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계적 자극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Dynamic and Histologic Changes of Variously Fixed Bovine Pericardiums Specimens after Mechanical Fatigue Stimuli (다양한 고정 처리법을 이용한 소 심낭의 기계적 피로 자극 후 역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

  • Chang, Hyoung-Woo;Kim, Yong-Jin;Kim, Soo-Hwan;Park, Ji-Eun;Park, Chun-Soo;Kim, Woong-Han;Kim, Kyung-Hw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2 no.2
    • /
    • pp.148-156
    • /
    • 2009
  • Background: As cardiovascular operations become more complex and sophisticated,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various bioprostheses for use as components of blood vessels and heart valves. We developed a fatigue stimuli test instrument to objectively evaluate the mechanical durability of a bioprosthesis, and we tested several currently known processing methods for bovine pericardium and we then compared the results. Material and Method: Fresh bovine pericardium was collected at the butcher shop with using aseptic technique, and each piece of pericardium was fixated and/or decellularized by 16 representative methods. We measured the permeability and compliance of the processed bovine pericardium samples, and measured them again after exposure to the fatigue stimuli. All the pieces of pericardium underwent microscopic examinations before and after the fatigue stimuli. Result: A mixture of glutaraldehyde and solvent treatment showed better mechanical durability than did the single glutaraldehyde treatment. High concentration glutaraldehyde treatment showed equal or no worse results than did low concentration glutaraldehyde treatment. After SDS (sodium dodecylsulfate) decellularization, the mechanical property of the bioprosthesis became much worse ($20{\sim}190$ times) and the mechanical durability to the fatigue stimuli was also very poor. Conclusion: We obtained the basic durability data after various fixation methods with using a home-made fatigue test instrument.

The impact of functional brain change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effects concerning circadian rhythm and chronotype (일주기 리듬과 일주기 유형이 경두개 직류전기자극에 의한 뇌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탐색)

  • Jung, Dawoon;Yoo, Soomin;Lee, Hyunsoo;Han, Sanghoo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3 no.1
    • /
    • pp.51-75
    • /
    • 2022
  •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is a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that is able to alter neuronal activity in particular brain regions. Many studies have researched how tDCS modulates neuronal activity and reorganizes neural network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e effect of brain stimulation because the studies are heterogeneous with respect to the stimulation parameter as well as individual difference. It is not fully in agreement with the effects of brain stimulation. In particular few studies have researched the reason of variability of brain stimulation in response to time so far. The study investigated individual variability of brain stimulation based on circadian rhythm and chronotyp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morning type and evening typ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Zoom meeting which is video meeting programs. Participants were sent experiment tool which are Muse(EEG device), tdcs device, cell phone and cell phone holder after manuals for experimental equipment were explained.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make a phone in frount of a camera so that experimenter can monitor online EEG data. Two participants who was difficult to use experimental devices experimented in a laboratory setting where experimenter set up devices. For all participants the accuracy of 98% was achieved by SVM using leave one out cross validation in classification in the the effects of morning stimulation and the evening stimulation. For morning type, the accuracy of 92% and 96% was achieved in classification in the morning stimulation and the evening stimulation. For evening type, it was 94% accuracy in classification for the effect of brain stimulation in the morning and the evening. Feature importance was different both in classification in the morning stimulation and the evening stimulation for morning type and evening typ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brain stimulation can be explained with brain state and trait. Our study results noted that the tDCS protocol for target state is manipulated by individual differences as well as target state.

Micro-bioreactor for Physical stimulation of endothelial cells using micro-bead impact by gravitational force (미세입자의 중력을 이용한 세포 자극기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Young-Hun;Kim, Tae-Jin;Jung, Hyo-Il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8.11a
    • /
    • pp.1690-1691
    • /
    • 2008
  • Micro cell stimulation device is interested in many researchers because it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saving time and reagents. We introduce new micro-bioreactor using micro bead and conduct cell stimulation experiments to verify effective time because cell have operated by cell-cycle (G1, S, G2, and M phase). Micro-bioreactor was made by soft lithography and CAPE (calf pulmonary artery endothelial cell) was cultured in PDMS (polydimethylsiloxane) micro device for 12 hour and cell starvation process was performed for 24 hours. Micro glass beads were rolled only by slating device every hour during 15 hour because of minimizing other stimulation force like flow and pressure. The result represents that cells under exposed under micro bead stimulation show higher growth rate than normal condition and earlier and later stimulation time are more effective.

