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융자본의 세계화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Financial Restructuring and Its Spatial Implications in Korea (금융 재구조화의 공간적 의미)

  • 최재헌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3
    • /
    • pp.265-279
    • /
    • 1999
  • 경제활동의 세계화는 세계적 금융체계의 출현을 수반하고 있으며 금융부문의 역할은 현대 경제체계에서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금융기법의 혁신, 자본이동의 자유화는 새로운 조절양식과 이에 따른 조절공간의 변화를 수반한다. 한국의 경우 금융구조조정은 전세계적인 금융위기와 필요에 의한 대응으로 이해되며 제도적 변화와 함께 금융기관의 흡수.합병.퇴출을 통하여 기업부문, 정부부문뿐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은행 점포수의 변화를 금융구조조정 이전인 1997년과 이후인 1998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점포수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지역적인 특색이 나타났다. 금융구조조정은 서울.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에서 가장 활발히 일어나고 있으며, 도시 인구규모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소규모 도시일수록 변화의 폭이 감소하고 있다. 구조조정 기간 중에 은행수의 변화는 인구규모와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 PDF

The Financial Crisis of Korean Economy and the Changing Economic Space of Gwangiu City (IMF금융위기와 광주권 경제공간의 변화)

  • 김재철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1
    • /
    • pp.5-20
    • /
    • 2000
  • Recently as globalization of financial capital is progressed, possibility of crisis and unreliability of world economy is more growing. Korean economy required radical restructuring because of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economic changes occurred in that process.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economic changes of Gwanagju city is produced by the financial crisis of Korean economy The most important industries are service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in Gwangju city. These industries began to decrease after financial crisis but machinery equipment, electrical machinery & electronics and rubber goods & plastic industry is growing relatively. Because of the decrease of service, the economy of inner city which service industry relatively agglomerated in is reducing. And agglomeration space for the optical photonics industry was built up by the upbringing policy of government on high-technology industry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and micro industrial space such as venture building and establishment nursery center was built up. But high-technology industries have many geographical limits to embed in Gwanagju city, so there needs to construct regional innovation system for knowledge based economies

  • PDF

최근 동남아 국가의 외환위기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10 s.200
    • /
    • pp.98-101
    • /
    • 1997
  •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 국가들은 90년대 후반 이후 경제성장 둔화, 경상수지 악화, 금융제도 불안 등으로 기초경제여건이 취약해진 가운데 통화의 고평가 심리가 팽배해지면서 지난 7월 통화가치가 급락하는 외환위기를 겪었음 이번의 외환위기는 금융규제완화 및 자본 자유화로 금융의 범세계화가 진전되면서 한 국가의 외환위기가 인접국으로 신속히 확산되는 동조화 현상 (Spill-over effect)이 보편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음.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기초경제여건, 시장개방도, 원화의 국제화 정도 등을 감안할 때 최근의 동남아 외환위기가 국내로 파급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평가됨. 외환위기를 예방하기 위하여는 국제수지 등 기초경제여건의 개선과 함께 탄력적인 환율운용, 적정 외환보유액의 확보 및 중앙은행간 협력업체의 강화 등을 통해 급격한 외화유출입에 대한 대응능력을 높여 나가야 할 것임

  • PDF

Globalization and Critical Review for the Korean Welfare State (세계화와 한국 사회복지의 비판적 검토)

  • Kim, Yung-Whoa;Lee, Ogg-H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39
    • /
    • pp.74-102
    • /
    • 1999
  • The integrated global economic system have intensed Liberalization, dereguration, privatization. National states were subordinated in global economic system. To save social costs and to encourage the national competition power, the globalized market tends to reduce the domestic social expention. Truely anxious things are not the defectiveness of capitalism itself but neo-liberal measures of each national states. So neo-liberal globalization beat welfare states. Welfare and growth, accumulation and justice are inter-conflict elements, and these confliction is well explained in context of globalization. Stratigies of growth pursuing economic benefits subordinate social policy in economic policy. Globalization did not always reduce the power of national state, but each national states purposely reduce the power of state and state participations. Thus Globalization can be overcome and must be overcome, eventually,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in korea differ frome that of European states. Their's social welfare retrenchment have based on the excessly expeneded welfare provision, but the frame of social welfare in korea is not yet established in history. Fundamentally historic experiences between European and korean social welfare are different. So "the third way" in korea must be in carefull approaches and the social welfare policy in korea must purchase "anti-market policy" and the equal distribution.

