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긍정적 특성

검색결과 2,363건 처리시간 0.038초

창업성공과 투자회수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소자본 자영업 창업을 중심으로

  • 강개석;이종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0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195-210
    • /
    • 2010
  • 본 연구는 창업성공과 투자회수에 대한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20개의 소자본 자영업 창업업체를 대상으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성공과 투자회수의 결정요인으로서 창업유형(전문창업 또는 모방 창업), 창업자의 개인특성(연령, 전문성), 사업특성(상권위치, 창업규모, 가족경영)을 선정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창업이 창업성공과 투자회수에 대하여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자의 개인특성에 있어서 창업자의 연령은 투자회수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으며, 창업자의 전문성은 창업성공에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업상의 특성에 있어서 가족경영은 창업성공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이 있는 반면에 투자회수에 있어서는 부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규모는 투자회수에 부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이론적 논리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중소기업의 기업가적 특성과 고용창출간의 관련성 탐색 (Exploring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Job Creation)

  • 윤현중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5-3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업가적 특성과 고용창출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중소기업의 기업가적인 특성들이 많은 긍정적인 결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논의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적 특성과 고용창출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는 연구들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고용창출간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기업가적 지향성이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 PDF

물류기업의 관계특성이 협업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Relational Characteristics in Logistics Firm on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 최성광;하명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3-39
    • /
    • 2011
  • 공급사슬관리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지속적으로 공급사슬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물류기업의 관계특성, 협업,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이며, 특히 관계특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서 두 종류의 협업(운영적 협업과 전략적 협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분석을 위해 물류기업 164개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PLS를 이용해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뢰성, 정보공유는 운영적협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운영적 협업은 공급사슬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지속의지와 정보공유는 전략적 협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전략적 협업은 공급사슬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계 특성과 공급사슬성과 사이에는 운영적 협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업무특성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사용 성과;사회적 영향과 친분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구철모;정재은;조근식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95
    • /
    • 2007
  •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기업 조직의 사회적 네크워크를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각 커뮤니케이션 정보시스템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업무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또한 새로운 정보기술의 도입, 예를 들면, 메신저와 무선 화상통신과 같은 발전은 매체 풍부성 이론으로 아직까지 적용 검증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업무적 특성과 미디어 활용 그리고 업무성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서베이를 통하여 소중대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회귀분석으로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업무 특성은 미디어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이며 사회적 영향과 친분관계는 두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활용은 각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PDF

한국 IT기업들의 지식의 공유 및 활용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in the IT Industry of South Korea)

  • 이원희;최호성;정진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1호
    • /
    • pp.63-66
    • /
    • 2018
  • 세계경제는 지식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글로벌 지식경제시대로 진입했다 할 수 있다. 즉 지식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고, 지식을 활용한 다양한 경영활동이 기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지식경영시대가 도래 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IT기업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젝트 참여자, 조직의 특성, 관계자의 특성이 지식의 공유 및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는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든 요인들이 지식공유 및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이는 작게는 특정 프로젝트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크게는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구독경제 서비스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용동기와 플랫폼, 서비스 특성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of the Subscription Economy Service: Focusing on Use Motivations, Platform & Service Characteristics)

  • 김민정;김태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35-542
    • /
    • 2023
  • 본 연구는 구독경제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 고찰을 통해, 개인 특성과 서비스 특성 변인을 함께 고려하고자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동기, 플랫폼 특성요인과 제품 및 서비스 특성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구독경제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는 기능적, 유희적 경제적 동기로 나타났으며, 플랫폼 특성요인 중 플랫폼 최신성과 서비스 특성요인 중 편의성, 경제성, 인지된 개인화가 영향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이용의도에는 기능적, 유희적 동기와 편의성이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며, 사회적 동기는 부적 영향력을 보였다. 또한 경제적 동기와 플랫폼 최신성, 경제성, 인지된 개인화는 구독경제 서비스 만족도를 매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킬러앱 고착화(Lock-in)로 인한 이동통신사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inued Usag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by Killer-app Lock-in)

  • 이종오;한동균;이종갑;이선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297-310
    • /
    • 2014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킬러앱이 가지고 있는 특성(정보특성과 네트워크 외부성)이 전환비용과 고착화를 통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킬러앱과 이동통신사의 지속적인 사용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특성과 네트워크 외부성은 전환비용과 고착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환비용은 고착화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킬러앱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착화는 킬러앱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환비용과 킬러앱의 지속적 사용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킬러앱의 지속적 사용의도는 이동통신사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활용 긍정적인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ment of Program for Positive Teacher based on Appreciative Inquiry)

  • 장경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5-356
    • /
    • 2011
  • AI는 개인이나 조직이 가지고 있는 강점과 긍정적 경험을 토대로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본 연구는 AI가 가진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긍정교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AI의 4D 단계를 진행하기 위한 긍정주제를 선정하였는데, 대주제는 "닮고싶은 선생님"이고, 하위 주제는 이해, 소통, 열정, 실력이다. 각 주제별로 교사들에게 제시할 긍정적 질문을 개발하였고, 질문을 토대로 교사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교사들은 자신의 강점을 찾아 그것을 기반으로 자기 개발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계획을 수립하였고 이러한 계획이 교사역량을 개발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 PDF

모바일 서비스 전달 특성에 따른 상호작용성 지각이 고객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bile Service Delivery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Interactivity and Attitude towards Mobile Service)

  • 이윤재;이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402-411
    • /
    • 2013
  •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 콘텐츠 접속은 기존 PC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접속과 구별되는 서비스 전달 특성으로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접속성과 모바일 사용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황에 맞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맥락적 제안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의 새로운 특성과 더불어 기존의 PC 기반 온라인서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는 특성인 시스템의 반응 속도와 비언어적 정보 전달성을 포함해 모바일 서비스의 전달 특성이 사용자들의 상호작용성 지각과 서비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유비쿼터스 접속성과 맥락적 제안성은 모바일 콘텐츠 이용자의 상호작용성 지각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반응속도 역시도 지각된 상호작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비언어적 정보전달성은 그렇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반응속도와 비언어적 정보전달성은 모바일 콘텐츠 개발 시 상충관계에 있는 속성이며, 본 연구는 비언어적 정보전달성 보다는 반응속도를 강화했을 때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상호작용성 인식과 서비스 관련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

외식업 경영자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Factors on the Food Service)

  • 조준희;김찬중;전병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7-118
    • /
    • 2013
  • 본 연구는 소상공인 외식업 창업가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경영성과 요인은 창업가 특성, 경영관리, 입지특성 요인으로 분류하여 소상공인 외식업 경영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외식업의 창업가 특성의 성취욕구와 자아의식 욕구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업 경영자의 성취욕구, 자아의식 욕구가 높으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외식업의 경영관리 특성에서 고객관리와 음식관리는 경영성과에 유의하였다. 적극적인 경영관리를 위한 노력과 음식품질 관리는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