  • PDF

Role of Ultrasound in Acupuncture (침술에서 초음파의 역할)

  • Park, Gi-Young
    • The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Ultrasound Society
    • /
    • v.2 no.2
    • /
    • pp.94-98
    • /
    • 2009
  • Acupuncture is a treatment method that originated more than 3,000 years ago in China and is practiced in most of the world. Acupuncture became the most popula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modality. Ultrasound is useful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visualizing needle insertion at acupuncture points, especially next to vulnerable structures such as nerves or the pleura. Additionally, ultrasound is an ideal imaging method for evaluation the biomechanical effects of needle manipulation on tissue and has the distinctive advantage of yielding both images of tissue morphology and biomechanical information. Elastography take aim at quantifying a mechanical response or the mechanical property of tissues from a mechanical stimulus, generated internally or externally.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ultrasound and elastography analyses allows quantitative assessment of dynamic changes in the structure of human connective tissue.

  • PDF

Vital tooth with periapical lesion: spontaneous healing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생활치에서 나타나는 치근단 병소: 보존적 치료 후 자연치유)

  • Kim, Hyun-Joo;Lee, Seung-Jong;Jung, Il-Young;Park, Sung-H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7 no.2
    • /
    • pp.123-126
    • /
    • 2012
  • It is often presumed that apical periodontitis follows total pulp necrosis, and consequently root canal treatment is commonly performed. Periapical lesion development is usually caused by bacteria and its byproduct which irritate pulp, develop pulpitis, and result in necrosis through an irreversible process. Afterwards, apical periodontitis occurs. This phenomenon is observed as an apical radiolucency in radiographic view. However, this unusual case presents a spontaneous healing of periapical lesion, which has developed without pulp necrosis in a vital tooth, through conservative treatment.

Brain Correlates of Emotion for XR Auditory Content (XR 음향 콘텐츠 활용을 위한 감성-뇌연결성 분석 연구)

  • Park, Sangin;Kim, Jonghwa;Park, Soon Yong;Mun, Sungchul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7 no.5
    • /
    • pp.738-750
    • /
    • 2022
  • In this study, we reviewed and discussed whether auditory stimuli with short length can evoke emotion-related neurological responses. The findings implicate that if personalized sound tracks are provided to XR users based on machine learning or probability network models, user experiences in XR environment can be enhanced. We also investigated that the arousal-relaxed factor evoked by short auditory sound can make distinct patterns in functional connectivity characterized from background EEG signals. We found that coherence in the right hemisphere increases in sound-evoked arousal state, and vice versa in relaxed state. Our findings can be practically utilized in developing XR sound bio-feedback system which can provide preference sound to users for highly immersive XR experiences.

특집 : IT 융복합의료기기 기술 -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족부자극 장치 및 3D 시각화 기술

