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계-인간 상호작용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On the Plausibility of the Internet and Machine Translation Based Intercultural Collaboration Support System (인터넷과 자동기계번역 기반 다문화간 협업지원 시스템의 가능성에 관한 고찰)

  • 조대연;이경전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487-493
    • /
    • 2003
  • 인터넷의 발전으로 국경을 초월한 팀간의 국제적 협업도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공용어가 아닌 각자의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 인터넷과 자동기계번역 (Machine Translation)을 활용하여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아직도 해결되어야 말 문제가 많다. 특히 자동기계번역은 특정 언어 외의 다양산 언어들간의 번역에서는 아직도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수준이다. 본 연구는 상이산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서로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는 팀 간의 협업이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가 하는 것을, 자동기계번역과 인터넷을 기반으로 고안된 ICSS ([nterrultural Collaboration Support System)를 활용한 실험을 통하여, 시스템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 PDF

A Cyborg Companion: Human Being & Machine Being (사이보그 동료: 인간과 기계)

  • Kim, Ji Yeo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5 no.3
    • /
    • pp.51-62
    • /
    • 2015
  • Do artifacts function merely as tools? Today tremendous softwares work to assist or guide their users. This paper will apply the theories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STS) and the agent definition of Floridi & Sanders(2004) to game-bot programmes. Consequently we would see game-bots have had the interactivity, autonomy and adaptability. They are the position of agents even in playing. Further they may be companion relationship in the way that bots and human players compose each other. Then we will be induce to new question, the bots may be political-social. While human actors in computer based rule are the compounds being affected by the artificials, they will be never same to classic human actors.

Sentence generation on sequential multi-modal data using random hypergraph model (랜덤 하이퍼그래프 모델을 이용한 순차적 멀티모달 데이터에서의 문장 생성)

  • Yoon, Woong-Chang;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376-379
    • /
    • 2010
  • 인간의 학습과 기억현상에 있어서 멀티모달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단순 모달리티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향상된 효과를 보인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어왔다. 이 논문에서는 인간의 순차적인 정보처리와 생성현상을 기계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기계학습에 있어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가중치를 가진 랜덤 하이퍼그래프 모델을 통해서 순차적인 멀티모달 데이터의 상호작용을 하이퍼에지들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것을 제안 하였다. 이러한 제안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문장생성을 시도하여 보았다. 이전 장면의 사진과 문장을 주고 다음 문장의 생성을 시도하였으며, 단순 암기학습이나 주어진 룰을 통하지 않고 의미 있는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단순 텍스트와 텍스트-이미지 쌍의 단서를 통한 실험을 통해서 멀티 모달리티가 단순 모달리티에 비해서 미치는 영향을 보였으며, 한 단계 이전의 멀티모달 단서와 두 단계 및 한 단계 이전의 멀티모달 단서를 통한 실험을 통해서 순차적 데이터의 단계별 단서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멀티 모달리티가 시공간적으로 미치는 기계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순차적 데이터의 시간적 누적에 따른 효과가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 PDF

첨단 원격 조정 시스템의 개발현황 및 활용에 대하여

  • heo, Hun;Kim, Hui-Guk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7
    • /
    • pp.590-603
    • /
    • 1991
  • 간단하게 원격 조종시스템에 관한 제반 사항을 고찰하였다. 현존하는 첨단 원격 조종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양방향/힘반향 방식이며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 원격 조종 시스템, 조종사, 작업 환경과의 동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제어 방식에 대한 연구 및 시간지연 등에 관한 연구가 더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대부분의 원격조종기의 활용은 고가의 제작경비, 고중량/대규 모로 인한 성능 저하 및 이동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대단히 제한되어 있으므로 적, 경량/소규모 고성능 원격 제어기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이를 위해 구조적 설계 및 제어, 표준 요소 활 용(standard module),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고성능의 원격 조종 시스템의 개발은 산업, 우주항공, 바다속 작업, 핵시설 유지, 탄광 작업, 건설 등의 각 분야에서의 활용을 통한 기여 및 작업 효율 증대로 인한 생산성 향상,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등에서 지대한 효과를 나타낼 것이며 이를 위해 많은 연구 및 투자가 국내에서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Hand Gesture Recognition Technic based on Image's Skin Color Information (컬러 영상의 스킨컬러 정보 값 기반 손 제스처 인식 기술 개발)

  • Shin, Na-Ra;Heo, Bum-Geun;Hong, Ki-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484-48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신체 중 가장 편리하고 자주 사용되는 손을 인식하여 기계와 사람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여 보다 편리한 기계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인식을 통한 마우스제어 방법을제시하였다. CCD웹캠으로 받은 영상에서 스킨컬러 값을 기반으로 손영역을 추출하여 손동작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알고리즘의 장점은 손의 추출과 손가락 개수 파악이 저 사항의 환경에서도 빠르게 영상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실생활에 적용, 기계와 더 편리한 커뮤니케이션의 방안을 제시한다.

