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관평가

Search Result 3,62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BSC를 활용한 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제도의 유효성 연구 : 기관평가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 Nam, Yeong-Ho;Kim, Byeo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57-84
    • /
    • 2005
  • 기관평가제도는 경영관리과정의 최종단계로 평가결과에 의한 인센티브 부여와 피드백과정을 갖는 경영관리의 중심분야 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평가제도에 대한 유효성 평가에 대한 실증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의 기관평가제도의 유효성에 대한 평가는 기관평가지표가 기관성과를 평가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의 여부와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첫째, 연구기관의 특성분석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연구기관의 BSC 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출연 연구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점을 도출한 후 전문가를 통한 델파이법(Delphi Method)으로 관점을 확정하였다. 셋째, 기존 평가제도에서 평가지표의 가중치(weight)를 분석하여 관점별로 분류한 후 BSC 형태로 재조정하여 기존 평가제도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피평가자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피평가기관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지표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평가제도의 평가지표와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지표가 BSC 모형에서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기관의 BSC 관점간의 가중치가 기존 평가제도와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지표에 반영되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초 ${\cdot}$ 원천 연구에 주력하는 기초기술연구회, 산업화 ${\cdot}$ 상업화 연구에 주력하는 산업기술연구회, 공공성 ${\cdot}$ 대형연구에 주력하는 공공기술연구회간에는 미션과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검증결과 관점간의 가중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기관평가제도는 연구기관의 특성과 미션을 고려한 유효한 평가제도로 볼 수 있겠다.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는 기존 평가제도와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제도를 대상으로 관점간 가중치의 우선순위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관점간 가중치의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현행 평가제도는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검증결과 관점간 가중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에서 연구회별 관점의 가중치와 소속 연구기관별 관점의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일부 연구기관에서는 연구회의 가중치와달리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기관평가제도는 일부 연구기관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서 유효한 평가제도로 볼 수 없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출연연구기관의 기관평가지표에 대한 각 지표별 가중치와 지표 문항 개선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본다.

  • PDF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가 대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 Yun, Mun-Do;Seo, Ye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753-783
    • /
    • 2017
  •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가 대학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가 대학 균형성과표(BSC) 4가지 관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고등교육기관의 1주기 평가인증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대학 조직의 균형성과표(BSC) 및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의 성과분석에 대한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독립변수인 기관평가인증제 즉,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의 정도,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대학 균형성과표(BSC)의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재무 관점의 4가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증하였다. 기존의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의 성과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평가인증제 체제 자체의 성과와 각 평가요소에 있어서 대학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정작 기관평가인증제가 평가인증의 평가대상인 대학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기관평가인증제가 대학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기관평가인증제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고객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고객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내부프로세스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내부프로세스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와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학습과 성장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은 학습과 성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재무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재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와 자체평가 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교육체계 혁신이나 내부프로세스 효율성 향상으로 인해 교육의 질이 개선되어 학생의 만족도와 선호도가 높아지며, 아울러 안정적 재원확보와 재원의 효율적 관리를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인증 획득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게 하고,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를 통해 인증평가에서 요구하는 기준 이상을 충족하도록 학습과 혁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인구의 급감 등 급변하는 대학의 대내외 환경에서 생존을 넘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평가인증제를 다양한 대학의 경영성과로 연계할 경영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Differences of Technology Assessment Scores (평가기관과 공공기관의 선별평가점수 차이에 관한 연구)

  • Kim, Youn-Ch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25-2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특허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개발된 선별평가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1,166개의 특허기술을 공공기관과 평가전문기관이 각각 평가하여, 공공기관의 자체평가결과와 전문평가기관의 선별평가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공공기관의 자체평가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한다. 선별평가점수와 자체평가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용화가능성 항목은 차이의 평균(0.092)은 작으나 차이의 표준편차가 커서 공공기관과 평가기관의 견해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출연연구기관 종합평가의 평가와 과제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정용일;원동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06-122
    • /
    • 2000
  • 1999년 처음 출범한 연구회체제는 소속 연구기관들의 1999년도 연구실적 및 경영내용에 대한 기관평가를 실시하였다. 기관평가는 짧은 준비기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객관적인 지표체계 및 과학적인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제고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연구회 소속 연구기관들은 기관평가시스템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에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책임성 확보와 성과지향적인 관리 및 평가체제 구축을 위하여 도입된 기관평가의 목적, 대상, 체계, 기준 및 그 결과 등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와 비교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lication from Reform of HLC Institutional Accreditation Model (미국 고등학습위원회 기관평가인증제 평가모형 개혁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 Lee, Young-Hak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4 no.3
    • /
    • pp.245-26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features of HLC institutional accreditation model and the implication on the second perio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of Korea. This research focus on accreditation model, accreditation period, comprehensive evaluation, criteria, decision making for accreditation status and accreditation supporting system. This research draws following suggestions to the second perio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of Korea. 1.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hould apply various accreditation model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institute. 2.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hould focus on the autonomous quality improvement of institute with the quality assurance. 3.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hould be reduced and qualitative evaluation based on mission and objects should be reinforced. 4. The interim evaluation should be strictly enforced for quality improvement. 5. The government should enlarge reflection the results of accreditation on financial aid to universities. 6. The web-based accreditation supporting system interworking with "Higher Education in Korea" service is needed.

