt Concrete Pavement in Seoul City (서울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기능적 평가 연구)

  • Lee, Sang-Yum;Kim, In-Tae;Mun, Sung-Ho;Kwon, Soo-Ah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4 no.3
    • /
    • pp.33-39
    • /
    • 2012
  •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constructed permeable pavements was conducted in terms of water permeable performance and noise reduction measurements in Seoul city. The field measurements of noise was based on two methods such as pass-by and novel close proximity(NCPX). The pass-by test and NCPX method are related to noise propagation and tire/pavement interaction noise measurement, respectively. For the water permeable tests, five sections were chosen; furthermore,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for both of wheel path and non-wheel path area. For the pass-by measurement, three sections were chosen; furthermore, two different locations, which were near measurement point to traffic noise and far measurement point inside park or hosing complex, were selected for each section. Finally, tire/pavement interaction nois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at four loca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water permeability and noise reduction was well remained within 2 or 3 years after permeable pavement construction.

Characterization of Porous Asphalt Concrete Coated with MMA Resin (아크릴 수지로 코팅한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특성 평가)

  • Choi, Tae-Jun;Lee, Hyun-Jong;Kim, Tae-Woo;Song, Jae-Hyok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1 no.2
    • /
    • pp.111-120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fundamental findings of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porous asphalt concrete coated with MMA resin. To evalu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cantabro, wheel tracking, moisture sensitivity and indirect tensile fatigue tests are performed. The tests results show that the cantabro loss is reduced three times and fatigue resistance i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specimens are coated with MMA resin. However there are little changes in the rutting and moisture damage resistances before and after the coating. Air voids, permeability and BPT(British Pendulum Test) tests are conducted to study the functional performance. It is observed form the tests that the air voids and permeability are slightly decreased after the coating. However, the changes in the air voids and permeability are negligible. The skid resistance of the coated specimens is lower than reference specimens. However, the skid resistance is maintained beyond the level of the reference specimens when silica sands are chipped on top of the coated surface.

  • PDF

복합차수층에서 침출수에 의한 투수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정인호;이재영;하현중;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241-246
    • /
    • 2004
  • 매립지 차수층에는 다짐점토층이 사용되고 있지만 건조/수축, 동결/융해 등의 환경적인 영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복합차수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지반토양에 고화재를 첨가한 BLT층과 벤토나이트와 미생물 배양액을 첨가한 BLM 층으로 구성된 복합차수층의 차수기능과 BLM층에서 미생물 배양액 첨가에 따른 Bio-barrier 기능을 평가하였다. 원지반토양에 고화재와 벤토나이트를 각각 8, 10%(w/w)를 첨가하였r고, 미생물 배양액은 1%(v/w)을 첨가하였다. 실험결과 원지반토양은 SC계열의 토양으로 분류되었고, BLT, BLM 차수층의 8% 혼합비율에서도 1$\times$ $10^{-7}$cm/sec 보다 낮은 투수계수를 나타내었다. BLM 층에 첨가된 미생물 배양액에 의한 Bio-barrier 기능 실험결과 미생물 배양액 첨가에 의하여 침출수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토목섬유 수평배수재의 투수성 평가 및 해석

  • 전한용;장용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307-310
    • /
    • 1998
  • 연약지반상에 고속도로 노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반개량공법이 적용되며 그 중 가장 보편적인 개량공법이 연직배수를 통한 압밀촉진 공법이다. 이와 같은 압밀촉진공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연약층 내부에 타입하는 연직배수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연직배수재를 통해서 상승하는 압밀수를 신속히 제체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평배수기능도 매우 중요하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Geotechnical Properties in Permeable Barriers Mixture of Bentonite, Loess, and Sand (벤토나이트·황토·모래를 혼합한 투수벽체의 지반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Chun, Byung-Sik;Park, Jae-Wo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6 no.4
    • /
    • pp.5-12
    • /
    • 2005
  • In this study, the geotechnical applicability of permeable barriers that could filter the leachate from a landfill was evaluated. Specimens were cast from sand, loess and bentonite according to the specific weight ratios of them. A series of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permeability of various mixing ratio of bentonite, loess, and sand. From the laboratory test, optimum mixing ratio that satisfied the regulations of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5kgf/cm^2$) and coefficient of permeability ($10^{-3}{\sim}10^{-4}cm/sec$) in landfill was found when the weight ratio of sand and loess was 8:2 with 2% of bentonite. Using the laboratory test data and in situ test results, the applicability of the wall will be tested for various conditions.

