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관 수술

검색결과 659건 처리시간 0.027초

Ivor Lewis 수술 후 식도-위 문합부 재발에 대한 수술 치험 : - 1례 보고 - (Surgery for the Anastomotic Site Recurrence Occurring after Ivor Lewis Operation - A Case Report -)

  • 김대현;최천웅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2-84
    • /
    • 2007
  • Treatment options for anastomotic recurrence occurring after Ivor Lewis operation are limited. Reoperation for resection can be technically challenging and several reports suggest a potential survival benefit from re-resection. Specific care must be taken to avoid compromise of the previously transposed conduit to not endanger its vascular supply and the recurrent nerves in either the chest or neck. We report our surgical experience of a case of esophagogastric anastomotic site recurrence occurring after Ivor Lewis operation with review of literatures.

  • PDF

유년기성 비인강 혈관섬유종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JUVENILE NASOPHARYNGEAL ANGIOFIBROMA)

  • 민양기;박상후;신시옥;김진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3.2-23
    • /
    • 1987
  • 저자들은 1977년부터 1986년까지 10년동안 서울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유년기성 비인강 혈관섬유종의 진단하에 치료받았던 27명의 환자에 대해 임상적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비율은 전례에서 남성이었으며 연령은 9세∼22세의 분포를 보였고 16∼17세가 가장 많았다. 2) 주증상으로는 전례에서 비출혈을 동반하는 비폐색증을 보였으며 편측인 례가 7례였다. 3) 종양의 크기는 21례에서 비인강 및 비강내에 국한되어 있었고, 4례에서 익상상악와, 2례에서 두개내 침습을 보였다. 4) 종양의 혈액공급은 동측의 내상악동맥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27례, 동측의 상행인두동맥이 13례, 양측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9례 있었다. 5) 치료는 23례에서 수술적 요법을, 4례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적 요법 23례중 11례 에서 경반구개제거술(hemipalatal approach), 8례에서 경전구개제거술(transpalatal appoach), 2례에서 경전구개 및 경상악동제거술(transantral approach), 2례에서 외비절제술(lateral rhinotomy approach)에 의해서 종양을 적출하였다.

  • PDF

청신경종에서의 뇌간유발반응검사 소견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N BRAINSTEM EVOKED RESPONSE AUDIOMETRY IN ACOUSTIC NEUROMA)

  • 노관택;이용식;이상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8.1-8
    • /
    • 1987
  • 청신경종은 제8 뇌신경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서 초기에 발견될수록 제거가 용이하기 때문에 조기진단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뇌간유발반응검사는 청신경종의 초기에 객관적으로 청신경종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82년부터 1986년까지 본원 이비인후과와 신경외과에 입원하여 수술한 청신경종 환자 27례에 대하여 뇌간유발반응검사를 검토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27례중 9례에서 환측에서 제 1파만이 관찰되었고 이중 6례는 순음청력검사상 60 ㏈이하의 역치를 보였다. 13례에서는 환측의 반응이 전혀 없었고 5례에서는 양측에 이상이 있었다. 대개의 경우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어 수술을 시행했기 때문에 뇌간유발반응 검사상 특이 소견을 찾기 어려웠으나 청력이 남아 있는 감각신경성난청환자에 있어서는 진단적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성공적 구개인두성형술을 위한 구인두궁 측정법 (MEASURING OF SOFT PALATE FOR EFFECTIVE PALATOPHARYNGOPLASTY)

  • 이준희;이상덕;남순열;박재훈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3-23
    • /
    • 1991
  • 구개인두성형술이 코골음과 수면무호흡증에 유용한 수술적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코골음과 수면무호흡증의 유발기전이 어리기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하므로 구개인두성형술의 적응증을 결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수술전에 이 방법의 적응이 되는 환자를 보다 정확히 선택함이 중요하므로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주된 병변부위를 검시하는 방법들이 시행되어 왔다. 예를 들면 Mueller maneuver 중 내시경검사, Cephalometrics, polysomnogram, Multiple sleep latency test, CT scan 등의 방법이 환자선택에 이용되었다. 저자들은 비교적 쉽고 경비가 들지 않는 술전 검사법으로 양 후구치봉선(retromolar raphe)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구인두궁 (soft palate arch)의 길이를 비교하는 방법을 총 89례에 적용 시행하여 그중 추적관찰이 가능한 46례에서 코골음은 86%, 수면무호흡증은 82%에서 자각적 증상의 개선이 있었기에 구개인두성형술을 시행함에 있어 양 후구치봉선거리와 구인두궁 거리를 비교하는 방법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술전 진단방법으로 사료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저작법에 의한 성대결절환자의 치험 (Three Vocal Nodule Cases Treated by Chewing Method)