  • PD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Its Impacts on the Housing Systems of Western European Welfare States (세계경제위기에 따른 서유럽 복지국가의 주택시스템 변화 분석)

  • Lee, Hyunjeong;Lee, Jongkwon
    • Korea Real Estate Review
    • /
    • v.24 no.1
    • /
    • pp.105-120
    • /
    • 2014
  •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on-going global financial crisis on the housing systems of welfare states. Four developed economies in the Western Europe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employed in-depth interviews with scholars in the fields of housing market and social policy in order to meet the research goal. The major findings indicate that the global economic crisis embedded into the liberalization of housing finance and the inadequacy of regulatory measures caused the vicissitude of housing markets, and its scale and magnitude could be determined by the resilience of each state's housing system. While the globalization of housing finance markets rendered easy borrowing for homeownership, intensive competition for excessive lending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backed by heavy reliance on inter-bank and overall bank triggered market volatility, and further worsened household and public debts. It's clearly evident that a housing system with varied safety nets becomes a greater cushion to bear the risks of the financial crisis and to weather the economic storm.

An Analysis of Movements in the Labor Share of Income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한국 제조업에서의 노동소득분배율 변동요인 분석)

  • Hong, Jang-Pyo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9 no.1
    • /
    • pp.1-34
    • /
    • 2013
  • Labor share of income in Korea has fallen from 90% in 1996 to 79% in 2010. This paper explores the factors driving the movements in the labor share of income based on a panel dataset containing 19 years of data on 18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effects of technical progress, globalization and the bargaining power of labor and capital on the labor share of income are tested for the period of 1991-2009.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1) Capital-aug menting technical prog ress measured by capital-labor ratio and R&D intensit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labor share. (2) Market openness measured by the value of export and import as a ratio to value-added production i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3) Globalization of production measured by inward-FDI and outward-FDI as a ratio to total domestic fixed capital i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labor share. (4) Union density is found to hav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1991-1998.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efficient bargain model in which firms and workers bargain over both wages and employment. But union density is insignificant in 2000-2009. This implies that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bargaining institution in Korea has been approaching the right-to-manage model in which firms and unions bargain over wages and then firms set employment unilaterally. (5) Variables for domestic financialization measured by dividend-income ratio and financial-fixed assets ratio have an insignificant effect on labor share.

A Study on the J. Calvin's thought of Economy and Management and its modern Application - with a Application Viewpoint of Distribution & Logistics Sectors - (존 칼빈의 경제, 경영 사상과 현대적 적용에 대한 연구 - 유통, 물류에의 적용 관점 -)

  • Kim, Hong-Seop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1 no.1
    • /
    • pp.147-169
    • /
    • 2015
  • Our society has been changed so rapidly and we have achieved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swiftly. On our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it is appraised that Christian Thought and western Capitalism thoughts have been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John Calvin, well known Reformer and thinker of Protestant, as M. Weber assesse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ogress of Capitalism. He was a Religion Reformer as M. Luther and especially a thinker and man of deed, who affected large areas of human life such as Religion, Economy, Society and Politics. Calvin understood Economy is the main issue of theology and Economic activities can be a position which may restore the correct relationship of God and Man. This Paper aimed to survey, synthesize and systemize the Economy and Management thought of J. Calvin. On these changing current society, it surveyed if His thoughts that has long history, can be applicable or not and Where and How it may. Calvin's Thought not only on his age caused important changes and Reformation but now suggests critical milestones. His Thoughts of Love, Justice, and Fairness based on the Bible have been evaluated as the universal truth and important criteria. Until nowadays his Philosophy has composed critical Principles of decision making rules of Economy and Management and National policies. Especially today, when economy has been more emphasized as a center of our lives, His Thought suggests momentous directions on various Human Life such as Justice and Fairness, deepening of gap between poor and rich, expansion of conflicts among social classes, employment and wages, freedom of markets and its balance, and public good of land use. Reviewing Calvin's Economy and Management thoughts as meaningful basis on the our and world Economy which became worse caused by world monetary crisis and Europe financial crisis that aroused by world Economy globalization and expansion of neo-liberalism, this Paper suggested some future directions. And for the practical sectors, Distribution and Logistics, it proposed some issues and Directions, considering the impacts of His thoughts on the Industries. Nevertheless it can deliver some contributions, as a literature research, it reveals some limitations that it may contain lacking of practical investigations and cases on economy and management fields. In the future, more detailed and deeper research on the practical and situations of economy and management shall be needed.

