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형온도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ffects of mold temperature on the weldline of injection-molded parts (금형온도가 사출성형품의 웰드라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동학;이재원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11a
    • /
    • pp.266-26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사출 성형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중 금형의 온도에 따라 성형품의 웰드라인의 표면 및 단면의 미시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MmSH process 가 사출성형품에 미치는 영향 또한 알아보았다. 금형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동수지 선단간의 결합이 원활해져 웰드라인의 폭과 길이 모두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MnSH Process는 외관상 일반적인 사출조건에 비해 웰드라인, V-notch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Mold Temperatures on Physical Properites of Injection Molded Thermoplastic Polyurethanes (사출성형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금형 온도 영향)

  • Lee, Dai-Soo;Kim, Seong-Geun;Nguyen, Vinh-Khanh;Lee, Wing-Ji;Pang, Su-Ji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39 no.4
    • /
    • pp.286-293
    • /
    • 2004
  • Ester- and ether-based thermoplastic polyurethanes of different hardness were injection molded at different mold temperatures and effects of mold temperature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PUs were investigat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soft segments of TPUs were hardly changed by mold temperatures. The phase separation of soft and hard segments of injection molded TPUs were affected little by mold temperatures. However, crystallinity of hard segments, temperature range of rubbery plateau, and tensile strength of injection molded TPUs decreased with increasing mold temperatures for TPUs of high hardness. However, injection molded TPUs of low hardness showed increases of crystallinity of hard segments, temperature range of rubbery plateau, and tensile strength with increasing mold temperatures.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of injection molded TPUs depending on mold temperatures were attributed to different crystallization and physical crosslinking effects of hard segments.

초고온금형 시스템(E-Mold) 및 응용사례 소개

  • Kim, Gi-Yeong;Kim, Dong-Hak
    • Journal of the KSME
    • /
    • v.51 no.4
    • /
    • pp.45-49
    • /
    • 2011
  • 이 글에서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있어 금형 표면온도와 응용 수지의 온도 차이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표면 결함, 미성형 등의 다양한 사출 성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출 사이클에 맞추어 금형 표면 온도의 급가열-급냉각을 제어할 수 있는 E-Mold 시스템에 대해 실제 양산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Fabrication and transcription estimation of prismless LGP for cellular phone using E-Mold technology (전열가열방식을 이용한 휴대전화용 복합기능 도광판 제작 및 전사성 평가)

  • Kim, Young-Kyun;Chung, Jae-Youp;Kim, Dong-Ha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1
    • /
    • pp.186-193
    • /
    • 2009
  • In this paper, we adopted E-MOLD patent technology in order to fabricate Prismless LGP(Light Guide Panel) fur cellular phone and estimate the transcription of injection-molded parts. Then, we manufactured the Ni stamper fur Prismless LGP using MEMS process. And the stamper was installed in the movable heated core which is the key part of a patented mold. Using this mold, we manufactured injection-molded plastic LGP parts with different mold temperatures so that we investigate effect of the temperature on the transcription of the parts. The CA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transcription of LGP parts with various mold temperature displayed $100^{\circ}C$(25.0nm), $140^{\circ}C$(48.4nm), $180^{\circ}C$(52.1nm) and when compared with stamper(521Inm), transcription was superior at $180^{\circ}C$. According to the CAE results, moldability was improved as mold temperature ($50^{\circ}C{\sim}180^{\circ}C$) increased, but when filling time($1{\sim}2sec$) increases, it decreased at $160^{\circ}C$. And transcription and moldability were improved markedly a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140^{\circ}C$).

I-DEAS용 Program file을 이용한 CRT용 Glass & Mold의 Modeling 및 Mesh data구현

  • Im, Yong-Chan
    • Information Display
    • /
    • v.4 no.4
    • /
    • pp.14-19
    • /
    • 2003
  • CRT용 Glass 산업의 경우, 금형 및 유리의 온도는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이 온도는 상온에서 출발한 금형이 반복되는 Heat Cycle을 거치면서 안정화 상태로 이르게 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결정된다. 이때 안정화되는 금형의 온도분포에 의해 제품의 품질이 결정됨에 따라, 불량이 발생할 경우, 안정화 시간 및 금형수정 Cost 증가 등 매우 큰 손실이 야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CAE를 통하여 상기 Heat Cycle의 해석과정 중에서, I-DEAS의 MACRO인 "Program file"을 이용하여 Modeling 및 Meshing을 수행하여 단시간 내 정확한 Preprocessing을 통해 유동 및 열 해석에 적용하는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Effect of Injection Molding Conditions on the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C/ABS Blends (PC/ABS 블렌드의 사출조건에 따른 모폴로지 및 기계적 성질 변화에 관한연구)

