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계적 강도

Search Result 3,22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잔류응력 완화를 위한 극저온 열처리 시 7075 알루미늄 합금의 기계적 특성 및 미세조직의 변화

  • Kim, Hoe-Bong;Go, Dae-Hun;Jeong, Eun-Uk;Lee, Jong-U;Jo, Yeong-Rae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39.2-39.2
    • /
    • 2011
  • 7075알루미늄 합금은 기계적 강도가 가장 높은 고강도 합금으로 열처리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열처리 공정 중 재료의 두께에 따른 내부 온도의 차이로 인한 잔류응력이 발생하여 최종 제품의 치수에 변화를 일으켜 제품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극저온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야기되는 7075알루미늄 합금의 기계적 특성 및 미세조직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7075 알루미늄 합금은 석출경화를 통한 강화가 이루어지며, 석출경화를 위해서 용체화 처리를 하여 인공시효를 하는 기존 공정과 비교하여 극저온 열처리 공정은 두 개의 추가적인 단계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196도의 액체 질소 속에 샘플을 극저온 ��칭을 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샘플의 온도를 급격하게 올리는 up-hill quenching이다. 잔류응력은 X-ray diffraction을 이용한 $sin2{\psi}$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극저온 열처리 후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vickers hardness를 측정하였으며 미세 조직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EBSD와 TE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Fe-계 하이브리드 복합소재 개발 및 기계적 특성 연구

  • Pi, Dong-Hyeok;Song, Gi-An;Lee, Seung-Hun;Lee, Sang-Ho;Kim, Gi-Beom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2-39.2
    • /
    • 2009
  • 벌크 비정질 합금 및 공정 조직 합금은 기존의 상용 합금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강도 및 탄성 변형 한계를 나타내며, 고내식, 고마모 특성 등 매우 독특하며 유용한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상온에서 지극히 제한적인 연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야에 활용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미세조직의 복합화를 통한 연성 부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e- 합금을 선택하고 비정질 형성능 향상을 위하여 Si를 첨가하였고 그 조성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 및 기계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기계적 특성 평가를 위해 압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미세조직 및 상분석을 통하여 기계적 특성과의 관계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이때 미세조직 및 상분석 관찰을 위하여 TEM, XRD, SEM을 사용하였다.

  • PDF

Thermal Shock Fatigue Influence on Mechanical Property Behavior of PBT Resin Embedded by Glass Fibers and Thermal Conductive Particles (유리섬유와 열전도성 첨가제가 함유된 PBT 수지의 기계적 물성거동에 미치는 열충격피로의 영향)

  • Kim, Ki-Soo;Choi, Nak-Sam;Park, Sang-Dae
    • Composites Research
    • /
    • v.27 no.3
    • /
    • pp.83-8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rength and thermal conductivity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by embedding various additives. Specimens were prepared using PBT pellets embedded with glass fibers (GF) and boron nitride (BN) powder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ensile strength decreased, and thermal condu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BN contents. with thermal shock cycles conducted, unfilled PBT showed a considerable decrease in failure strain and strength, whereas strength and thermal conductivity of glass fiber and BN particle-embedded PBT had little differeces. With increasing B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PBT composites was highly improved.

Mechanical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high-strength boron-alloyed steel for hot press forming (고온성형 위한 고강도보론강의 기계적 특성 및 마이크로구조 연구)

  • Lee, Jong-Shin;Chae, Myoung-Su;Park, Chun-Dal;Kim, Young-Suk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55-1360
    • /
    • 2007
  • The use of high strength steels are gradually increasing to reduce the weight of automobile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collision safety. To encounter the traditional disadvantages of high strength steels like as a poor formability and high springback, hot press forming has been developed. By this method, the strength of steel sheet is increased about three times of original one through die quenching process. In order to the design of hot press forming tools by using numerical simulation, the knowledge of mechanical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This study show the mechanical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high strength boron-alloyed steel according to the various quenching conditions.

  • PDF

The Relation Between Precipitat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Direct-Quenched Microalloyed Steels with Molybdenum (몰리브데늄 첨가 직접 소입 비조질강에서의 석출물 거동과 기계적 성질간의 관계)

  • An, Byeong-Gyu;Lee, Gyeong-Seop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11
    • /
    • pp.999-1006
    • /
    • 1997
  • 0.14wt.%C-0.82wt.%Mn-0.20wt, %Si-0.10wt.%V-0.03wt.%Nb의 조성을 갖는 직접 소입강에 몰리브데늄을 각각 0.30wt.%, 0.58wt.% 첨가하여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고 투과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각각의 미세 조직을 관찰하여 석출물을 분석하였다. 직접 소입시의 석출물은 M$_{2}$C, MC의 비평형 상태의 석출물이 생성되었고 석출물들은 마르텐사이트 래스내의 침상형탄화물, 구형의 M$_{2}$C탄화물, 직사각형 형태의 MC탄화물이 관찰되었다. 유냉시에는 래스내의 침상형 탄화물만 관찰되었으며 수냉시에는 M$_{2}$C 탄화물이 관찰되었다. 0.58wt.%의 몰리브데늄의 첨가된 강에서는 MoN이 관찰되었으며, 이 강의경우 강도의 손실 없이 인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Failure load prediction of mechanically fastened composite joint with the clamping force (클램핑 포스가 존재하는 복합재료 체결부의 파손강도 예측)

  • Ryu, Choong-O;Choi, Jin-Ho;Kweon, Jin-Hwe
    • Composites Research
    • /
    • v.18 no.5
    • /
    • pp.9-14
    • /
    • 2005
  • The design of composite joint is a very important research area because they are often the weakest areas in composite structures. In this paper, the failure load of the mechanically fastened composite joint with the clamping force was predicted by the failure area index method. By the suggested failure area index method, the strength of the mechanically fastened composite joint could be predicted within $22.5\%$ when the clamping force was applied to the composite joint.

