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관지 늑막루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초

기관지늑막루를 동반한 농흉의 외과적 치료-3 치험례- (Surgical treatment of postpneumonectomy empyema associated with bronchopleural fistula; A report of Three cases)

  • 김용진;김현순;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5권3호
    • /
    • pp.295-298
    • /
    • 1982
  • Persistent bronchopleural fistula still presents a troublesome therapeutic challenge and demands an aggressive approach when conventional measures fail. Empyema associated bronchopleural fistula developed after resectional surgery and their primary diseases were lung abscess in one case, bronchiectasis in two cases. Three cases of postpneumonectomy empyema associated bronchopleural fistula were treated surgically with a pedicled intercostal muscle grafting and concomittent thoracoplasty. After the procedure, patients had no recurrent symptoms or signs of bronchopleural fistula and discharged from hospital with improved condition.

  • PDF

자가혈과 늑막유착제를 이용한 늑막유착술 -치험 2례 보고- (Pleurodesis with Autologous Blood Plus Sclerosing Agents)

  • 송종필;이종호;김병열;이정호;강경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92-95
    • /
    • 1999
  • 폐엽 절제술후 발생한 지속적인 공기 누출 환자에 있어서 현재 화학적 늑막유착술이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여기에 쓰이는 늑막유착제로는 talc, tetracyclin, doxycyclin, bleomycin, vibramycin, OK432 등이 있다. 그러나 재팽창이 불완전하여 사강이 남아있는 경우 화학적 늑막유착술 만으로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장기간 흉관을 가지고 있어야 함으로 농흉의 위험성도 증가한다. 따라서 폐절제술 혹은 늑막박피술후 발생한 지속적인 공기누출은 많은 흉부외과 의사의 고민이었다. 자가혈을 이용한 늑막유착술은 이러한 지속적 공기누출에 대한 해결법의 하나로 개발되었으며, 그 기전은 혈괴가 직접 기관지 늑막루를 폐쇄하면서 동시에 사강을 감소시킴으로서 늑막유착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원에서는 폐수술후 지속적인 공기누출 2례에서 자가혈과 OK432 그리고 자가혈과 vibramycin을 각각 사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 PDF

좌측 전폐절제 수술후 발생한 기관지 늑막루의 폐쇄치료 1례 (Closure of Post Left Pneumonectomy Bronchopleural Fistula with Empyema Thoracis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Approach] - One Case Report -)

  • 문동석;이두연;김해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6호
    • /
    • pp.593-597
    • /
    • 1992
  • The bronchopleural fistula[BPF] due to bronchial stump disruption after pneumonec-tomy has remained one of the most dreadful complications to now. The management of the BPF with empyema thoracis are still therapeutic dilemma even though a various surgical methods for the control of BPF with or without empyema thoracis. We have experienced the successful treatment of BPF & empyema thoracis with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approach. The patient was a 54 years old male who was taken left pneumonectomy at W. Medical Center at sept, 19th. 1991. He was suffered from the BPF R empyema thoracis and so was transferred to our hospital at Nov. 19th. 1991. We treated the patient with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bronchial closure for BPF, and put clagett procedure for empyema thoracis in 2 weeks. We think this kind of surgical techniques is one of the relatively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the control of BPF and empyema thoracis.

  • PDF

만성염증성 폐질환에서 전폐절제술의 임상적 평가 (Clinical Analysis of Pleuropneumonectomy for Chronic Inflammatory Lung Disease)