  • PDF

Estimation of flood in Suncheon Dongcheon watershed using dynamic water resources assessment Tool (동적수자원평가모형을 이용한 순천동천 유역의 홍수량 산정)

  • Kim, Deokhwan;Kim, Hyeonjun;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5-285
    • /
    • 2022
  • 기후변화가 현실화되면서 수자원평가 (Water Resources Assessment)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공감 문제기획리빙랩' 대상지인 순천은 동천을 중심으로 홍수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순천시의 가장 시급한 사안 중 하나인 범람 및 침수 문제로, 최근 3년(2018~2020)간의 집중호우로 인한 내수배제로 주택 및 도로침수, 산사태 등의 피해를 겪었다. 시기마다 고질적으로 반복되는 동천 인근 지역의 침수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의 빈도나 규모를 줄이기 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의 지원을 받아 한강홍수통제소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개발한 동적수자원평가모형(DWAT, Dynamic Water Resources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홍수량 산정을 하고자 한다. 본 모형은 전 세계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평가도구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GIS전처리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자동으로 유역 매개변수 및 면적 평균강우량을 Thiessen method를 사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또한, 물의 순환과정을 투수 및 불투수지역으로 구분되며, 투수지역은 1개의 토양층과 1개의 불압대수층으로 구성되고, 유출기여역과 함양역으로 유역을 분할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대수층을 통하여 지하수의 흐름을 산정할 수 있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과거 관측 강우사상 3개를 선정하여 검·보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모형 효율계수(Nash-Sutcliffe efficiency) 및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가 0.78~0.94, 0.82~0.94로 우수한 모의 결과를 산정할 수 있었다.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Huff 4분위법을 사용하여 확률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미래 홍수량 증감량 산정을 위하여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관측값과 모의값의 누적확률분포 이용하여 모의값의 확률분포를 관측값의 확률분포에 사상시키는 방법인 분위사상법(Quantile Mapping)을 사용하여 시나리오자료를 보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홍수량을 바탕으로 침수피해를 막기 위한 구조적 및 비구조적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bility Estimation of LID Techniques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평가)

  • Yeon, Jong Sang;Kim, Eung Seok;Shin, Hyun Suk;Jang, You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4-444
    • /
    • 2015
  • 현제 도시유역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유역 내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직접 유출량 증가, 지하수자원 고갈, 침투량 감소, 증발산량의 감소 등의 물 순환 체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도시 유역 내 물 순환 체계 변화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의 개발 및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LID는 분산형 빗물관리 시설로써 유역 내 소규모의 LID 요소기술을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강우유출수를 저류, 체류, 방지 및 처리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LID는 궁극적 목표로 계획단계에서 개발이전의 수문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보전, 영향최소화, 유출이동시간 유지, 추가유출량 감소, 오염발지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된다. 현제 LID의 성능 및 적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해되어지고 있으나, LID 요소기술별 시공 비용, 유지관리 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LID요소기술별 적용성 평가를 수행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 요소기술 중 나무화분 여과장치, 옥상녹화, 빗무정원, 투수성포장, 침투트렌치, 빗물통, 식생수로 등의 총 7가지 LID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시공비용, 유지관리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촐 5가지 평가인자를 Entropy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인자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후 다기준의사결정 방법 중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현제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별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옥상녹화가 첫번째 우선순위로 분석되었으며, 침투트렌치, 나무화분여과장치, 투수성포장, 식생수로, 빗물통, 빗물정원 순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에 LID를 적용할 경우 옥상녹화, 침투트렌치, 나무화분 여과 장치 등의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및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국내 LID 요소기술 적용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역별 신뢰도 높은 LID 요소기술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대상유역 내 시공된 LID 요소기술을 계측하여 비점오염원 및 우수유출수 저감효율, 시공 비용, 연간 유지관리 비용을 분석하여 평가를 수행되어 한다고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dified SWMM to Simulate Permeable Pavement and Infiltration Trench (투수성 포장과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수정 SWMM의 개발 및 적용)

