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계류수출증가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외 정보

  • 한국전기산업진흥회
    • NEWSLETTER 전기공업
    • /
    • 95-8호통권129호
    • /
    • pp.14-46
    • /
    • 1995
  • PDF

기계기술과 국가경쟁력 강화 (Mechanical Industry and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 Power -Proposal of Domestic Production to Reduce a Trading Deficit with Japan-)

  • 한정빈
    • 기계저널
    • /
    • 제35권7호
    • /
    • pp.603-609
    • /
    • 1995
  • 요즘 우리의 경제는 선진국의 호경기와 개도국의 고성장 지속 및 초엔고의 영향으로 산업전반에 걸쳐 커다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 덕택에 국내 산업의 수출량은 전년도에 비해 30% 이상 증가하여 1분기 현재 수출은 262억 달러에 달하고 있으나, 수입은 더욱 늘어나 무역수지는 40억 달러의 적자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무역수지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수출이 증가하면 할수록 그 기본적인 기자재(기계류, 부품, 소재)를 외국, 특히 일본으로부터 수입해야 하는 우리의 선업구 조의 취약성 때문이다. 따라서 모처럼 맞이한 엔고의 호기에 우리의 경제는 적자의 부담만 가 득안고, 우리의 노력으로 얻은 수익의 대부분을 남의 호주머니에 넣어주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역적자의 근본원인이 되고 대일 의존성향이 강한 기계류, 부품, 소재 등 자본재 산업의 국산화를 통한 우리 산업의 구조적 체질개선, 즉 기술 자립이 필 수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87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기계류, 부품, 소재의 국선화계획의 의의를 알아보고 이것이 가지는 문제점과 대책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최근의 엔고는 '80년대 후반 엔고시대 이후 2번째 맞이하는 절호의 기회로서, 너무 근시안적인 이익에만 급급해 하지 말고 장래에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투자가 필요한 시기 임을 깨닫고 우리의 근본문제와 대책을 다시 한 번 검토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 전기공업의 현황과 전망

  • 한만춘
    • 전기의세계
    • /
    • 제25권5호
    • /
    • pp.25-30
    • /
    • 1976
  • 1.우리나라의 발전설비증가 추이 2.기계류 수입수출 실적 3.기계공업과 전기공업의 생산액과 부가가치 4.전기공업의 발전과정과 개발계획 5.국산화추진계획 6.발전소 건설계획 7.품목별 수급계획 8.전기공업개발목표(4차 5개년계획기간중)

  • PDF

베어링 산업의 당면과제와 발전방향 [1]

  • 조관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10
    • /
    • 1986
  • 우리나라 기계공업은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와 경기불황으로 고전을 면치 못해 왔으나 국제유가하락, 일본엔화의 강세 그리고 국제금리의 하락추세라는 이른바 "3저시대"를 맞이하게 됨으로써 모처럼 호전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어 '85 년도에 생산이 8.7%수출 12% 증가 했으며 수입은 15%나 감소하여 기계류의 국산화가 점차 이루어지고 있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우 리의 주종수출시장인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추세는 구조적인 요인으로 말미암아 앞으로도 크게 완하되리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워 부정적인 측면도 없지않다. 더구나 상기의 3가지 호재가 언제 까지나 지속횐다는 보장도 없으니 만큼 정부와 기업은 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우리나라 기계공업의 경쟁체질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것이다.마련해야 할것이다.