  • Jeong, Gyeong-Yeol;Im, Byeong-Ju;Park, Chang-Dae;Choe, Dae-Seok;Kim, Gwon-Tae
    • 기계와재료
    • /
    • v.23 no.1
    • /
    • pp.34-43
    • /
    • 2011
  • 최근 노령화와 스포츠 인구의 증가로 인해 족부 혈액순환 장애 및 족관절의 퇴행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몸의 평형기능 및 운동성에 기능장애가 동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 기능 저하와 낙상과 같은 이차적 합병증 발생을 초래하여 기능 및 삶의 질 저하, 활동제한 등으로 건강한 노년에 대한 심각한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족부 혈액순환 증진을 위해 IT기술을 활용하여 압력에 따른 부위별 자극의 세기를 달리하고, 3D영상을 통해 가공의 상황 및 가상의 환경을 사람의 감각을 통해 느끼게 하여 실제 상호작용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어, 혈액순환 개선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노화에 따른 족부건강 변화 및 족부 자극의 효과를 분석하고,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족부혈액 순환 증진 장치와 관련 컨텐츠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echanical Physiology of the Somatic Nervous System-(Mechanical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itial Local Excitation of Somatic Neurons)- (체성신경계(體性神經系)의 기계적(機械的) 생리학(生理學)- 기계적전달(機械的傳達)과 체성신경원(體性神經元)의 초발국소흥분(初發雇所興奮) -)

  • Kwak, Je-Hi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v.1 no.1
    • /
    • pp.7-22
    • /
    • 1967
  • 인간(人間)의 감각(感覺), 운동(運動), 사고등(思考等)에 직접관여(直接關與)하는 체성신경원(體性神經元)이 인체내(人體內)에 있어서 단일세포동물(單一細胞動物)과 비체성신경원(非體性神經元)과 같이 각종(各種)의 자극(刺戟)에 직접응(直接應)하므로써 기능적(機能的) 활동(活動)을 개시(開始)한다는 한연(漢然)한 예상하(豫想下)에서 말초(末梢)에서는 혹종(或種)의 통소(痛素)를, 중추(中樞)에서는 어떤 묘(妙)한 화학적(化學約)인 흥분전달물질(興奮傳達物質)을 탐구(探求)하고 있으며 말초(末梢)의 통흥분시발(痛興奮始發)과 대뇌피질(大腦皮質)의 기능발생(機能發生)같은 중요(重要)한 제기전(諸機轉)이 해명(解明)될 가능성(可能性)조차 보이지 않는 것이 체성신경생리학(體性神經生理學)의 현상(現狀)이다. 저자(著者)는 생태분리(生態分離)한 단일신경섬유실험(單一神經纖維實驗)과 임상적연구(臨床的硏究)로서 인체내(人體內)의 체성신경섬유(體性神經纖維)와 그 구심성종말(求心性終末)은 최종(最終) 공통기계적자극(共通機械的刺戟)을 받는 점(點)을 입증(立證)하고 뇌피질내(腦皮質內)의 입사(入射)에 의(依)한 Synapse 전달(傳達)이 기계적(機械的)인 점(點)과 모세혈관확대(毛細血管擴大)에 의(依)한 Glial Satellite 부(部)의 기계적전달(機械的傳達)과 Spine Koph 에서는 입사(入射) 없이도 Massage에 의(依)하여 초발탈분극(初發脫分極)이 발생(發生)될 필연성(必然性)을 지적(指摘)하는 동시(同時)에 저자(著者)가 부르는 ${\ulcorner}$체성신경계(體性神經系)의 기계적생리학(機械的生理學)${\lrcorner}$에 의(依)하면 난간(難間)에 속(屬)하는 대다수(大多數)의 신경현상(神經現象)과 정신현상(精神現象)이 구체적(具體的)이며 합리적(合理的)이요 또 실용적(實用的)으로 해명(解明)됨을 실례(實例)를 들어서 예시(例示)한다. 본연구(本硏究)는 습수만예(拾數萬例)의 단일신경섬유관찰(單一神經纖維觀察)과 수백예(數百例)의 임상적연구(臨床的硏究)와 최근고도(最近高度)로 발달(發達)된 기술(技術)에 의(依)한 징소생리학적(徵少生理學的) 제연구업속(諸硏究業續)과 전자현미경적형태학성과(電子顯徵鏡的形態學成果)를 종합(綜合)하므로써 성립(成立)된 것이요 하등(何等)적 무리(無理)한 억측(憶測)을 내포(內包)하지 않음을 확신(確信)한다.

  • PDF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7
    • /
    • pp.2-10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5
    • /
    • pp.16-25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