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능성소재

검색결과 2,054건 처리시간 0.035초

기능성 박막코팅에 따른 복합재료 핸드의 특성변화

  • 박동원;김범수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1-2
    • /
    • 2002
  • FPD(LCD, PDP)와 Wafer(6-12인치)제조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동화 이송 장비들의 경우, 높은 생산성과 수율을 위해 금속제의 핸드보다는 세라믹이나 복합재료(CERP)와 같이 가벼운 고강도 고강성의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세라믹의 경우는 비안정성이나 고가격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어서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이에 비해 복합재료핸드는 반영구적인 수명과 우수한 기능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핸드에 다양한 방법으로 기능성박막을 코팅하여 이에 따른 특성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 PDF

플리즈마 증합법에 의한 복합막 제조및 분리 기능성 연구

  • 남승은;이규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2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2-12
    • /
    • 1992
  • 기체 분리시 분리막에 의한 공정의 최대 결점인 낮은 투과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초박막화 기술의 도입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며 동시에 고선택성을 지닌 분리막의 제조가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다공성 지지막의 표면위에 분리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에 대해 선택성이 우수한 소재로 매우 얇고 치밀한 활성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분리 기능성이 매우 우수한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치밀한 초박막 활성층을 형성시키는 제조기술을 확보하고자 플라즈마 증합법을 도입하여 통상의 코팅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였다.

  • PDF

피부염 증상완화특성을 갖는 힐링섬유소재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Healing Textile Material with Characteristics of Dermatitis Symptom Relief)

  • 손은종;구창모;이영목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57-57
    • /
    • 2012
  • 피부염 증상 완화특성을 갖는 힐링섬유소재 제조를 연구하였다. 면소재, 폴리에스테스/나일론 소재에 피부염 증상완화특성이 있다고 알려진 기능성물질을 바인더, 수지 등의 혼합물 페이스트로 만들어 스크린프린팅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시도하였다. 제조한 힐링섬유시편소재의 항균특성은 면소재의 경우 99.9% 의 우수한 항균특성을 나타냈다. 암모니아가스의 소취성능은 시간경과에 따라 최대 68%의 소취율을 보였다. 타소재와의 오염견뢰도는 평균 4.5 ~ 5등급, 변퇴세탁견뢰도는 5등급, 마찰견뢰도는 3 ~ 4.5 등급, 일광견뢰도는 5등급을 나타냈다.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따른 힐링소재의 피부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해 NZW토끼의 피부에 24시간 동안 부착한 후 72시간 동안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피부자극성을 시험한 결과 사망토끼는 관찰되지 않았고, 모든 시험동물에서 특이할 만한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측정결과 모든 동물에서 정상적인 체중증가를 보였다. 시험소재의 피부자극성을 관찰한 결과 피부자극성이 관찰되지 않아 비자극성(None Irritant)섬유소재로 판단되어 피부염증상완화 특성을 갖는 힐링섬유소재 제조의 실용화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PDF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로부터 기능성 바이오융복합 소재 개발을 위한 폴리페놀의 추출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polyphenol extraction from non-edible parts of Aronia melanocarp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ioconvergence materials)

  • 김혜림;김연아;인만진;채희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85-91
    • /
    • 2020
  •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는 아로니아 열매를 포함하여 열매 이외의 비가식 부위를 이용하여 바이오 융복합 소재로의 개발을 검토하기 위하여 폴리페놀의 추출 공정변수인 추출 용매, 온도, pH, 시간 등의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아로니아 부위별(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로 물, 에탄올,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추출율이 가장 높은 물을 추출용매로 선정하였다. 비가식 부위 중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인 아로니아 잎을 폴리페놀의 주원료로 선정하였고,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비가식 부위인 잎의 폴리페놀의 열수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79.3℃, 4.5시간, pH 7.2에서 추출하는 것이 최적의 추출 조건이었으며 폴리페놀의 최대 추출 수율은 139.4±2.5 mg/g이었다. 이와 같이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인 잎의 최적화된 추출조건은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생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능성 생물 소재로서의 클로렐라 (Chlorella as a Functional Biomaterial)

  • 채희정;강민숙;심상준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04
  • 클로렐라는 생물화학적 성분들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서 영양학적으로 사료나 식품으로 이용되며 화장품, 의약품, 심지어 연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클로렐라는 보통 연못이나 호수 등 담수에서 생육하며, 구형 단세포이다. 생식은 무성생식으로 하루에 4-16배로 증식한다. 클로렐라의 대량생산을 위한 배양은 크게 옥외배양법과 발효조 배양법으로 나뉜다. 클로렐라는 필수 아미노산과 생체에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지방산과 스테롤, 유산균 성장 촉진 원인 물질인 chlorella growth factor (CGF)의 함유되어 있으며, 생체 내에서 중금속 배출기능, 독성물질의 분해, 동맥경화 및 간장장애의 억제, 면역기능 강화, 항암 활성, 장내 유효세균의 증식 촉진, 식품의 풍미 향상 및 보습효과 등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어 기능성 생물소재로 주목되고 있다. 클로렐라는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의약품 소재로서 응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의 고정화와 수소가스의 생성 등 환경 및 에너지의 생산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이 전망된다.