  • PDF

Evaluation of Interpretability for Generated Rules from ANFIS (ANFIS에서 생성된 규칙의 해석용이성 평가)

  • Song, Hee-Seok;Kim, Jae-Kye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5 no.4
    • /
    • pp.123-140
    • /
    • 2009
  • Fuzzy neural network is an integrated model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fuzzy system and it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control and forecasting area. Recently ANFIS(Adaptive Network-based Fuzzy Inference System) has been noticed widely among various fuzzy neural network models because of outstanding performance of control and forecasting accuracy. ANFIS has capability to refine its fuzzy rules interactively with human expert. In particular, when we use initial rule structure for machine learning which is generated from human expert, it is highly probable to reach global optimum solution as well as shorten time to convergence. We propose metrics to evaluate interpretability of generated rules as a means of acquiring domain knowledge and compare level of interpretability of ANFIS fuzzy rules to those of C5.0 classification rules. The proposed metrics also can be used to evaluate capability of rule generation for the various machine learning methods.

  • PDF

Training Avatars Animated with Human Motion Data (인간 동작 데이타로 애니메이션되는 아바타의 학습)

  • Lee, Kang-Hoon;Lee, Je-Hee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3 no.4
    • /
    • pp.231-241
    • /
    • 2006
  • Creating controllable, responsive avatars is an important problem in computer games and virtual environments. Recently, large collections of motion capture data have been exploited for increased realism in avatar animation and control. Large motion sets have the advantage of accommodating a broad variety of natural human motion. However, when a motion set is large, the time required to identify an appropriate sequence of motions is the bottleneck for achieving interactive avatar control.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method for training avatar behaviors from unlabelled motion data in order to animate and control avatars at minimal runtime cost. Based on machine learning technique, called Q-teaming, our training method allows the avatar to learn how to act in any given situation through trial-and-error interactions with a dynamic environment.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through examples that include avatar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nd with the user.

Self-adjusting Motion Generation Based on Sensory Feedback System (Sensory 피드백 시스템을 활용한 자율 적응 모션 생성)

  • Kwon, J.S.;Yang, W.; Park, G.T.;You, B.J.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789-1790
    • /
    • 2007
  • 이 논문에서 우리는 생체모방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인 기계 시스템과 인간의 신경 진동자 모델을 결합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른 효과적인 자율 적응 운동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인간 및 동물의 주기적 자율 운동을 관장하는 Central Pattern Generator (CPG)는 신경 진동자 네트웍에 의해서 표현가능하고 이는 신경 진동자 모델 내부의 sensory 피드백 신호를 통해, 주기성을 같은 외란에 상호 작용하여 적절한 운동을 생성해 낸다. 따라서 이를 기계 시스템에 결합하면 이러한 시스템은 변화되는 환경이나 잘 알지 못하는 외란에 대하여 자율적으로 적응된 운동을 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이러한 신경 진동자 모델과 결합된 realtime 시스템을 구현하고 그 자율 적응 운동의 생성 가능성을 살펴본다.

  • PDF

Development of T2DM Prediction Model Using RNN (RNN을 이용한 제2형 당뇨병 예측모델 개발)

  • Jang, Jin-Su;Lee, Min-Jun;Lee, Tae-R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8
    • /
    • pp.249-255
    • /
    • 2019
  • Type 2 diabetes mellitus(T2DM) is included in metabolic disorders characterized by hyperglycemia, which causes many complications, and requires long-term treatment resulting in massive medical expenses each yea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solve this problem, but the existing studies have not been accurate by learning and predicting the data at specific time point. Thus, this study proposed a model using RNN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on of T2DM. This work propose a T2DM prediction model based on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Ansan, Anseong Korea). We trained all of the data over time to create prediction model of diabetes.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prediction model, we compared the accuracy with the existing machine learning methods, LR, k-NN, and SVM. Proposed prediction model accuracy was 0.92 and the AUC was 0.92, which were higher than the other. Therefore predicting the onset of T2DM by using the proposed diabetes prediction model in this study, it could lead to healthier lifestyle and hyperglycemic control resulting in lower risk of diabetes by alerted diabetes occurrence.

Web Ontology Modeling Based on Description Logic and SWRL (기술논리와 SWRL 기반의 웹 온톨로지 모델링)

  • Kim, Su-Kyoung;Ahn, Kee-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5 no.1
    • /
    • pp.149-171
    • /
    • 2008
  • Actually a diffusion of a Semantic Web application and utilization are situations insufficient extremely. Technology most important in Semantic Web application is construction of the Ontology which contents itself with characteristics of Semantic Web. Proposed a suitable a Method of Building Web Ontology for characteristics of Semantic Web and Web Ontology as we compared the existing Ontology construction and Ontology construction techniques proposed for Web Ontology construction, and we analyzed. And modeling did Ontology to bases to Description Logic and the any axiom rule that used an expression way of SWRL, and established Inference-based Web Ontology according to proposed ways. Verified performance of Ontology established through Ontology inference experiment. Also, established an Web Ontology-based Intelligence Image Retrieval System, to experiment system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established Web Ontology, and present an example of implementation of a Semantic Web application and utilization. Demonstrated excellence of a Semantic Web application to be based on Ontology through inference experiment of an experi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