A Study of Home-visit Care Agenci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Home and Community Long-term care Agency Quality Assessment (HCLA-QA) Program (방문요양기관의 재가장기요양기관평가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Han, Eun-Jeong;Lee, Jung-Suk;Kwon, Jinhee
    • 한국노년학
    • /
    • v.32 no.2
    • /
    • pp.467-485
    • /
    • 2012
  •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nitiated Home and Community Long-term care Agency Quality Assessment(HCLA-QA) program in 2010. This study aims to explore long-term care agenci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HCLA-QA program, focused on the home-visit care agencies. Total 473 agenci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response rate 13.6%), using the e-mail and fax survey methods with high-capacity web-fax server of NHIC.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e agencies' different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HCLA-QA program according to their quality ratings as QA results. Compared to the agencies with low quality ratings, the agencies with high quality ratings tend to have more time for preparation, better understandings about HCLA-QA program, more positive perceptions that quality indicators generally are valid, and more affirmative attitudes that the notifications of QA results are helpful for agencies. Our findings can be very useful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HCLA-QA program. The policy makers, the insurer, and the agencies need to consider the opinions of the agencies with high quality ratings as well as the ones with low quality ratings.

An Empirical Study on Improving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fo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Focusing on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정부출연(연) 기관평가시스템 발전방안 논고: 경제.인문사회연구회를 중심으로)

  • Hwang, Byung-Yong;Kim, Dae-Cheol;Lee, Jang-Ja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1
    • /
    • pp.137-164
    • /
    • 2009
  • As a means to address the modes of developing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aimed at improving performances of GRIs, this study looked into the influential relations wher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has an impact on receptivity of evaluation outcomes and performances of institutes optimize their performances. After making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for GRIs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performances of research institutes, and receptivity of evaluation outcomes is related to performances of research institutes.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stitutes with high performances, in general, have high level of receptivity of evaluation outcomes along with positive recognition of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However, weaknesses of the Council's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for GRIs resulted in low level of receptivity amongst GRIs, and thus there is limitation on the government and the Council in the active utilization of evaluation outcomes. Finally, it addressed the limitation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relation to research outcomes.

  • PDF

국내 및 국제간 기업신용평가 비교연구

  • Hwang, Seon-U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1 no.1
    • /
    • pp.61-99
    • /
    • 2005
  • 신용평가제도는 오늘날 그 영향력이 강력해져 사실상 세계자본시장의 문지기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신용평가기관의 중요성과 영향력의 증대와 더불어 이들 평가기관의 활동에 대한 비판과 감시가 커지고 있는 이때에 아직 선진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국내신용평가기관들의 현황과 평가체계를 살펴보고 선진국의 신용평가기관들과 비교해 봄으로써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국내 신용평가기관들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신용평가절차에 있어서 기준이 경영상태, 성장성, 그리고 재무구조의 건전성에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본적인 요인들의 영향력은 미미한 반면, 비공개적이고 불투명하며 비경제적인 요인들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선진신용평가기관들의 분석결과는 그 신뢰도에 믿음을 가질 수 있고, 대내외적인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평가과정이 매우 주관적이어서 그 내용을 모두 공개하지 않지만, 국내의 신용평가과정보다는 투명성을 인정받고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국내신용평가기관들의 나아갈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재무적 요인의 평가기준에 대한 인식의 재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장기적인 시각으로 비재무적 요인에 대한 평가기준과 방법에 대한 체계의 정립이 요구되며, 전문적이고 객관적이면서도 뚜렷한 평가기관의 주관이 있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신용평가방법과 기준의 강화로 대외적인 공신력을 얻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성장성, 수익성, 그리고 안정성 비율 모두를 반영할 수 있는 신용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자기자본비율의 대폭적인 상승이나 현금흐름의 양호여부, 경제적 부가가치(EVA), 고정장기적합률의 이행기준의 설정 등에 대한 평가기준의 재정립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Problems in and the Improvement of the Archives Evaluation System : Focusing on th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기록관리 기관평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 Kwon, Do-gyu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8
    • /
    • pp.180-208
    • /
    • 2016
  •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Archives Evaluation System in 2008, the Republic of Korea's archives management has undergone many changes and great development. However, there remain process problems in several operations of concerned agencies. These are made up of problems in the system itself (operation-related problem), problems in evaluation indicators, and issues in communication issue between the rating agency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the rated institutions. This study was a theorem for such status of the concept, objectives, and the indicators of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as it looked into the problems and sought improvement of the systems and indicators. The problems of the evaluation system were felt in the survey of the education field, which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and phone interviews with the Office of Education's archives managers and researchers. Among the problems found were the assessment period, the number of indicators, evaluation process, the assessment indicators, and the best practices. Moreover, this study summarized the comments of the archives managers on what they believed are needed to improve the field.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structural and fundamental changes in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are need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opes that an archives management business for the public institu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w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Evaluation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in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교육지원청 기록관리 기관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Yun, YeongJo;Chung, Yeon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1 no.3
    • /
    • pp.125-149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of evaluating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of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DOE) and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analyzed survey questions (response rate 52.8%) of records management officers in charge of records management in 176 DOE and in-depth interviews of records managers from 15 institutions who agreed to participat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rveys and interviews, a further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records manager responsible for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evaluation at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All of the results were aggregated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in the areas of evaluation environment, agents of evaluation, and evaluation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s to implement evaluations for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each institution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