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Trade Competition of Major Industries Following the Completion of Korea-Central America FTA

한-중미 FTA 발효에 따른 주요 산업 수출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김정환 (대구가톨릭대학교 무역학과) ;
  • 안태건 (부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major export industries following the FTA between Korea and five Central American countries. Findings revealed that Korea mainly exports industrial products such as ships, automobiles and parts, steel, and electronic devices, and it imports raw materials and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coffee and copper, indicating a complementary trade structure. Similarly,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alysis revealed that Korea specialized in exporting industrial products such as ships, automobiles, steel, and machinery, and in importing primary products such as copper and coffee. Products such as ships, steel, and machinery, which are major export items to Central America, are expected to further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due to tariff cu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for medicines and medical supplies could increase in futur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export strategies by analyz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major export industries in the Central American market,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Central American FTA.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entry into South America as a bridgehead in the Central American market.

본 연구는 한국과 중미 5개국 간의 FTA가 발효됨에 따라 시장점유율, 무역집중도, 무역특화도를 활용하여 국내 주요 수출산업의 경쟁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에서는 선박과 자동차 및 부품, 철강, 전자기기 등 공산품 위주로 수출을 하고 있으며, 커피, 동과 같은 원자재 및 농산물을 수입하고 있어 상호보완적 무역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무역특화도 분석에서는 한국은 선박, 자동차, 철강, 기계류등의 공산품 수출에 특화되어 있었으며, 동, 커피 등 1차산품에 수입 특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對)중미 주요 수출 품목인 선박, 철강, 기계류와 같은 제품들은 관세인하로 인해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향후 의약품 및 의료용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중미 FTA 발효에 따라 중미 시장에서 한국의 주요 수출산업의 경쟁력 분석을 통해 수출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중미 시장을 교두보로 향후 남미 지역으로 진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희철(2013), 한국 수출산업의 대칠레 경쟁력 변화에 관한 연구: 한.칠레 FTA 체결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20(5), 265-280.
  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5), 한-중미 FTA와 우리 기업 진출기회.
  3. 박성은.안승범(2018),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수도 권항만 카페리선사의 발전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4(1), 111-132.
  4. 박지문(2019), 한.중미 FTA에 의거한 전자원산지증명서의 상호교환에 관한 연구, 지역산업연구, 42권 2호, 295-310.
  5. 송백훈(2019), 한국-중미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중남미연구, 38(4), 1-21.
  6. 안태건.김성룡 (2017), 한국과 중동 지역 간 상품교역 활성화를 위한 무역구조 연구, 통상정보 연구, 19(2), 47-64.
  7. 안태건.김성룡(2015), 우리나라 조선 산업에 FTA가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1(3), 187-201.
  8. 이경한.박주동(2016), 대한민국 FTA체결에 따른 부산항 벌크물동량 영향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2(3), 83-94.
  9. 정분도.심재희(2017), 주요 수출제품의 대 SIECA 경쟁력 분석, 국제상학, 32(2), 147-164.
  10. 정재화(2012). 무역결합도를 활용한 FTA 효과 분석. 통상정보연구, 14(1), 141-170.
  11. 한국무역통계진흥원(2018), 한.중미 FTA체결 현황과 對중미 중소기업 수출유망품목 선별 및 FTA효과 추계.
  12. 한국무역협회(2019), 한-중미 FTA발효와 FTA를 활용한 수출 유망품목.
  13. Grubel, H. G. & Lloyd, P. J.(1975), The theory and measurement of international trade in differentiated products, London, Basingstoke.
  14. Yamazawa, I.(1970), Intensity Analysis of World Trade Flow, Hitotsubashi Journal of Economics, 10(2), 6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