저방사화 Fe-Cr-Mn계 스테인리스강의 미세 조직 특성 및 부식 저항성에 미치는 Mn 및 W의 영향

  • 이정훈;박용수;김영식;류우석;홍준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335-340
    • /
    • 1996
  • 핵융합로 제1벽 재료의 후보재로 고려되는 Fe-Cr-Mn계 스테인리스강을 진공 용해하여 이 합금의 미세 조직 및 기계적 성질 그리고 부식 특성에 미치는 Mn, W의 첨가 효과 및 소둔 열처리 온도의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미세 조직 분석은 광학 현미경 관찰, XRD분석 등으로 행하였으며, 기계적 시험으로는 상온 인장 시험, 경도 시험 및 충격 시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부식 시험으로는 부식 환경을 염산과 황산으로 나누어 각 환경에서의 양극 분극 시험을 행하였다. Mn함량이 증가할수록 오스테나이트상이 증가하고 있으나, $\alpha$'마르텐사이트는 급격히 감소하는 대신$\varepsilon$마르텐사이트는 Mn함량이 20%일 때 최대간을 보인 뒤 감소하고 있다. Mn함량이 증가할 수록 또한 소둔 온도가 상승할수록 항복 강도, 인장 강도 및 경도는 감소하였으며 연신율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합금 중의 오스테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함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합금 중의 Mn함량이 증가할수록 부식 환경에 관계없이 부식 저항성의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W함량이 증가하면 환경에 관계없이 임계 전류 밀도를 감소시키나, 부동태 전류 밀도는 HCI환경에서는 감소시키고 H$_2$SO$_4$환경에서는 오히려 증가시키는 상반된 효과가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Fatigue Life of Semi ADI

  • Lim, Bok-Kyu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28 no.1
    • /
    • pp.37-40
    • /
    • 2008
  • 본 연구는 ADI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고자 오스테나이트화 과정에서 초기 변태온도를 $900^{\circ}C$ (${\gamma}$ 구역)에서 시작하여 $800^{\circ}C$까지(${\alpha}+{\gamma}$ 구역) 일정한 냉각제어에 의해 오스템퍼링을 한다. 여기서 Full ADI에서 생성되는 고탄소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저탄소 오스테나이트로 유도하고 미세한 침상의 Full ADI조직을 연성이 높은 조대한 아공석 페라이트 조직이 생성되도록 하여 Semi ADI를 만든다. Full ADI와 Semi ADI의 기계적 성질 및 피로강도를 연구한 결과 Full ADI와 Semi ADI의 정적강도는 유사하지만, 피로강도는 Semi ADI의 기지조직의 변화에 기인하여 Full ADI보다 피로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Semi ADI의 조대한 페라이트가 균열개구 저항력이 낮아 초기에는 쉽게 개구되지만, 균열개구와 동시에 균열선단에서 큰 소성역이 발생되어 균열성장이 지연하는 효과로 판단된다.

The Effect of Weld heat input energy to mechanical properties of Titanium alloys (용접 입열량에 따른 티타늄 합금의 기계적 성질 평가에 대한 연구)

  • Yi, Hui-Jun;Lee, Jung-Soo;Yang, Hae-Jin;Oh, M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4a
    • /
    • pp.476-479
    • /
    • 2011
  • 티타늄 합금은 높은 내부식성, 우수한 피로 수명과 무게비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가진다는 우수성으로 인해 항공기 부품과 화학 공업 분야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Ti-3Al-2.5V 합금 TIG 용접부에 대하여 용접부 인성과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인자인 용접 입열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에 입열조건에 대한 용접부에 대한 강도, 충격 인성과 노치 인성을 평가하였으며 적정 입열 조건에서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용접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Porous gelatin-based membrane as supports for impregnation of cells (세포함유용 지지체로서 다공성 젤라틴계 막)

  • 이영무;홍성란
    • Membrane Journal
    • /
    • v.11 no.1
    • /
    • pp.29-37
    • /
    • 2001
  • 본 논문은 인공 진피와 조직공학용 scaffold로 이용하기 위해 다공성 membrane로서 gelatin-based sponge의 효율성을 연구하였다. 불용성의 다공성 membrane은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EDC)로 가교하여 제조하였다. Fourier-transformed infrared (FT-IR)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그리고 Instron analysis로 다공성 membrane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다공성 membrane은 용적당 큰 표면적을 제공하는 micro porous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Gelatin/hyaluronic acid (HA) membrane의 공경크기는 40~200$\mu\textrm{m}$이다. HA의 첨가는 다공성 membrane의 기계적 강도와 세포부착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Gelatin/HA 다공성 membrane의 압축강도는 collagen과 비슷하며, 세포배양과 인공진피 transplantation에 있어서의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다. Fibroblasts를 함유한 진피기질을 제조하기 위해 직경 8mm의 다공성 membran에 4$\times$10(sup)5cells/membrane의 세포밀도로 fibroblast를 배양하였다. GH91 porous membrane에서의 fibroblast 부착성은 GH55 porous membrane에서보다 우수하였다. 삼차원 구조의 gelatin/HA membrane matrix에서의 fibroblast의 배양은 생체내 조건과 유사한 생리적 환경을 제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