  • 김형수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8 no.3_4
    • /
    • pp.177-186
    • /
    • 1996
  • 압출가공으로 제조된 Polycarbonate(PC)/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 블 렌드의 사출조건에 따른 모폴로지와 기계적 성질의 변화와 그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사출 온도와 금형온도가 높아질수록 분산상간의 coalescence 현상이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모폴로지 변화로 인하여블렌드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그리고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사출온도와 금형온도의 증가에 따른 coalescence의 심화는 높은 온도에 서 연속상과 분산상의 점도가 저하되어 분산상 사이에 존재하는 연속상 성분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나타난 현상으로 설명된다. 실용적으로 특정한 상용화제가 투입되지 않 는 PC/ABS 블렌드를 사출공정을 거쳐 제품을 생산할 경우에는 급격한 모폴로지와 물성변 화가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사출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 요하다.

  • PDF

Effects of mold temperature on the part dimension and surface quality of the injection molded cavity filter (금형온도가 Cavity Filter 성형품의 치수 및 외관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동학;김태완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3.06a
    • /
    • pp.359-36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무선부품의 일종인 cavity filter 금형을 제작하였고, 도금용 ARS 수지와 PC/ARS Alloy 수지를 사용하여 일반사출성형과 금형온도가 높은 MmSH방식, 두 타입으로 성형품을 제작하였다. 성형품의 수축률 변화는 MmSH 방식일 때 ABS 수지로 제작한 성형품의 단위캐비티 격막부분에서 수축률이 감소되었다. 중량변화는 ABS와 PC/ABS Alloy로 제작된 성형품 모두 MmSH 방식일 때 증가하였고. 성형품의 표면 거칠기도 모두 MmSH 방식일 때 거칠기가 감소되었다.

  • PDF

주조/단조 공정에서 $A\ell$6061의 단조효과에 관한 연구

  • 권오혁;김형진;배원병;조종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1-251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주단조 공정을 자동차 부품인 low control arm 제조에 적용하였다. Al6061에 주단조 공정을 적용함므로써 재료비 감소와 기존의 스틸제품보다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함이다. 첫째로 단조 재료인 A16061의 최적 주조조건을 찾기 위하여, 주조 실험은 알루미늄의 주입온도, 금형온도, 주입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수행되어졌다. 최적주조조건은 주입온도 $700^{\circ}C$, 금형온도 30$0^{\circ}C$, 주입시간 10초로 정하여졌다. 각각의 미세조직을 관찰하고 응력-변형률곡선을 구하기 위하여 열가단조실험은 빌렛온도, 변형률속도와 감소율을 기초로 하여 수행되어졌다.(중략)

  • PDF

고효율 사출금형 온도제어를 위한 급속가열/냉각기술

  • Park, Geun;Park, Chang-Yong
    • Journal of the KSME
    • /
    • v.51 no.4
    • /
    • pp.37-40
    • /
    • 2011
  • 이 글에서는 고효율 사출금형 온도제어를 위한 급속가열 및 냉각기술(Rapid mold heating and cooling)의 개요에 대해 소개하고, 국내외에 개발되어 있는 급속 금형가열 및 냉각기술의 현황 및 특성에 대해 비교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formation Analysis Considering Thermal Expansion of Injection Mold (사출금형의 열팽창을 고려한 변형 분석)

  • Kim, Jun Hyung;Yi, Dae-Eun;Jang, Jeong Hui;Lee, Min Se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9
    • /
    • pp.893-899
    • /
    • 2015
  • In the design of injection mold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deformation of the mol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that affect the flow characteristics, flash generation, and surface appearance, etc. Plastic injection analyses have been carried out to predic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mold and the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cavity surface. As the input loads, we transfer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results to the structural analysis. We compare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with the thermal expansion effect using the actual flash and step size of a smartphone cover part. To reduce the flash problem, we proposed a new mold design, and verified the results by performing si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