루꼴라(Eruca sativa)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Anti-melanogenic effect of Eruca sativa extract)

  • 김현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4-79
    • /
    • 2016
  • 본 연구에서 루꼴라(E. sativa)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루꼴라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루꼴라 추출물 처리 시 항산화 활성($ID_{50}$, 17.60 mg/L)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루꼴라 추출물 처리시 높은 tyrosinase 활성저해($ID_{50}$, 132.54 mg/L) 및 멜라닌 함량 저하($ID_{50}$, 158.90 mg/L)를 보여주었다. 또한, 루꼴라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루꼴라 추출물이 직접적인 tyrosinase 활성저해 및 세포 내 tyrosinase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루꼴라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개선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주름개선 효과 등 추가적인 실험을 통하여 화장품 소재 개발 응용 가능성을 타진할 것이다.

기능성 바이오소재 활용을 위한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 (Bioefficacy Evaluation of Non-edible Parts of Aronia melanocarpa for the Use of Functional Biomaterials)

  • 김혜림;이은지;채희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89-95
    • /
    • 2020
  •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잎, 송이가지, 가지)를 바이오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잎과 가지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매와 송이가지 추출물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고, 아로니아의 부위별 항산화능(DPPH 래디컬과 ABTS 래디컬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열수추출물과 메탄올추출물 두 경우에서 가지, 잎, 열매, 송이가지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열수추출물은 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의 순으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메탄올추출물의 경우 가지, 잎, 열매, 송이가지의 순으로 저해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Nitric oxide 저해활성은 열수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 두 경우에서 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의 순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아로니아 가지와 잎은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화장품 등의 바이오 헬스케어 제품의 기능성 바이오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몽껍질 유래 플라바논의 최적 추출 및 기능성 소재 캡슐화 (Optimum Conditions for Extracting Flavanones from Grapefruit Peels and Encapsulation of Extracts)

  • 고민정;권혜림;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65-469
    • /
    • 2014
  • 버려지는 자몽 껍질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플라바논을 추출하여 기능성 성분을 재이용하였다. 친환경용매인 아임계수 추출기술을 이용하여 $170^{\circ}C$, 10 min의 최적 조건에서 추출함으로써 무독성 용매로 빠르고 경제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자몽껍질 추출물을 ${\beta}$-cyclodextrin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플라바논과 같은 비극성 물질을 캡슐화하여 소재의 가용화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것은 항산화 기능이 향상된 대체 소재의 개발 및 건강지향식품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세계 기능성 식품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도 삼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알칼리 표면개질에 의한 poly(vinylidene fluoride) 섬유의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of Poly(vinylidene fluoride) Fibers by Alkaline Surface Modification)

  • 정용채;정민;이선화;조재환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37-438
    • /
    • 2002
  • Poly(vinylidene fluoride)(PVDF)는 우수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불소계 고분자로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압전성 소재 및 봉합사용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PVDF의 화학적 개질을 통하여 전도성 고분자나 탄소섬유화 등의 기능성 소재로 만들려는 연구가 흥미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PVDF를 알칼리 처리하여 주쇄에 공액이중결합을 도입함으로써 전도성 고분자용 소재 또는 접착력이 개선된 PVDF 소재를 만들 수 있다. (중략)

  • PDF

기능성 나노물질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유기 PEC 셀의 제조 (Preparation of hybrid organic PEC cell with muti-functional nanomaterial)

  • 김민경;정재훈;임동찬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6-266
    • /
    • 2015
  • 전 세계적으로 무한한 청정에너지 개발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그 중, 수소에너지는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자원이며 수소 생산 방법 중에서도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수소 생산 기술은 가장 이상적인 수소 생산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광전극 소재로는 $WO_3$, ZnO, $Fe_2O_3$, $BiVO_4$ 등과 같은 무기 소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Si, CIGS 등과 같은 태양전지와 상기 광전극을 집적하는 탄뎀형 소재/소자가 개발되고 있다. 광전반응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는 광전기화학 전지의 소재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물의 수중 불안전성 문제 때문에 직접적으로 물에 침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인가 전원용으로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계 소재의 direct energy conversion을 위한 효율 및 수중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Ni계 촉매 및 그래핀옥사이드가 융합된 유기기반 광전기화학전지를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