  • 최필조;방정희;김시호;조광조;우종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462-469
    • /
    • 2006
  • 배경: 염증성 폐질환을 위한 전폐절제술은 동반된 합병증률과 사망률로 인해 흉부외과의에게는 난제이며 늑막외전폐절제술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늑막외전폐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의 수술 성적과 합병증 등을 단순 전폐절제술을 받은 환자와 비교분석하고 이들 환자에서의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만성염증성폐질환으로 전폐절제술을 시행 받은 9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늑막외전폐적출술(A군)은 48명에서, 단순 전폐절제술(B군)은 50명에서 시행되었다. 두 군 환자의 임상적 특징, 수술 후 성적 및 합병증 등을 비교 분석하고 늑막외전폐절제술(A군)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수술 전, 수술 중 요인으로 나누고 이들의 유의성을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로 인한 조기 사망은 1명으로 수술 후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으로 인한 경우였다. 21명(21.4%)의 환자에서 23예의 주요 수술 후 합병증을 나타내었다.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는 수술 후 출혈로 인해 재개흉이 필요했던 경우 8예, 농흉(기관지-흉막루 포함)의 발생 8예였다. A군 48명 중 14명(29.2%)의 환자에서, B군 50명 중 7명(14.0%)에서 각각 합병증을 보였다. 높은 합병증을 보인 A군의 경우, 농흉(기관지-흉막루 포함)의 발생 6예, 수술 후 출혈로 인해 재개흉이 필요했던 경우 6예로 가장 흔한 합병증이었고,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의 위험인자를 알기 위해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우측 전폐절제술(p=0.0022), 완성전폐절제술(p=0.023), 1,000 mL 이상의 출혈(p=0.005), 수술 중 흉강 내 오염(p=0.035) 등이 위험인자로 판명되었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수술 중 흉막강 내 오염이 되었던 경우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28). 결론: 만성 염증성 폐질환의 치료를 위한 전폐절제술은 만족할 만한 사망률과 합병증률을 보였다. 그러나 늑막외전폐절제술은 수술 술기상 고난도이며 고위험군의 수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술 중 세심한 박리 조작으로 폐병소부위의 파열로 인한 흉막강 내의 오염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술 중의 특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Pleural Aspergillosis 치험 1례 (Surgical Treatment of Pleural Aspergillosis a case report)

  • 양현웅;최종범;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44-547
    • /
    • 1997
  • 저자들은 흉막 아스페르길루스증을 치험하였다. 50세 여자가 2주 동안의 권태감, 식욕부진, 객담을 동반한 기침 및 우측 홉막성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10여년전 폐결핵으로 약물치료를 받은 적이 있었 다. 일반 흉부 사진상 폐우상엽에 공동을 동반한 농기흉을 보였으며,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우측 폐에 분 획된 농기흉 및 기관지 늑막루 소견을 보이는 공동이 관찰되었다. 폐 박피술과 부분절제,그리고 흉막절제술 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경과는 만족스러웠다. 흉막 아스페르길루스증은 매우 드물고 잘 치유되지 않는 질병 이나 전신적 항진균제제 투여 및 수술적 치료로 별다른 합병증 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재발의 가능성 때문에 계속 추적 관찰 중이다.

  • PDF

고빈도 환기법 (High Frequency Ventilation)

  • 이현우;이관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17
    • /
    • 1993
  • 고빈도 환기법은 최근에 개발되어 임상에 응용되면서 호흡생리학, 마취학, 집중치료의 학등의 분야에서 호흡부전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환기법이다. 현재까지 고빈도 환기법중 고빈도 양압 환기와 제트 환기는 비교적 많은 연구가 되고 있고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고빈도 진동 환기법은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고빈도 진동 환기법에 대해서도 더 많은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최근 개발되고 있는 고빈도 흉벽 진동 환기와 체표면 진동 환기에도 관심을 기울이면 호흡부전 환자의 치료에 바람직한 새로운 환기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고빈도 환기법의 몇몇 적용형태는 기관지-늑막루등의 폐압손상으로 인한 병변의 치료외에도 기관수술, 흉부수술, 뇌수술에서 수술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면서 충분한 가스교환율 이룩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응급심폐소생술, 폐쇄성 폐질환, 성인 또는 영아 호흡곤란증후군등과 같은 질환에서의 적용은 더 규명되어져야겠다. 고빈도 환기법의 여러가지 문제점중 적절한 환기빈도의 결정, 충분한 습도를 공급하는 장치, 고빈도 환기의 정확한 감시장치의 개발등은 앞으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또한 임상에 더욱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새로운 환기법이 되기 위해서는 고빈도 환기법의 호흡생리와 안정성등에 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겠다.

  • PDF

간농양에 속발한 기관지늑막루의 치험 6례 (Broncho-pleural Fistula due to Liver Abscess: A Review of 6 Cases)

  • 이영;김학산;손광현;서경필;이영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권1호
    • /
    • pp.17-20
    • /
    • 1970
  • Six cases of broncho-pleural fistula due to complicated liver abscess were experienced at the department of chest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October 1967 to March 1970. Amebic liver abscess was the primary cause in the 5 cases and the remaining one case was due to pyogenic liver abscess. Involved lung was right side in all case. The clinical manifestation was fever,chill,cough, sputum, dyspnea, chest pain, hemoptysis and shoulder pain. The methods of the treatment employed were closed thoracotomy [1], thoracotomy & drainage [2],decortication [1],and right lower lobectomy[3]. The average duration of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19.6 days.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 PDF

우측 전페절제술후 발생한 기관지늑막루의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approach를 이용한 폐쇄치료 -1예보고- (Closure of Chronic Postpneumonectomy Bronchopleural Fistula using the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Approach -A case report-)

