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계음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9초

사운드워킹을 통한 청주시 도심지역 음풍경 조사 (Survey on the soundscape of urban districts in Cheong-ju using soundwalking)

  • 조아현;박찬재;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593-606
    • /
    • 2021
  • 본 연구는 청주시의 음풍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심 지역을 특징에 따라 상업지역, 역사지역, 도심보행지역, 대학캠퍼스지역의 4가지로 구분한 뒤 총 13개 장소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사운드워킹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음향전문가 5인과 일반시민 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지역별 소리의 크기와 불쾌감에 대해서 주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연음, 인공음 및 기계음으로 구성된 35개의 신호음 보기 중 3가지를 선택하여 큰 소리, 불쾌한 소리, 듣기 좋은 소리, 대표 소리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였다. 현장평가 결과, 소리의 크기와 불쾌감 사이에 매우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별 신호음을 분석한 결과 상업지역은 기계음, 역사지역은 인공음과 자연음이 그 장소를 대표하는 소리로 나타났으며 도심보행지역과 대학캠퍼스의 대표 소리는 인공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장평가시 각 측정점의 상황을 녹음 및 녹화한 뒤 이를 이용해 실험실에서 20인을 대상으로 청감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실평가 결과 가장 크게 들리는 소리는 기계음과 인공음, 가장 불쾌하게 들리는 소리는 기계음, 가장 듣기 좋은 소리는 자연음과 인공음으로 나타나 현장평가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휴대전화 상황에서 맥락과 일치하는 사람음과 단순 기계음이 사용자의 주관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human voice that is consistent with context and the mechanical melody on user's subjective experience in mobile phones)

  • 조유숙;엄기민;주효민;석지혜;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531-544
    • /
    • 2009
  • HCI 분야에서 사용성은 시스템의 객관적인 사용성에 초점을 둔 것에서 점차 사용자들이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주관적인 경험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확장, 변화하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사용한다. 휴대전화와 같이 인간과의 상호작용 빈도가 높은 인터페이스에서 보다 긍정적인 사용자의 주관적 경험을 유발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을 표현하는 인터페이스가 인간에게 보다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유발할 것이라는 가설 하에 감정을 표현하는 인간 목소리를 통해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전화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제작한 후, 감정을 표현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기계음을 통해 청각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전화 조건과의 비교를 통해 어떠한 조건에서 사용자들이 보다 더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느끼는지, 어떠한 조건을 더 선호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참가자들은 4가지 종류의 휴대전화 프로토타입(청각적 피드백이 없는 무음 조건, 사람의 목소리를 통해 청각적 피드백을 제시하는 조건, 기계음을 통해 청각적 피드백을 제시하는 조건, 기계음과 사람의 목소리를 모두 제공하는 혼합음 조건)을 경험한 후, 그에 대한 경험적 사용성(재미, 흥미, 불쾌감), 유희적 측면(HQ) 그리고 선호도를 평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들은 사람의 목소리를 통해 정서를 표현하는 조건의 휴대전화에 대해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휴대전화나 기계음을 통해 청각적 피드백을 제시하는 휴대전화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각적 재미와 유희(HQ)를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선호도는 다른 조건에 비해 낮은 수준의 평정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소음 발생 기계류의 소음저감을 위한 공학적 대책 연구

  • 김용국;김태구;박대식;박재석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71-282
    • /
    • 2003
  • 산업현장에서 기계류 사용의 증가에 따라 소음 및 진동에 의한 근로자들의 소음성 난청 등의 직업병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특히 산업현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기압축기는 고압ㆍ고속의 공기 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과 피스톤, 스크류 등의 진동 및 마찰에 의해 큰 소음이 발생하는 대표적 산업기계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고소음 기계류에 의한 소음원의 차폐 또는 저감을 위한 공학적 대응능력을 향상시켜 소음을 저감하고 국제적 기계류의 안전규제에 대하여 능동적인 대처능력을 확보하기 위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미소 비대칭 원통쉘의 음향 맥놀이 해석 (Analysis on the Acoustic Beat of a Slightly Asymmetric Cylindrical Shell)

  • 안성종;강연준;김석현;박성용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83-19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미소 비대칭 원통쉘의 맥놀이 음 방사 특성을 해석적으로 검토한다. 미소 비대칭 원통쉘은 한국종의 특징인 맥놀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모델이다. 축대칭 구조물에 부가된 미소 비대칭성은 매우 근접한 주파수 쌍을 만들며, 이 주파수 쌍의 간섭으로 맥놀이 현상이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맥놀이 음 방사의 해석적인 모델을 이용하여 방사 음장을 결정하고, 방사 음의 맥놀이 지도를 이용하여 방사 방향 및 거리에 따른 맥놀이 음의 변화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론 모델에 의한 해석결과는 경계 요소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MTF-STI를 이용한 유리창 도청음의 명료도 분석 (Intelligibility Analysis on the Eavesdropping Sound of Glass Windows Using MTF-STI)

  • 김희동;김윤호;김석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5
    • /
    • 2007
  • 음향 공동-유리창 연성계를 대상으로 도청음의 음성 명료도를 검토한다. MLS신호를 음원으로 유리창의 가속도와 속도 응답을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변조전송함수 (MTF)를 사용하여 공동-유리창 진동계의 음성전달특성을 규명한다. 변조전송함수에 근거하여 음성전송지수 (STI)를 구하고, 유리창 진동음의 음성명료도를 평가한다. 가속도음과 속도음의 음성명료도를 비교하고, 최종적으로 대화음의 명료도를 주관적 평가로 확인한다.