  • 문영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3-10
    • /
    • 1983
  • 성악인, 무대예술인, 교사 등 음성직업인에 빈발하는 성대결절에 의한 음성장애는 공포의 대상이 될 뿐 아니라 수술적 제거에도 많은 신경을 쓰게 된다. 성대결절 수술제거의 적응을 결정하기에 앞서 음성치료의 일환으로 저작법을 시행하여 좋은 성과를 얻는 경우가 있다. 최근 성대결절 환자인 성악인 두명(남녀가 1명)과 교사 1명에게 저작법을 시행하여 좋은 효과를 얻었기에 문헌적 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Labyrinth Fistula를 동반한 진주종성 중이염 (A Case of Cholesteatoma Combined with Labyrinthine Fistula)

  • 김세훈;황명순;윤치훈;김선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40.1-40
    • /
    • 1981
  • 만성중이염은 이과영역에 있어서 가장 빈도가 늪은 질병 중 하나이다. 그중 진주종성 중이염은 이경화증과 골파괴가 심하며, 골파괴의 방향이 안면신경관, 내이 또는 두개내로 진행되면 두개내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으며, 청력장애가 심한 것으로 근년에 이르리 항생물질 및 화학요법등의 치료법이 많은 발달을 가졌어도 최종적인 치료법은 수술요법 밖에 없다. 최근 저자들은 현훈을 주소로 한 22세 남자 환자에서 내이루공을 동반한 진주종성 중이염을 중이 및 유양돌기 근치수술을 시행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비강 및 부비동의 반전성유두종 2례 (Two Cases of the Inverted Papilloma of the Nose and Sinuses)

  • 김백순;전병권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2.3-12
    • /
    • 1981
  •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하는 반전성유두종은 매우 드문 양성종양으로 1854년에 Ward에 의해 기술되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증례 보고되어 왔으며 수술 후 재발이 잘 되고 드물게 악성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으며 계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한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은 약 8년전 개인의원에서 비용으로 진단받아 비용절제술을 받은 바 있는 환자와 약 2년전 역시 같은 진단으로 수술을 받았던 환자에서 조직검사 결과 반전성유두종으로 판명된 2례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선천성 경부 종양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CONGENITAL NECK MASS)

  • 이기천;유영상;김인구;추광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44-44
    • /
    • 1991
  • 선친성 경부 종양은 표재성, 무통성 종물로 임상적으로는 이차적 감염후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이학적 검사 및 경부초음파 검사로 임상적 진단은 용이하나 확진을 위해서는 수술후 조직병리검사가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최근 2년간에 서울중앙병원에서 경부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여 수술후 조직병리검사로 확진된 47례에 대해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총 47례중 갑상설 낭종이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고(31, 9%) 새성낭종(25.5%), 낭포성 히그로마(21.3%), 유표피낭포(14.9%), 혈관종(6.4% )순이었다. 2)성별 분포는 남녀간의 큰 차이 없었다. (남46.8%, 여 53.2%) 3)연령별 분포는 20대 이하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63.9%) 4)위치별 분포는 경부중앙(42.6%), 우측경부(38.3%), 좌측경부(19.1%)를 보였다. 5)주된 증상은 경부종물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증상의 기간은 1년 미만이(53.2%) 가장 많았다.

  • PDF

수술후성 기관협착증에 관한 임사적 고찰 (The clinical study for the postoperative tracheal stenosis)

  • 김기령;홍원표;이정권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9.1-10
    • /
    • 1977
  • 문명의 발달로 나날히 복잡해지는 사회 환경속에서 우리는 생명을 위협하는 수 많은 사고를 당하게 되며, 이럭 경우에 상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관절재술을 많이 시행하게 되는데, 때로는 기관협착등 이에 따른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임상가들에게도 곤란한 문제를 갖어다 주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병증은 수술방법의 개선과 항생제의 출현등으로 그 빈도가 많이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1969년 Lindholm은 술후성 기관협착증의 빈도를 1.5%내지 10%라고 했으며, 1969년 Donnelly, Mulder와 Rubush, 그리고 1971년 Andrew와 Pearson 등은 이들 원인의 대부분이 cuff 가 있는 기관삽입관이나, 기관케뉼(tracheal canula)의 부적합한 사용이나, 또는 감염에 의한 압박괴사(pressure necrosis)로 형성된다고 하였고, 협착부위로서 1972년 Bryce는 절개공(stoma)주위가 가장 많으며, 응급기관절개술시에 의사의 부정요법(mal-practice)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도 주의한 바 있다. 기관협착증의 치료로서 협착이 경미한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세심한 관찰을 실시하면서 실리콘관(silicon tube)이나 스텐트(stent)를 사용하거나, 비강을 통한 삽관법(naso tracheal intubation)으로 기계적인 확장을 시도하며 (Schmiegelow, 1929, Montgomery, 1965), 육아조직이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기관경검사하에서 이를 제거한 후에 steroid를 병용하는 편이 좋은데(Birck, 1970) 그밖에도 기관개찰술(Fenestration method, 백·홍 1974)이나 재수술(Revision)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서도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 협착 부분을 절제한 후에 단단문합술(End-to-End Anasto-mosis)을 시행하는 수도 있다. 저자들은 1967년 10월부터 1977년 3월까지 10연년간 세브란스병원에서 기관절개술을 받았던 1514례를 대상으로 일련의 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중에서 기관협착증을 유발한 23례를 치료하였으며, 여기서 몇가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