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급수계획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water supply management plan and case for agricultural pipeline (농업용 관수로의 급수관리 계획 및 사례분석)

  • Kim, Sun Joo;Kang, Seung Mook;Kim, Phil Sik;Kim, Nam Do;Bark, Mi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93-293
    • /
    • 2015
  • 농촌용수는 자연계의 물순환과 융합한 형태로 반복과 순환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지역의 건전한 물순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식량생산 기반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환경 보전, 전통문화 및 지역사회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쌀 소비의 급격한 감소로 논 경작면적이 축소되면서 밭 경작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우리나라 농업형태가 논 관개 시스템에서 밭 관개 시스템의 특용작물 재배와 같은 첨단시설의 하우스 농업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촌용수의 활용은 감소하고 있고 관개 형태의 변화로 용수관리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관개시스템에서 농촌용수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수로형태의 변화는 개수로 중심에서 관수로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촌용수를 저장, 운용 실태를 보면 노후 된 농업기반시설들로 인하여 저수량 감소가 발생하며, 확보된 용수를 재래식으로 운용함으로 인한 관리 손실발생으로 농촌용수 부족사태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농촌용수 관개를 위한 개수로에서의 용수 손실률은 약 15%에 달하며 이는 약 20억$m^3$으로 추정되고 우리나라 총 수자원의 6%에 해당되는 양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개지구의 급수관리 계획 및 사례 분석을 통해 기존의 모의에 의한 농촌용수 추정 값의 불확실성을 확인하고 실측에 의한 정량화 분석을 통해 관수로 시스템 구축의 타당성 제시 및 효과 분석을 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due to Dam Discharge of Yeongsan River Watershed (영산강유역 댐 방류량에 의한 수질개선효과)

  • Park, Sung Chun;Oh, Chang Yeol;Kang, Kwon Soo;Gwak, Pil Jeong;Kim, Jeo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28-532
    • /
    • 2017
  • 영산강은 우리나라에서 호남평야 다음으로 넓은 나주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남도의 젖줄이며 영산강 유역민의 약 70%가 거주하는 약 150만의 광주광역시를 관통하는 우리나라 4대강의 하나이다. 그러나 영산강은 그 위상에 맞지 않게 우리나라 하천 중 수질이 가장 악화되어 있는 하천 중 하나이다. 영산강의 수질은 최근 10여 년 동안에 이루어진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제 1단계(2004~2010년), 제 2단계(2011~2015년) 사업과 2012년 10월 광주광역시의 총인처리시설의 정상 가동, 영산강의 수질을 2급수(좋은 물) 목표로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갈수기 유지유량 공급을 위하여 14개 농업용저수지의 둑 높이기 사업 등 배출오염부하량의 삭감노력과 하천유지유량의 증대계획 등으로 많이 개선되어 왔으나, 1~2급수를 유지하는 3대강 수준에 크게 못 미치는 3~4급수의 수질을 유지하며 상대적인 수질악화와 그 격차가 크게 차이를 보이며 고착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숭상이 이뤄졌고, 영산강의 수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수인 영산강유역의 4대호 담양댐, 광주댐, 장성댐, 나주댐의 호소수를 영산강에 추가로 방류할 경우 수질이 개선되는 정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QUAL-MEV모델을 이용하여 영산강 수질모델을 구축하였고, 목표연도 2020년을 설정하여 4대호 방류구의 현재의 지리적 위치와 4대호의 수질자료를 모델에 직접 입력하여 추가 방류량의 변화에 따라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며, 4대호 댐별로 영산강의 수질개선 기여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ipe Network System Design Using Non-Linear programming (비선형 계획법을 이용한 상수도 관망설계에 관한 연구)

  • 김정환;김태균
    • Water for future
    • /
    • v.27 no.4
    • /
    • pp.59-67
    • /
    • 199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which can design an optimal pipe network system using nonlinear programming(NLP) technique. The method finds the minimum-cost pipe network while satisfying all the design constraints including hydraulic constraints.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Goyang distribution area in Goyang, Kyoungi-do. It has been found in the application and the comparison between the original design and the optimal design of this study that the optimal design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does not require the trial-and-error procedure while satisfying the discharge and pressure requirements at the demanding nodes. Therefore, the optimal design method using NLP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practical design considering economic aspect of the pipe network system at the same time.

