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형부품

Search Result 25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연구실탐방 - 부산대 정밀정형 및 금형가공 연구센터, 정밀가공 설계ㆍ제작 자동화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3 s.394
    • /
    • pp.30-31
    • /
    • 2002
  • 부산대 정밀정형 및 금형가공 연구센터는 항공기, 자동차, 철도차량, 고속전철 및 전기전자 제품들의 부품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 1994년 3월 문을 열었다. 96년 영국 버밍햄대학에 현지 랩을 설치한 후 미국, 일본대학과도 연구협력을 하고 있다.

  • PDF

The Study on Skin Adhesive Technology for Automotive Interior Using the Vacuum Suction Process (진공흡착공정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부품의 표피재 접착기술에 관한 연구)

  • Kim, Key-Sun;Kim, Sung-Wh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3
    • /
    • pp.1045-1050
    • /
    • 2011
  • This study proposed the new pressing method under heat for the plastic automotive interior part in order to make embossing on the skin of the raw material of the part. The raw material is laid on the lower mold and it is pressed by the upper one with embossing shape. The air is suctioned from the inside of both molds for producing tension and making embossing shapes on the skin of the part without its breakage. The corresponding molds and test machines are made and the proposed manufacturing process is validated.

Development of silicone mold applying corrosive pattern of tactile system (촉감시스템의 부식패턴을 적용한 실리콘 금형 개발)

  • Kim, Kwang-Hee;Kim, Jeong-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9
    • /
    • pp.3895-3899
    • /
    • 2012
  • In this study, the start-type molded material, silicone resin(RTV-3040) was used to develop a mold that is utilized for embossing pattern. After selecting a required pattern using the commercial package (Freeform), we examined whether this is applicable to components creating projective embossed side on the surface. We responded to products that require corrosive pattern, such as aluminum mold, by making the starting type when small amounts of components are developing. However, the development of silicone mold that is applied to corrosive pattern showed the possible reduction in time and cost.

Effects of mold temperature on the part dimension and surface quality of the injection molded cavity filter (금형온도가 Cavity Filter 성형품의 치수 및 외관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동학;김태완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3.06a
    • /
    • pp.359-36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무선부품의 일종인 cavity filter 금형을 제작하였고, 도금용 ARS 수지와 PC/ARS Alloy 수지를 사용하여 일반사출성형과 금형온도가 높은 MmSH방식, 두 타입으로 성형품을 제작하였다. 성형품의 수축률 변화는 MmSH 방식일 때 ABS 수지로 제작한 성형품의 단위캐비티 격막부분에서 수축률이 감소되었다. 중량변화는 ABS와 PC/ABS Alloy로 제작된 성형품 모두 MmSH 방식일 때 증가하였고. 성형품의 표면 거칠기도 모두 MmSH 방식일 때 거칠기가 감소되었다.

  • PDF

Study on the Automation of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Process for Press Die (프레스 금형의 가공 및 제작 공정의 자동화에 관한 연구)

  • Choi, Kye-Kwang;Park, Chan-Ky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275-278
    • /
    • 2009
  • 프레스 금형의 가공 및 제작 공정의 자동화란 불필요한 반복 작업을 피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표준 품질의 가공물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자동화의 범위는 3차원 금형설계, 머시닝 센터, 와이어 컷 방전 가공, 도면작업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자동화 공정이 구축이 완료되면 동일한 품질의 가공품을 얻을 수 있고 가공정보는 3D 카탈로그 및 다이 셋을 기준으로 작업을 한다. 1개의 부품을 금형설계자동화 모듈을 이용하여 3차원으로 금형설계를 완료하고 난후에 동일한 환경에서 프레스 금형의 가공 및 제작을 할 때 이의 공정자동화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 PDF

뿌리산업의 현황과 미래

  • Kim, Hui-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4-4
    • /
    • 2018
  • 뿌리산업은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접합, 표면처리, 열처리등 소재를 부품으로 부품을 완제품으로 만드는 6대공정기술을 말하며 자동차, 기계, 전자, 반도체, 의료기기등 주력산업과 신산업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나 3D업종인식, 저부가가치산업, 인력난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향제시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뿌리산업의 R&D방향에 대한 기획을 추진함.

  • PDF

Design of Cooling System of Over-molding Mold for Socket Component of Automobile Wiper (자동차 와이퍼 소켓 부품 제작용 오버몰딩 금형의 냉각 시스템 설계)

  • Lee, Dong-Gi;Park, Min-Woo;Ahn, Dong-Gy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12
    • /
    • pp.1635-1640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of a cooling system of the over-molding mold for a socket component of an automobile wiper by performing numerical analyses. Hot spots in which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a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region, were estimated by an initial over-molding analysis for the initial design of the mold. On the basis of the initial over-molding analysis, two types of cooling system designs with a linear cooling channel and a volumetric heat sink, were considered to improve the cooling characteristics of hot spots. To obtain an appropriate cooling system design, the effects of the diameter and the position of the linear cooling channels on the cooling characteristics and the product qualities were quantitatively examin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design of the volumetric heat sink on the cooling characteristics and deformation distributions in the molded product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over-molding analysis of the two types of cooling systems showed that the multi-sliced over-molding mold with a volumetric heat sink can improve both the product quality and the cooling characteristics of the mold.

A Study on PVD coating technology for Metallic Bipolar Plate Forming Mold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성형 금형 장수명화 코팅 기술 연구)

  • Kim, Eun-Yeong;Jeon, Yu-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166-166
    • /
    • 2011
  • 연료전지 핵심 부품 가운데 하나인 분리판(Bipolar plate)는 막전극체(MEA), 기체확산층(GDL)과 함께 발생한 전류의 수집 및 전달, 반응 가스의 수송, 반응/생성물의 수송 및 제거, 반응열 제거 등을 위한 냉각수 전달 등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을 위하여 분리판은 우수한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화학적 안정성이 요구되어 진다. 기존의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흑연계 소재 및 수지와 흑연을 혼합한 복합 흑연 재료를 통해 제조하여 요구 되어지는 물성을 만족시켜 왔으나 흑연계 분리판의 경우 강도 및 가스 밀폐성 측면에서 낮은 특성을 보이며 특히 고가의 제조 공정 비용과 낮은 양산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연료전지 상용화에 수많은 해결 과제를 안고 있었다. 흑연계 분리판의 이러한 문제점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로 최근 금속계 분리판의 적용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금속계 분리판은 양산 제조 공정이 적용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자동차 연료전지 스택의 경량화 및 박판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박판의 스테인리스강을 소재로 적용한 금속분리판의 양산을 위하여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연구가 바로 금형 코팅 연구이다. 일반 자동차 생산 금형을 평균 약 50만타로 예측한다면 연료전지 금속계 분리판 성형 금형의 현재 수명은 약 10만타로 추정 가능하다. 이러한 원인은 고하중의 프레스 사용과 정밀 금형으로 인한 극한 공정 조건으로 야기된 결과이며 문제 해결을 위하여 성형 금형에 PVD 코팅 적용 연구를 진행하였다. 성형 금형의 PVD 코팅 적용을 통하여 금형 교체 주기 감소를 통한 생산 원가 절감 및 이형성 개선을 통한 성형성 확보를 목표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