  • Lee, Jung-Min;Lee, Sang-Ho;Park, Jae-Hyeon;Lee, Kil-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26-330
    • /
    • 2007
  • 도시화 면적이 증가하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도시 하천의 평상시 유출이 감소한다. 도시유역의 평상시 수량을 회복시키는 방법으로는 침투 증진시설(투수성 포장, 침투 트렌치, 침투 측구 등)의 설치, 하수의 고도처리 후 방류 저수지에 의한 유황 개선, 지하철 용출수 활용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일부 도시하천의 수량 감소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최근에 나타나고 있다. 수량을 회복하려면 유량 평가를 위한 현장조사, 수량회복 계획, 재원의 반영, 수량회복 시설의 설치 및 관리의 순서로 단계별 사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계획 단계의 과업에서 필요한 사항은 여러 가지 수량 회복 방법의 영향을 정량 평가하는 것이다. 이에 핵심이 되는 것은 수량 회복 요소를 포함하거나 추가한 수문순환 평가 도구이다. 침투시설 중 투수성 포장과 침투 트렌치를 모의하도록 기존의 SWMM 모형을 수정하였다. 그 과정에서 증발량 처리와 지하수 출력기능에 대한 오류도 수정되었다. 수정 개발된 SWMM을 침투시설 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수정된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투수성 포장과 침투 트렌치를 고려하여 수정된 프로그램을 안양천의 지류인 학의천 유역에 적용하여 침투시설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만일 학의천 불투수 면적의 10%를 투수성 포장으로 교체하면 하류 비산교 지점의 저수량$(Q_{275})$이 3 %, 갈수량$(Q_{355})$이 17 %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침투 트렌치의 경우 학의천 소유역 별로 100m 트렌치를 $5{\sim}10$개 시공할 경우 저수량은 약 1 %, 갈수량은 약9 %가 증가하였다. 수정 개발된 SWMM을 사용하면 침투 트렌치와 투수성 포장 이 도시 유역의 건기 수량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해 경보발령 이전에 한계수위를 넘어서는 경우(case_3)로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패한 경보발령의 경우에 대한 원인분석 결과, 기존의 모형화를 통해 고려되지 못하였던 해안도시 홍수의 특성 중 총강우량에 대한 고려, 선행강우 여부 및 강우 지속시간, 지속시간 내 강우집중도 그리고 선정지점 내 조위의 영향과 유역내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의 영향 등 자연유역과는 다른 다소 복잡한 요소를 고려한 해안도시홍수 경보발령 기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 좋다고 고찰된다. 6. 우리 나라의 현행 수도작기로 본 기온 및 일조조건은 수도의 분얼전기에 대해서는 호조건하에 놓여 있으나, 분얼후기인 7월 중ㆍ하순 경의 일조부족과 고온다습조건은 병해, 특히 도열병의 유발원인이 되고 있다. 7. 우리 나라의 현행수도작기로 본 전국각지의 수도의 출수기는 모두 일조시간이 적은 부적당한 시기에 처해 있다. 8. 출수후 40일간의 평균기온에 의한 적산온도 88$0^{\circ}C$의 출현기일은 수원에서 8월 23일이었고, 년간편차를 고려한 안전출수기일은 8월 19일로서 적산온도면에서는 관행 출수기일은 약간 늦다고 보았다. 9. 등열기의 평균기온에 의한 적산온도는 현행 수도작기로서는 최종한계시기에 놓여 있으며, 평균기온의 년간편차와 우리 나라의 최저기온이 낮은 점을 고려할 때, 현행출수기는 다소 늦은 것으로 보았다. 10. 생육단계별의 수도체내의 질소함량은 영양생장기의 질소함량이 과다하였으며, 출수 이후에 영양조락을 여하히 방지하느냐가 문제된다고 보았다. 11. 수리불안전답 및 천수답이 차지하는 전답면적의 비율은 차차 감소되고 있는데, 이와 전체 10a당 수량의 증가율과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는데, 수리불안전답과의 상관계수 (4)는 +0.525였으며, 천수답과는 r=+0.832, 그리고 수리불안전답과 천수답을 합계한 것과의

  • PDF

The Study on Quantifying and Evaluating for the Functions of Flood Control and Fostering Water Resources in Agriculture (농업의 홍수조절기능과 수자원함양기능 계량화 및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 Seo, Myung-Chul;Kang, Ki-Kyung;Hyun, Byung-Geun;Yun, Hong-Bae;Eom, Ki-Cheol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1 no.2
    • /
    • pp.143-152
    • /
    • 2008
  • In order to share the understanding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with people, we carried out quantification and monetary evaluation for controlling flood and fostering water resources function in paddy and upland farming in Korea. The amount of water controlling flood and fostering water resources function in paddy farming was much greater than that in upland. The quantification of flood control function could be estimated by sum of the height of dike and water infiltrated during the flooding periods in paddy farming, and water excepting runoff water from precipitation at flooding time in upland farming. As results of estimation of flood control function, the amounts of water controlling flood have been evaluated as $294mm\;year^{-1}$ in paddy farming and $72.6mm\;year^{-1}$ upland farming, and was calculated 3.71 billion MT on a nation basis in 2006. When it was carried out monetary estimation as the cost of dam construction and the depreciation expense by using replacement cost method, flood control functions in paddy and upland were evaluated as 44,338.9 and 7,221.5 billion won, respectively. Comparing with previous reports, monetary value was analyzed much to increase because of rising price cost recently. Fostering water resource functions were also quantified in paddy and upland farming as the amount of water keeping and infiltrating water during the cultivation. In the basis of estimation model, it was showed that paddy and upland farming had been estimated to have $414.28mm\;year^{-1}$, $18.7mm\;year^{-1}$, respectively. They were also calculated to 4.49 and 0.137 billion MT on a nation basis in 2006, respectively. The economic values of fostering water resources function in paddy and upland farming were also estimated to 1,769.4 and 52.8 billion won, respectively, as replacing the amount of water to the cost of drinking water in 2006. There were differences by much to the amounts of controlling flood function and fostering water resource between paddy and upland farming. It means that paddy farming more play an important role in environment than upland farming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