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관 내관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9초

기계 호흡 치료후 기관내관 제거 전후 호흡 일(Work of Breathing)의 비교 (The Comparison of Work of Breathing Between Before Extubation and After Extubation of Endotracheal Tube)

  • 정복현;고윤석;임채만;최강현;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329-337
    • /
    • 1997
  • 연구배경 : 기관내관의 삽관은 상기도 저항을 증가시켜 환자의 호흡 일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계 호흡으로부터 이탈 시 기관내관을 제거한 후에 오히려 호흡곤란이 증가하여 호흡 부전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기관내관의 제거 후 호흡 일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러한 호흡 일의 변화와 관련된 호흡역학적 지표들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기계 호흡 치료 후 기저 질환이 호전되어 호흡 부전으로부터 회복된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내관 제거 직전, 제거 직후 및 48시간 까지 호흡 일과 호흡 역학적 지표들을 추적 관찰 하였다. 결 과 : 기관내관 제거 직전에 비해 직후 호흡 일이 감소한 환자는 33%(11/34), 변화 없는 환자는 41%(14/34), 증가한 환자는 26%(9/34)였다. 기관내관 제거 후 48시간 이내 기계 호흡의 보조나 다시 기관내관의 삽관을 받은 이탈 실패 환자는 3군(호흡 일이 증가된 군)에서는 44.4%(4.9), 2군(변화 없는 군)에서는 28.6%(4/14), 1군(감소된 군)에서는 9%(1/11)에서 발생하였다. 기관내관 제거 후 호흡 일의 변화는 주로 평균 기도 저항의 변화와 정 상관 관계를 보였다. 기관내관 제거 후 호흡 일이 증가한 환자군 중에서 48시간까지 호흡일이 측정된 3명의 환자에서 호흡 일과 평균 기도저항은 6시간까지 일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4시간 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기계 호흡 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기관내관 제거 직후 가역적인 호흡 일의 증가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평균 기도 저항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내과계 중환자의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과 계획적 기관내관 발관의 관련 특성 비교 (Comparison of 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Unplanned and Planned Extubation of Patients in Medical Intensive Unit)

  • 조효임;이영휘;김화순;심보윤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09-519
    • /
    • 2012
  •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frequency of unplanned extuba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ed factors of unplanned extubation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received intubation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One hundred eighteen patient char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Scale and unplanned extubation risk factors were examin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Fisher's exact test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The incidence of unplanned extubation was 11 (9.32%) out of 118 patients who had undergone intub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nplanned extubation and work shift ($x^2$=61.52, p=.001), ventilation mode (p=.001), number of days of ventilator application (U=366.00, p=.038) and administration of sedatives (p=.025). Conclusion: Unplanned extubation is affected by the following variables: a) whether a nurse is in night shift, b) whether ventilation is mandatory, c) duration of ventilation use and d) administration of sedatives.

중환자실 간호사의 기관 내관 기낭관리의 지식과 수행정도 (Knowledge and Management of Tracheal Tube Cuffs Among ICU Nurses in Korea)

  • 장선주;송미순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70-579
    • /
    • 2009
  • Purpose: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knowledge and management of tracheal tube cuffs among nurses of ICU. Methods: This descriptive survey recruited 150 nurses working at 8 different adult ICUs within 2 tertiary hospitals in Seoul.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cuff management.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tool was examined by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Among the 150 nurses, 94.0% replied that they would measure the pressure themselves. With regard to nurses' knowledge about tracheal tube cuffs, only 6% answered that they knew 'the appropriate cuff pressure'. The existence of a measuring device (p < .001), a guideline (p < .001), the level of knowledge on its related complications(p = .003), and clinical experience (p < .001) together accounted for 35.0% of the total variation in cuff management. They pointed out that the lack of time and the lack of education were major barriers to appropriate management; whereas education update was the most imperative factor for good management. Conclusion: ICU nurses have inappropriate knowledge and practice in cuff management. Therefore continu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better practice of tracheal tube cuff management.

  • PDF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이 중환자실 환자의 비계획적 발관 및 구강.안면 피부 통합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otated Endotracheal Tube Fixation Method on Unplanned Extubation,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in ICU Patients)

  • 최영순;채영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6-124
    • /
    • 2012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compare effects of two endotracheal tube (ET tube) fixation methods (rotated fixation versus conventional) on unplanned extubation and skin integrity for orally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repeated measures design. Participants were 80 patients; 40 participants assigned to each group. ET tube for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fixed with rotated method every morning. Unplanned extubation was assessed by bedside nurses using the unplanned extubation report form.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were assessed using oral assessment guide and facial skin integrity assessment guide at day 3, 7, 10 and 14.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unplanned extubation rate between the two groups. Oral mucosa impairment scores for the rotated fixation method were significantly lower at day 7 (p=.044), 10 (p=.048) and day 14 (p=.037). Also facial skin integrity impairment scores for the sam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at day 7 (p=.010), 10 (p=.003), and 14 (p=.002). Conclusion: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rotated fixation method is effective for these patients, to prevent impairment of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prevent unplanned extubation.

