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계적퇴화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저온에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합성고분자 수용액의 퇴화원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Degradation Alleviation of Synthetic Polymer Solution Using Addition of Surfactant Additives at Low Temperature)

  • 김난진;이재용;윤석만;김종보
    • 에너지공학
    • /
    • 제9권2호
    • /
    • pp.102-108
    • /
    • 2000
  • 난류상태로 유동중인 고분자 수용액은 순수 용매만의 경우에 비교할 때 동일유량에서 초기에 높은 마찰 저항감소효과를 보이며, 이러한 마찰저항감소효과는 펌프의 펌핑능력 증대로 큰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준다. 그러나, 고분자 수용액은 그 극적인 마찰저항감소효과에도 불구하고 유동중에 가해지는 기계적 에너지, 열에너지 등에 의해서 초기의 높은 마찰저항감소효과를 점차적으로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고분자 수용액의 퇴화를 완화시키기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퇴화특성이 비교적 강한 합성고분자와 계면활성제의 농도합계를 100wpm 으로 고정하고 비율을 11가지로 세분화하여 , 1$0^{\circ}C$의 온도에서 유속 1.5m/sec , 3.0m/sec 및 4.5m/sec 에 대한 퇴화경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조건에서 합성고분자와 계면활성제의 적정비율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각 속도에서 시간에 따른 퇴화경향은 고속에서 기계적 에너지에 대한 퇴화를 볼 수 있었고, 계면활성제와 합성고분자를 혼합하여 첨가했을 경우 저온에서도 퇴화완화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밀폐계 유동시스템내에서 고분자물질의 퇴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gradation of Polymer in Closed Flow System)

  • 김재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3권5호
    • /
    • pp.679-686
    • /
    • 1999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ubstantial drag reduction caused by the polymer(A611P) when the working fluids flow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cylindrical equipment of closed flow system. The drag reduction is associated with the mechanical degrada-tion thermal degradation and heat transfer. By ignore the heat fluxs within the closed system the pressure drop due to the polymer concentration the flow velocity and flow time have been mea-sur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mechanical and thermal degradation in the closed system an experiment has been focu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condition which could improve the pump capacity in the heat union electric power plant. Under the condition of non-boiling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change of heat flux has little influence on the drag reduction.

  • PDF

CWM 관수송의 저항 감소현상에 있어서 고분자첨가제의 퇴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Polymer Degradation on the Drag Reduction in CWM Transport)

  • 송창환;김종보;김인석;최형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10호
    • /
    • pp.1908-191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수용액의 경우에서 마찰저항 감소용 고분자로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Polyacrylamid와 Polyethylene oxide 두 종류의 고분자를 CWM에 첨가하 여 수송할때 이들 고분자의 기계적 퇴화가 마찰저항 감소현상을 나타내는 CWM의 유동 에 미치는 영향과 그 퇴화 경향을 비교하고 CWM의 수송에 적합한 마찰저항 감소용 고 분자를 선정하여 고분자의 퇴화에 따른 유동의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합성고분자 첨가제에 의한 마찰저항감소효과의 퇴화에 관한 연구 (The Degradation of the Effect of Drag Reduction in Synthetic Polymer Solution)

  • 윤석만;최형진;김종보
    • 에너지공학
    • /
    • 제7권2호
    • /
    • pp.163-171
    • /
    • 1998
  • 고분자 첨가물의 퇴화는 시험용액의 고온상태에서 증가된다. 합성고분자용액의 퇴화에 대해 시간에 따른 온도와 고분자 농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6$0^{\circ}C$, 8$0^{\circ}C$의 온도와 100, 200, 400, 600 ppm의 다양한 고분자 농도에 따라 폐회로방식으로 실험적인 연구를 하였다. 퇴화효과는 기계적 퇴화보다 온도에 더 의존적임이 밝혀졌다. 마찰계수와 레이놀즈 수의 관계는 레이놀즈 수가 5만부터 15만까지의 범위에서 레이놀즈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마찰계수가 감소하고, 저온에서 마찰은 Vi가의 최대마찰저항감소 점근선에 접근한다는 것을 보인다. 일정한 유량과 온도에 대해, 높은 고분자 농도에서 퇴화효과가 더 작게 밝혀졌다. 일정한 유량과 고분자 농도에 대해서는 퇴화율이 주로 온도에 영향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8$0^{\circ}C$의 온도, 100 ppm의 고분자 농도에서 4시간후에 마찰저항 감소효과가 없어졌다. 그러나, 열적퇴화는 고분자 분자들간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생각되는 계면활성제 같은 추가적인 물질을 이용하여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원관내 수직상향 2상유동에서 고분자물질이 유동양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ow Patterns with Polymer Additivies From Two Phase Flow at Vertical up Ward in Circular Tube)

  • 김재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2권4호
    • /
    • pp.505-514
    • /
    • 1998
  • Flow pattern of air-water two phase flow depends on the conditions of pressure void fraction and channel geometry. We classify the flow pattern by measu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onductivity probe. under the classified flow pattern we mount a visualization equipment on the test section and take pictures. We vary the concentration of pure solvent and polymer to measure local void fraction. We know that the maximum point position of local void fraction distribution move from the center of the pipe to the wall of the pipe as JSL increase when JSA is constant in two phase flow. But we find that the maximum point position of local void friction move from the wal of the pipe to the center of the pipe when polymer concentration increase.