  • PDF

수출유사도 지수를 활용하여 분석한 국가별 수출품목의 변화

  • 이우정
    • KDI북한경제리뷰
    • /
    • 제22권4호
    • /
    • pp.23-38
    • /
    • 2020
  • 본 자료에서는 1998년과 2017년의 수출유사도지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북한의 수출상품이 어떠한 소득수준의 국가와 유사한지 알아보았다. 1998년 수출유사도지수는 한국, 홍콩, 태국, 중국, 일본 순으로 높았으며 2017년에는 미얀마, 모로코, 튀니지,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편적인 비교일 수 있으나, 1998년 북한의 수출 품목은 한국과 2017년에는 미얀마와 가장 유사하다고 해석 가능하다. 이어서 1998년과 2017년 북한의 수출품목의 비중변화를 관찰한 결과 광물성연료(HS 27)의 수출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의류(HS 62), 광·슬래그·회(HS 26), 과실(HS 08), 의류(HS 61)가 뒤를 이었다. 반대로 2017년 1998년에 비해 수출비중이 가장 크게 감소한 품목으로는 전기기기(HS 85), 원자로·기계류(HS 84), 식물(HS 12), 플라스틱과 제품(HS 39), 인조스테이플 섬유(HS 55)이다. 비교분석을 위해 북한과 수출유사도지수가 가장 높은 10개 국가의 수출품목 비중 변화 역시 살펴보았는데, 자세한 품목의 비중변화는 부록의 <부표 1~10>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98년과 2017년 각각 수출유사도지수가 가장 높았던 한국과 미얀마의 수출품목 변화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전기기기(HS 85)의 수출이 한국에서는 가장 크게 증가한 반면, 북한에서는 가장 크게 수출이 감소한 상품이었으며, 미얀마의 경우 광물성연료(HS 27), 의류(HS 62), 광·슬래그(HS 26)의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난다.

한-중미 FTA 발효에 따른 주요 산업 수출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n the Trade Competition of Major Industries Following the Completion of Korea-Central America FTA)

  • 김정환;안태건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07-120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과 중미 5개국 간의 FTA가 발효됨에 따라 시장점유율, 무역집중도, 무역특화도를 활용하여 국내 주요 수출산업의 경쟁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에서는 선박과 자동차 및 부품, 철강, 전자기기 등 공산품 위주로 수출을 하고 있으며, 커피, 동과 같은 원자재 및 농산물을 수입하고 있어 상호보완적 무역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무역특화도 분석에서는 한국은 선박, 자동차, 철강, 기계류등의 공산품 수출에 특화되어 있었으며, 동, 커피 등 1차산품에 수입 특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對)중미 주요 수출 품목인 선박, 철강, 기계류와 같은 제품들은 관세인하로 인해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향후 의약품 및 의료용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중미 FTA 발효에 따라 중미 시장에서 한국의 주요 수출산업의 경쟁력 분석을 통해 수출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중미 시장을 교두보로 향후 남미 지역으로 진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의 광물 수출과 품목별 수입: 대중무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North Korea's Mineral Export on Various Imports)

  • 김다울;김민정;김병연
    • 경제분석
    • /
    • 제26권2호
    • /
    • pp.72-113
    • /
    • 2020
  • 이 연구는 1995년 1분기부터 2019년 3분기까지의 북·중무역 자료를 사용하여 북한의 가장 중요한 외화획득 원천이었던 광물 수출과 품목별 수입 간의 관계를 공적분, 벡터자기회귀모형, 그리고 충격반응함수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광물 수출은 수입품 중 식품, 연료, 자본재류 중간재와 공적분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벡터자기회귀 분석 결과 광물 수출에 구조변화가 있었던 2010년 3분기 전후로 광물 수출과 품목별 수입의 단기적인 관계에서 상반된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구조변화 이전에는 수입 충격이 광물 수출에 영향을 준 반면 구조변화 이후에는 광물 수출 충격이 차량, 섬유류 중간재, 기타 중간재, 사치재 수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추정결과는 2010년 이후 급증한 북한의 광물 수출이 북한의 경제성장에 기여할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다. 광물 수출이 식품, 연료 등의 필수재와 더불어 자본재류 중간재와 공적분 관계를 가지며, 단기적으로는 자본재 수입과 각종 중간재 수입을 증가시킨다는 점은 광물 수출이 경제성장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기계설비자산 등 자본량 축적에 필요한 자본재 수입과의 장기균형관계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단기적 영향도 차량수입 증가에 국한된 것으로 추정되어 광물 수출에 의한 성장효과는 제한적이었을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