계획된 기관 내관 발관(extubation) 후 재 삽관(reintubation)한 환자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Reintubated Patients After 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 손장원;신성준;김태형;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39-442
    • /
    • 2004
  • 배 경 : 기관 내관 발관의 실패와 재 삽관 (extubation failure and reintubation)은 유병률 및 사망률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기관 내관을 제거할 때 신중한 평가가 필요하다. 발관 실패의 여러 위험 요인이 제시 되었고 발관의 임상적 기준이 제시되었으나 여전히 일부 환자는 발관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계획된 발관을 시도한 환자를 대상으로 발관 실패 및 재 삽관한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인공 호흡기 치료 후 호전되어, 충분한 발관에 대한 평가를 거쳐 계획된 발관을 시도한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 중 발관 48시간 이내에 호흡 부전으로 재 삽관 한 환자를 발관 실패로 정의하였다. 발관 성공 군과 실패 군간의 임상적 지표, 호흡기능 및 혈역학적 지표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31명의 환자 중 6명이 발관 실패 군이었고, 발관 실패율은 19.4% 였다. 성공 군과 실패 군 간에 나이 (성공군 $60.4{\pm}15.65$, 실패 군 $80.3{\pm}7.17$세), 총 삽관 시간(성공 군 $7.12{\pm}2.47$, 실패 군 $13.83{\pm}2.4$ 일), 분당 심박수 (성공 군 $94.32{\pm}5.77$, 실패 군 $110.67{\pm}3.78$ 회)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고령의 환자나 삽관 기간이 길었던 환자는 발관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발관 전 심장 기능의 적극적인 평가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동일한 최고 흡기압(Peak inspiratory pressure)에서 기관 내관 풍선(Endotracheal tube cuff)의 최소 밀폐압(Minimal occlusion pressure)에 대한 상시량의 영향 (The Effects of Tidal Volume on Minimal Occlusion Pressure of Endotracheal Tube Cuff in Patients with Same Peak Inspiratory pressure)

  • 손장원;김태형;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34-438
    • /
    • 2004
  • 배 경 : 기관 내관 풍선(cuff)의 압력은 과도하게 높으면 기관에 손상을 일으키고, 낮으면 압력 누출이 초래되므로 적절한 압력 유지가 필요하다. 적절한 cuff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시행하는 최소 밀폐압 (minimal occlusion pressure) 방법에서 cuff의 압력은 최고 흡기압(peak inspiratory pressure)의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고 흡기압 이외의 다른 요소, 특히 환기 용적과의 관련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 동일한 최고 흡기압을 유지하면서 상시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기관 내관 cuff의 최소 밀폐압에 영향을 주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인공 호흡기 치료 중인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cuff 압력 측정계를 이용하여 공기 누출이 일어나지 않는 cuff의 최소 압력(최소 밀폐압)을 구하였다. 최고 흡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인공호흡기의 설정을 조절하면서 1회 호흡량을 10% 증가시킨 용적과 10% 감소시킨 용적을 각각 적용하면서 최소 밀폐압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초기 설정에서 최고 흡기압은 $32.6{\pm}4.72cmH_2O$ 였고, 최소 밀폐압은 $19.0{\pm}2.26$ mmHg 였다. 각 환자의 최고 흡기압과 최소 밀폐압 사이에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r=0.77, p<0.01). 상시량을 10% 증가시킨 경우(high volume state)의 최소 밀폐압은 $20.3{\pm}2.41$ mmHg로 증가하였고(p<0.05), 상시량을 감소시킨 경우(low volume state)의 최소 밀폐압은 $16.8{\pm}3.01$ mmHg로 감소하였다(p<0.001). 결 론 : 최고 흡기압 뿐만 아니라 1회 호흡량도 기관 내관 cuff의 최소 밀폐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글로벌 전자상거래를 위한 인증체계 (Certification Authority System for Global Electronic Commerce)