고소음 작업장 기계소음 평가를 위한 어휘의 유형화 (Classification of Vocabulary for Evaluation on Machine Noise at High Noisy Workshop)

  • 윤재현;김재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48-755
    • /
    • 2011
  • 1960년대 산업화 이후 기계화가 가속되어 산업발달에 많은 기여를 하였으나 고소음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피해에 대한 대책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공장 및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기계소음은 반복적으로 되풀이되어 충격적이며, 강한 소음으로 대부분의 현장 작업자들은 높은 불쾌감과 청력장애의 위험을 부담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고소음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작업기계 소음을 평가하기 위한 적정 평가어휘를 추출하고자 했으며, 이렇게 추출된 어휘는 작업 기계소음을 평가하기 위한 음향심리 실험 및 기계소음 규제기준 설정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무향실의 설계 및 제작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Anechoic Chamber)

  • 이득웅
    • 기계저널
    • /
    • 제35권10호
    • /
    • pp.896-902
    • /
    • 1995
  • 소음의 저감 대책은 소음원의 소음 감쇠, 소음 전달 경로의 소음 저감 및 수음자에 대한 대책 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소음원의 소음 저감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소음원의 주파수 특 성을 정확하게 분속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자유음장이라는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음향학적 으로 자유음장이란 점음원으로부터 무지향적으로 방사되는 음의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 )을 따르는 음장으로 정의된다. 이는 음원으로부터 거리가 두 배 증가함에 따라 음압레벨이 6dB 감소함을 의미한다. 즉, 주변 소음으로부터 발생한 음이 다른 물체나 벽으로부터 반사된 반사음 이나 회절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음장을 말한다. 자유음장은 자연계에서 극히 제한적으로 존재 하지만 인간이 측정장비 및 측정 대상물을 이동시켜 이용할 수 없으므로 인공적인 시설로서 무 항실을 만들어 자유음장 환경을 조성한다. 이 글에서는 무항실의 특성 및 국내에서 시공되는 무향실의 설계 및 제작 과정을 간단히 소개하고 현재의 국내 무항실의 수준과 앞으로 나아갈 방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소형화된 헬름홀츠 공진기를 이용한 수중 반향음 감소해석 모의실험 (Simulation of underwater echo reduction using miniaturized Helmholtz resonators)

  • 박성준;김제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7-7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파장보다 작은 구조물로 이루어진 음향메타물질을 이용하여 소형화된 헬름홀츠 공진기의 반향음 감소 성능예측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헬름홀츠 공진기는 수중 환경과 임피던스 차이가 큰 공기구조물로 형성하였다. 다중물리 유한요소 시뮬레이션 패키지를 이용하여 수중 음향학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수중 반향음의 감소가 예상되었고 헬름홀츠 공진기 입구의 공간 압축(space coiling) 정도와 내부 체적의 폭에 따라 주파수 특성을 제어할 수 있었다. 기본적인 헬름홀츠 공진기는 약 10,000 Hz 이상에서 최대 7 dB의 반향음 감소 효과를 보였으나 공간 압축 메타물질을 이용한 초소형 헬름홀츠 공진기는 약 5,000 Hz 이상에서 최대 14 dB의 반향음 감소가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헬름홀츠 공진기의 내부 체적을 제어하여 주파수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고 공간압축 비율이 서로 다른 공진기를 조합함으로써 광대역 반향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중 환경에서 공기구조물을 이용한 소형화된 헬름홀츠 공진기의 성능을 연구하였으며 반향음 감소 효과는 효과적인 스텔스 기술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학습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경찰신고건수 예측 (The Data-based Prediction of Police Calls Using Machine Learning)

  • 최재훈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1-112
    • /
    • 2018
  • 본 연구는 기계학습의 하나인 신경망 분석과 음이항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경찰신고건수를 예측하고자 2016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충남지방경찰청에 접수된 112신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경찰신고건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간, 휴일, 휴일 전날, 계절, 기온, 강수량, 풍속, 관할면적, 인구, 외국인 수, 단독주택비율, 기타주택비율 변수 등을 활용하였다. 변수의 종류에 따라 몇몇은 경찰신고건수와 양의 상관관계 또는 음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사용된 두 개의 방법론을 비교한바, 신경망분석의 예측 결과는 예측 값과 실제 값의 상관계수 0.7702, RMSE 2.557이고, 음이항 회귀분석은 상관계수 0.7158, RMSE 2.831으로 나타났다. 신경망분석은 해석가능성은 낮지만, 음이항 회귀분석에 비해 예측력이 뛰어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향후 경찰관서에서 본 연구의 예측모델을 기초로 하여 최적의 경찰력 배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금속 재질별 건성 마찰소음 실험적 특성 연구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Dry Friction Noise for Several Metallic Materials)

  • 백종수;강재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7호
    • /
    • pp.681-686
    • /
    • 2015
  • 본 연구는 steel 재질의 판과 Cu, Ni, Al, Mg 재질의 핀 간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마찰소음 특성을 왕복운동 및 회전운동 실험장치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미끄럼 속도에 대한 마찰곡선의 음의 기울기가 소음발생시점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Cu 가 소음발생시점과 음의 기울기 측면에서 마찰소음방지에 가장 우수한 재질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