  • PDF

National Drought Response Framework and Emergency Action Plan for Mega-Drought (미국의 국가가뭄대응체계 및 비상대처계획의 시사점)

  • Nam, Won-Ho;Knutson, Cody L.;Hayes, Michael J.;Svoboda, Mark D.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5-405
    • /
    • 2020
  • 최근 선제적인 가뭄대응을 위하여 관계부처가 상시 가뭄 관리체계를 지속하고, 범정부적 가뭄예방 대처를 위한 가뭄종합대책이 수립되었다. 가뭄종합대책에는 통합적 가뭄 위기대응체계를 마련해 단계별로 가뭄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극한가뭄에 대비해 선제적 용수확보와 가뭄 전문가 지역 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계획이 포함되어있다. 또한 국가재난관리체계에 따라 지자체는 지역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수립하고, 현장조치 행동메뉴얼에 따라 단계별 제한급수대책 수립, 재난대응 단계별 행동요령 (징후 감지, 초기 대응, 비상 대응) 등을 수행한다. 이처럼 가뭄은 발생 후 해갈까지 많은 시간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사회전반에 걸처 영향을 주는 대형복합재난으로 국가적 차원의 통합적 관리가 필요한 재난으로 국가가뭄대응체계 및 비상대처계획 (Emergency Action Plan, EAP) 수립이 필요하다. 미국은 1998년 국가가뭄정책법(National Drought Policy Act)을 제정해 가뭄관리에 대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2006년 국가통합가뭄정보시스템법 (National Integrated Drought Information System Act)을 제정해(Public Law 109-430) 현재의 국가통합가뭄정보시스템 (NIDIS)이 설립되었다. 이후 국가가뭄회복력파트너십 (National Drought Resilience Partnership, NDRP)을 발족하여 2016년 장기가뭄 회복력을 위한 국가재해대응정책을 수립하였다 (Federal Action Plan for Long-Term Drought Resilience). 미국의 경우 1982년 콜로라도 주, 사우스다코타 주, 뉴욕 주를 시작으로 2020년 현재 48개 주에서 연방정부단위의 가뭄대응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실행되고 있는 가뭄 적응 대책 및 비상대처계획을 조사, 분석하고, 향후 메가 가뭄 발생시 국가단위의 가뭄 재난위기관리 매뉴얼, 정부 및 지자체의 가뭄 대응 체계 및 대응 방안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the Water Supply in the Industrial Complex (공업용수 공급량 산정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

  • Jang, Jin Heaok;Chang, Hyung Joon;Lee, Ho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5 no.2
    • /
    • pp.27-36
    • /
    • 2022
  • The adequacy of industrial water supply i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the construction of industrial complexes. This study examined the supply of industrial water through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lanning and cre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operating utilization rate of tenant companies oksan industrial complex. As for calculating the supply of industrial water and establishing water supply plan, the basic data analysis and the land use plan are utilised. The adequacy of calculating the basic unit by industry, which is the basis for calculating industrial water, was evaluated. In addition, analyzed industrial water usage data and the raw unit of each industry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data from the Oksan Industrial Complex, which selected as the research target area among the industrial complexes in Cheongju-si administrative districts, where actual data can be secur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peak load rate of industrial water was found to have the peak load of more than twice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usage, and the basic unit of industrial water industr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ctual usage. In particular, the decreasing rate of the basic units was significant comparing the increasing rate of basic units. In addition, the raw unit of the industry that uses more water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raw unit of the industry that uses less water increased slightly.

Spatial Planning Approach to Noise Mitigation for Areas Adjacent to Civil Airports (민간공항주변 항공기소음 관리를 위한공간계획적 접근)

  • Kwon, Tae-J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2
    • /
    • pp.83-109
    • /
    • 2010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spatial planning approach to effectively deal with airport noise problems in neighborhoods adjacent to civil airports. Rapid urbanization around the airports, as well as growing concerns on quality-of-life, resulted in ever-growing airport noise complaints, lawsuit, and central government's financial burden. S. Korea government adopted a restriction- and compensation-based airport noise management policy against the problems in mid 1990s. It, however, turns out to be ineffective in guiding incompatible land uses and facilities away from the airports' environs and to encourage compatible ones to locate around the airports. Base on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s airport noise management practic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new spatial planning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following: 1) diversification of current airport noise mitigation programs, 2) introduction of "sector"-based, spatial management system, and 3) central government's close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ies.

  • PDF

Optimal Weapon-Target Assignment of Multiple Dissimilar Closed-In Weapon Systems Using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혼합정수선형계획법을 이용한 다수 이종 근접 방어 시스템의 최적 무장 할당)

  • Roh, Heekun;Oh, Young-Jae;Tahk, Min-Jea;Jung, Young-R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7 no.11
    • /
    • pp.787-794
    • /
    • 2019
  • In this paper, a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MILP) approach for solving optimal Weapon-Target Assignment(WTA) problem of multiple dissimilar Closed-In Weapon Systems (CIWS) is proposed. Generally, WTA problems are formulated in nonlinear mixed integer optimization form, which often requires impractical exhaustive search to optimize. However, transforming the problem into a structured MILP problem enables global optimization with an acceptable computational load. The problem of interest considers defense against several threats approaching the asset from various directions, with different time of arrival. Moreover, we consider multiple dissimilar CIWSs defending the asset. We derive a MILP form of the given nonlinear WTA problem. The formulated MILP problem is implemented with a commercial optimizer, and the optimization result is proposed.