  • 이호건;박승락;윤영한
    • 통상정보연구
    • /
    • 제2권2호
    • /
    • pp.43-68
    • /
    • 2000
  • 전자상거래는 비대면(非對面) 거래로 모든 제반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대에 대한 신뢰성의 문제가 크며, 거래 당사자와 거래 내역에 대한 입증을 해줄 인증기관이 필요하게 된다. 현재 미국의 베리사인 등 사설인증업체가 국내전자상거래 업체의 인증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증은 필연적으로 관련 기술의 표준화가 수반되는데 이에 대한 국내기술이 미흡하므로 국제동향을 고려한 국내인증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글로벌 전자상거래에서는 인증기관에 대한 문제가 더욱 절실한데 문제는 어떠한 형태로 어떤 기관이 주축이 되어 인증체계를 구축하는가 하는 것이다. 현재, 인증체계는 네트워크 방식, 계층구조, 혼합형의 세가지가 논의되고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계층구조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체계는 국가별로 상이할 수 있지만, 문제는 글로벌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일관된 형태의 인증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이와 관련한 논의는 초보적인 단계를 벗어난 실정이며, 미국 EU 등 일부국가와 UNCITRAL, OECD, ICC, WTO 등 관련 기구에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는 단시일 내에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관련국가들간의 상호인증을 통한 해결이 선행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인증체계가 실현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인증과 관련한 국내 시장은 출범 초기 단계로서 글로벌 인증 관련 국 내관련 법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며, 이와 아울러 인증서비스를 이용할 사이버무역업계 및 정부 관련 기관 등의 관심이 촉구된다 하겠다.

  • PDF

0.1% 클로르헥시딘과 탄툼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기관내관을 삽입한 중환자실 환자의 구강상태 및 구강내 세균 발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al Care with 0.1% Chlorhexidine and Tantum Solution on Oral Status and Incidence of Oral Pathogens among Intubated ICU Patients: A Pilot Study)

  • 이경희;박해경;김지혜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5-35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ilo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care using 0.1% chlorhexidine and tantum solution on oral status and incidence of oral pathogens among intubated ICU pati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6 intubated patients of MICU in a university hospital. Oral care was provided with 0.1% chlorhexidine solut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n=12) and with tantum solution to the control group (n=14), 3 times a day for 6 days. After the intervention, the oral status of each subject was checked using structured method, and oral swab culture was done to count colonized bacterial pathogens. Results: The mean oral status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U=42.50, p=.031). The mean incidence of oral pathogens in experimental group was small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oral care with 0.1% chlorhexidine solution is more effective than with tantum solution for improving oral status of intubated ICU patients. However, additional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 will be needed to figure out it's effects on the incidence of oral pathogens.

  • PDF

기관내관을 적용중인 국내 중환자실 성인 입원환자의 구강간호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Oral Hygiene Care of Endotracheal Intubated Patients in Korean Intensive Care Units : A Scoping Review)

  • 임정은;정덕유;유리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8-82
    • /
    • 2024
  • Purpose : This scoping review was designed to identify gaps in knowledge and guide future directions for clinical nursing practices and research on oral hygiene care for endotracheally intubated patients in Korean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using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proposed by Arksey and O'Malley. PubMed, CINAHL, RISS, Science On, and DBpia databases were searched.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elected the studies and extracted data. A total of 445 studies were identified, of which 17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2021 to the present. A total of 12 instruments were utilized in 13 studie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oral hygiene care. All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oral hygiene care have consistently documented that chlorhexidine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The frequency and time of oral hygiene care were each examined in one study. Conclusion : A research study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oral hygiene care suitable for endotracheal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Interven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hlorhexidine and the appropriate frequency and time of oral hygiene care. Thereafter, revision of domestic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by integrating these results will be necessary.

후두전적출술후 식도기능의 변화

  • 김세헌;홍원표;김충배;이원상;김광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6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82-82
    • /
    • 1996
  • 후두전적출술은 상부 소화관의 연속성을 변형시킴으로써, 식도운동의 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며, 술 후에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경우는 10% 가량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도내압검사를 통하여, 후두전적출술이 상부식도괄약근의 휴지기와 최대 압력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가 및 술 후 인두와 상부식도괄약근의 조화성 여부와, 만일 상부식도괄약근의 기능에 변화가 생긴다면, 그 영향이 식도체부 및 하부식도괄약근의 운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식도내압검사는 8개의 내관을 가진 폴리에틸렌 도관으로, 후두전적출술을 받은 환자군 14명과 정상인 12명을 대상으로, stational pull-through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환자군에서 상부 식도괄약근은, 휴지기 압력, 최대 수축압력, 이완정도, 괄략운동의 조화성 및 괄약근의 길이 등이, 정상 대조군 보다 의미있게 감소되었다. 환자군에 있어서 식도체부의 운동성은 주로 근위부 식도체부에서, 수축력, 수축기간 및 연동파의 전파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감소되었고, 연동운동시 동시 수축도 3례에서 관찰되었다. 하부 식도괄약근의 기능은 환자군과 대조군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