  • PDF

$Pb(Co_{1/3}Nb_{2/3})O_3-PbTiO_3-PbZrO_3$계 압전세라믹의 조성에 따른 압전 착화 소자의 특성 및 경시변화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ignitor and degradation phenomena on $Pb(Co_{1/3}Nb_{2/3})O_3-PbTiO_3-PbZrO_3$)

  • 정우환;박인철;김진호;조상희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5권1호
    • /
    • pp.111-121
    • /
    • 1992
  • 본 연구는 Pb( $Co_{1}$3/Nb$_{2}$3/) $O_{3}$-PbTi $O_{3}$-PbZr $O_{3}$계 압전세라믹스의 조성에 따른 착화소자특성과 기계적응력 인가시의 압전열화현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경계 조성에서 소결밀도, $K_{33}$ 및 출력전압이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능방정계조성에서는 조성의 변화에 따른 소결 및 전기적특성의 변화는 정방정계조성에 비하여 작았다. 기계적 응력 인가시의 압전퇴화현상은 분역의 재배열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항미생물 고무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nt of Antiblastic Rubber Mat)

  • 김기준;이후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85-290
    • /
    • 2005
  • 고무제품의 기계적 특성은 혼합물 성분, 경화 상태 공정 및 충진제 같은 많은 요소에 기인된다. 우리 연구의 목적은 N-isopropyl-N'-chloro-P-phenylene diamine, 항산화제의 영향을 열적 상태에서 노화 및 오존 균열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항미생물 고무매트의 퇴화가 연구되었는데, 항산화제 함유 및 항산화제가 함유되지 않은 항균매트에 관한 열적 상태의 노화 및 오존 균열을 조사하였다.

  • PDF

$Mg_2$Ni계 수소저장합금전극의 퇴화거동에 미치는 불화 처리 영향 (Effects of F-treatment on the Degradation of $Mg_2$Ni type Hydrogen Storage Alloy Electrode)

  • 김준성;최재웅;이창래;강성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4-299
    • /
    • 2001
  • 기계적 합금화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Ni-MH 전지용 $Mg_2$Ni전극의 표면 불화처리에 대한 전기화학적 충.방전 특성이 조사되었다. 20시간 밀링을 통해 제조된 $Mg_2$Ni합금은 나노결정을 가졌으며 그 $Mg_2$Ni전극의 KOH전해질내에서 충.방전 실험 결과, 초기 방전 용량이 280mAh/g이상으로 증가하였으나 10cyc1e이내에 급격히 퇴화되었다. 전극표면에서 지속적이고 안정한 불화층 형성을 목적으로 KOH용액에 잉여의 불소이온이 첨가된 $Mg_2$Ni전극의 내구성은 크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2N KF를 첨가했을 경우 전극의 내구성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다. 고율 방전실험의 경우도 그 성능이 90-100mAh/g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내구성 향상의 이유는 표면에 얕고 다공성인 $Mg_2$Ni층의 형성으로 인해 퇴화의 주요인인 Mg(OH)$_2$의 생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이었다. Effects of the surface fluorination on the electrochemical charge-discharge properties of $Mg_2$Ni electrode in Ni-MH batteries fabricated by mechanical alloying were investigated. After 20h ball milling, Mg and Ni powder formed nanocrystalline $Mg_2$Ni. Discharge capacity of this alloy increased greatly at first one cycle, but due to the formation of Mg(OH)$_2$ passive layer, it showed a rapid degradation in alkaline solution within 10cyc1es. In case of 6N KOH +xN KF electrolyte (x = 0.5, 1, 2), a continuous and stable fluorinated layer formed by adding excess F$^{-}$ ion, increased durability of $Mg_2$Ni electrode greatly and high rate discharge capability(90-100mAh/g). 2N KF addition led to the highest durability of all tested here. The reason of the improvement is due to thin MgF$_2$, which can prevent the $Mg_2$Ni electrode from forming Mg(OH)$_2$layer that is the main cause of degradation.

  • PDF

대퇴골두 해면골의 미세구조 특성과 기계적 특성의 분석 (Analysis of the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Human Femoral Head Trabecular Bone with and without Osteoporosis)

  • 원예연;백명현;최문권;전경진;김만경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19-523
    • /
    • 2004
  •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두 해면골과 골다공증이 없는 대퇴골두 해면골의 특성을 평가하고자 미세단층촬영기 및 유한요소모델을 이용하여 해면골을 미세구조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두는 골밀도를 측정하여 T-score 값이 -2.5 이상인 시편 15개를 사용했으며, 골다공증이 없는 대퇴골두는 사망전 골다공증으로 인한 병력이 없었던 사체 4구에서 대퇴골두 5개를 획득하여 사용하였다. 대퇴골두 해면골의 미세구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미세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두와 골다공증이 없는 대퇴골두를 촬영하여 형태학적 지수(histomorphometry index)를 구했고, 미세단층촬영기에 의해서 획득된 미세영상(pixel size=21.31㎛)을 바탕으로 유한요소모델을 재건하여 기계적 특성을 구하였다. 형태학적지수는 골다공증이 없는 대퇴골두가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두에 비해서 골소주 두께, 골 체적, 골 체적비, 이방성 정도 그리고 골소주 개수가 증가했으며, 골소주 간격과 구조모델지수는 감소했다. 기계적특성 지수는 골다공증이 없는 대퇴골두 해면골 시편에서 반력, 표면응력 그리고 영률이 높게 분석되었다.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두 해면골 시편에서 미세구조 특성이 퇴화되며, 기계적 특성이 감소된다는 사실을 알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