  • 김동관;이두연;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566-571
    • /
    • 1990
  • The Bronchial stump disruption in bronchopleural fistula with empyema thoracis after pneumonectomy has remained one of the most dreaded complications of thoracic surgery. Management of chronic bronchopleural fistula still poses a therapeutic dilemma in spite of various surgical techniques that have been attempted to control this complication. Only recently,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approach for repair of the postpneumonectomy bronchopleural fistula has been utilized in some cases. The patient was a 31 year-old woman who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on August 18th, 1989 due to right postpneumonectomy bronchopleural fistula with empyema thoracis for 5 years since she had undergone right pneumonectomy due to pulmonary tuberculosis at E-hospital in 1984.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closure of the fistula was employed and then the thoracic catheter was removed two months later, after the empyema cavity was sterilized by the Clagett method. So, we think this surgical technique is a relatively simple and effective method to the control of chronic postpneumonectomy bronchopleural fistula with empyema thoracis.

  • PDF

공동절개술과 유경성 대망이식술 및 근육 충진술을 이용한 거대 폐공동(폐국균증)의 치험 1례 (Large aspergilloma cavity treated by Cavernostomy md ometal, muscle flaps A case report)

  • 방정희;편승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9호
    • /
    • pp.936-940
    • /
    • 1997
  • 43세 남자 환자가 기침,각혈 등의 심한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술전 단순 흉부 X-선 촬영과 단층 촬영에서 좌폐의 213를 차지하는 공동과 균종(mycetoma)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 수술에서 공동벽의 심한 유착과 박리증의 공동벽 파열,술전 환자의 호흡 기능을 감안하여 공동 절개술 (cavemostomy)과 흉곽 성형술(thoracoplasty)을 시행하였고 잔존하는 공간과 기관지 늑막루의 완전한 폐쇄를 흉벽 근육성형술(myoplasty)와 대망 충진술(omentoplasty)를 2차로 시행하여 추적 관찰중 좋은 결과를 보였다. 본 증례로 저자등은 심한 호흡 증상으로 전신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고 만성쇠약에 빠진 좌폐의 213이상 차지할 만큼 큰 공동을 가진 폐국균증의 경우 대망이나 근육을 이용한 공동 절개술(cavemostomy)를 충분히 고려해 볼만한 수술적 방법임을 알게 되었다.

  • PDF

각혈을 동반한 결핵성 농흉 및 기관지늑막루의 환자에서 늑막 및 전폐절제술후 다량의 출혈환자의 치험 1례 (Massive Hemorrhage after Pleuropneumonectomy in a Patient of Tuberculous Empyema and Bronchopleural Fistula with Hemoptysis - Report of One Case -)

  • 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5호
    • /
    • pp.839-844
    • /
    • 1989
  • There appears to be significant problems remained in the treatment of tuberculous empyema with BPF in spite of several surgical methods: decortication, thoracoplasty, and pleuropneumonectomy. We presented one case of tuberculous empyema with BPF. The patient was 42-year-old male and his chief complaint was hemoptysis. In past history, he was treated with left closed thoracostomy and antituberculous medication for two months, 16 years ago. Chest X-ray, tomogram and C. T, revealed a huge mass with central necrosis in the lower 2/3 of left thoracic cavity and shifting of the mediastinal structure to the right. Needle aspiration cytology was undifferentiated large cell carcinoma. Left thoracotomy was made under the impression of lung cancer and pleuropneumonectomy was done. Operative findings; thick walled empyema sac filled with hematoma and BPF, the mediastinum was fixated due to fibrosis and calcification of the pleura and the mediastinum. Postoperative biopsy was consistent with tuberculosis. In the postoperative course, there was massive hemorrhage and so reoperation was done. But there was no active bleeding focuses in the thoracic cavity at the time of reoperation. Massive transfusion, coagulant therapy and intermittent clamping and declamping of the chest tube were carried out. Especially, serum calcium level was chronically decreased and so large amount of calcium gluconate was infused for the calcium level to be normal. Total transfused blood; whole blood was 33 pints, packed cell was 63 pints and fresh frozen plasma was 70 pints. At the postoperative[reop] 45th day, intrathoracic hemorrhage was stopped and the chest tube was removed. In conclusion, this suggest that uncontrollable bleeding after pleuropneumonectomy of the tuberculous empyema with BPF could be treated without reoperation in case of the mediastinal fixation due to fibrosis and calcification of the pleura and the mediastin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