Development of Hedging Rule for Drought Management Policy Reflecting Risk Performance Criteria of Single Reservoir System (단일 저수지의 위험도 평가기준을 고려한 가뭄대비 Hedging Rule 개발)

  • Park, Myeong-Gi;Kim, Jae-Han;Jeong, Gwan-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5
    • /
    • pp.501-510
    • /
    • 2002
  • During drought or impending drought period, the reservoir operation method is required to incorporate demand-management policy ru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ocused to the development of demand reduction rule by incorporating hedging-effect for a single reservoir system. To improve the performance measure of the objective function and constraints, we could incorporate three risk performance criteria proposed by Hashimoto et al. (1982) by mixed-integer programming and also incorporate successive linear programming to overcome nonlinear hedging term from the previous study(Shih et al., 1994). To verify this model, this hedging rule was applied to the Daechung multi-purpose dam. As a result, we could evaluate optimal hedging parameters and monthly trigger volumes.

Development of a Shared Vision Model for Future Drought Vulnerability Analysis (미래 가뭄 취약성 분석을 위한 비전공유모형의 개발)

  • Kim, Gi Joo;Seo, Seung Beom;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9-9
    • /
    • 2019
  • 기후변화로 인한 다년 가뭄은 매년 증가하여, 충청남도에 위치한 보령댐과 보령댐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지자체의 시민들 또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된 가뭄으로 인해 총 127일 동안의 생 공용수 급수조정으로 인한 불편함을 경험하였다. 지금까지 시행된 국내의 다양한 가뭄 피해 저감 정책 설립 과정은 대부분 일방적인 하향식(top-down) 의사결정 과정을 바탕으로 진행되었고, 이는 이해당사자와 정책결정자간의 갈등을 유발했다. 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bottom-up) 의사결정 과정 중 하나인 비전공유계획을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 물관리정책 협의회를 통해 적용하였다. 또한, 비전공유계획의 핵심 요소인 비전공유모형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의 특성을 포함하여 개발하고자 STELLA Architect 소프트웨어로 보령댐 및 8개 지자체를 포함한 저수지 운영모형을 구축하였고, 총 3차례의 소위원회를 거쳐 수렴한 이해당사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개발한 모형을 보완하였다. 구축한 모형으로는 미래에 발생 가능한 가뭄의 위험을 포함하고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모의를 진행하였고, 보령댐과 보령댐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충청남도 서해수역 지자체의 가뭄으로 인한 취약성을 평균부족횟수, 평균부족기간, 평균부족량으로 표현하였다. 모의 결과, 보령댐은 8개 지자체보다 가뭄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며, 8개 지자체에서는 가뭄 대응 대책이 주로 계획되어 있는 지역과 모의에서 가뭄이 발생하는 지역의 불일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른 평가지표에 비해 예측하기 어려운 평균회복기간에 대해서는 댐과 지자체에서 이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전공유모형을 통한 가뭄 취약성 분석 결과를 미래 회의에서 이해당사자와 공유하고, 용수 공급처과 수요처의 입장에서 용수 부족을 해소할 방안을 모형에 적용함으로써 미래 가뭄 대응 정책 수립 과정에는 참여형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Synergistic gains from the Real-time Coordinated Multiple Reservoir Operation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수계 실시간 댐군 최적 연계 운영의 시너지 효과)

  • Kim Sheung-Kown;Lee YongDae;Park Myung-Ky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289-2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일별 저수지군 최적연계운영 모형(CoMOM 4.0 : Coordinated Multireservoir Operating Model version 4.0)을 낙동강 수계 실시간 일별 운영에 CoMOM을 적용할 경우를 상정하여, 불확실성을 고려한 실시간 모의 운영을 수행하였다. 실시간 일 운영 시 며칠 정도의 유입량 예측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여 유입량 예측일수의 정확도 증가에 따른 연계 운영 효과를 산정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과거 실적치에 비하여는 좋지만, 예측일 수가 늘어남에 따라 수계 내 연간 평균 저수량은 감소하는 대신 평균 발전량은 증가하여, 연계운영 총체적 효과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미래 유입량을 전혀 예측하지 못할 경우에는 일평균 유입량을 예측 유입량으로 하여 실시간 댐군 연계모의운영을 하였고, 그 경우에도 여수로 방류로 인한 수계 외 유출을 연 평균 약 214백만$m^3$ 정도 감소시키는 반면, 수계 내 전체 댐 군의 평균저수량을 55백만$m^3$ 증가 시키며, 연간 평균 발전량은 25GWh (약 22.5억원/년의 추가 발전수입)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