동서간 중소기업 협력체제 구축 방안

  • Han, Jang-Hui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17-37
    • /
    • 1998
  • 중소기업간 협력 활동은 사업의 전체 혹은 일정 부분에 대하여 분업이나 협업의 관계를 맺는 공동사업의 형태로 나타난다. 기업간 연결의 강도에 따라 기업들간에 형성되는 분업과 협업의 관계를 시장형, 중간조직형, 위계조직형으로 구분할 때, 중소기업간 공동사업은 중간조직형에 속하는 일종의 기업간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다. 물론 네트워크형의 협력관계를 추진하는 방식도 업무제휴, 지분제휴, 합작투자, 컨소시엄 등으로 다양하다. 그러나 완전한 자본적 통합에 따른 위계적 조직과는 달리 참여기업들이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네트워크 밖의 기업에 대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기업간 협력관계를 통해 참여 기업들이 얻을 수 있는 혜택에 관한 기존연구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기업의 생산함수를 중심으로 그 이점을 파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관계의 종류에 따라 기업간 거래관계를 관리하는 소위 거래비용의 효율성을 중심으로 혜택을 파악하는 접근방법이다. 전자의 접근방법을 따를 때, 기업간 협력의 근본 유인은 규모의 경제(혹은 비경제), 범위의 경제, 집적의 경제, 구도의 경제 등이 협력관계에서 발생하는 혜택의 근본 원천이다. 기술과 제도의 발전, 시장과 경쟁환경의 변화에 따른 기업간 협력의 필요성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소비자들의 요구는 매우 개성화 다양화되고 종합화되는 추세이다. 더불어 기술개발의 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경쟁의 격화로 기술 및 제품의 진부화도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화 상품고도화 서비스산업화 정보화 등으로 특징지워지는 새로운 경쟁환경 아래에서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장중심적인 관점에서 형성된 기업간 전략적 연계를 바탕으로, 정보의 집적을 통해 다양한 생산성 향상 혹은 관계효율성 향상의 경제를 추구하는 것이 필연적 전제 조건이 되었다. 기업간 경쟁보다는 최종제품의 생산과 판매를 위해 형성된 기업네트워크간의 경쟁이 중시되는 시대인 것이다. 동서간(東西間) 중소기업(中小企業)의 협력(協力)을 새삼스럽게 논의하는 것은 다분히 정치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실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서간 중소기업의 협력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면, 그 이유는 기업정보의 수집과 유통상의 문제이거나 문화나 기업관행에 대한 잘못된 선입관에서 비롯된 관계 관리비용 계산상의 문제일 것이다. 현실적으로 이 가능성은 매우 낮다. 산업의 발전 정도나 연관성에 있어서 동서축보다는 남북축을 따라 기업간 협력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이 동서간보다는 남북간 경제교류를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동서간 중서기업 협력체제의 구축에 대한 논의가 본질적으로 정치적 관심에서 비롯되었다는 전제 하에, 구축의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경제적으로도 타당하면서 정치적으로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협력체제 구축방안으로, 기업간 네트워크의 조직 주체로서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마케팅회사를 동서간에 공동으로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 영구 지속적 공동사업관계보다는 프로젝트별 공동사업을 전제로 기업들 사이의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일종의 가상적 기업을 결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업간 네트워크 형성의 실행주체가 될 수 있는 새로운 마케팅 전문기업의 형태로는 공동회사(空洞會社)(hollow company), 종합상사(綜合商社)(General Trading Company), 거래형 마케팅회사(Marketing Exchange Company), 변환형 마케팅회사(Marketing Coalition Company) 등을 들 수 있다. 양 지역에서는 소비자환경과 기술환경의 특성 및 양 지역의 경제에 대한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마케팅회사의 유형은 선택하여 육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강력한 양 지역 및 다른 지역에 입지한 기업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한다. 마케팅회사를 설립하고 완전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육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마케팅회사의 핵심기능 분야인 금융부문, 정보부문, 영업조직 등은 모두 막대한 투자를 필요로하는 기능영역이다. 정보부문은 기술의 발전과 범세계적인 정보관련기관과의 제휴를 통해 독자적인 구축이 어느 정도 가능하나, 영업조직의 구축을 위해서는 기존업체와의 연대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속적으로 효과적인 기업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또한 기업간 관계를 관리하는 방식과 제도 및 수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양 지역 산 학 관의 공동노력을 통해서 새로운 경제 환경에 가장 적합한 기업 형태로 제시된 바 있는 마케팅 전문회사 중심의 기업간 네트워크를 성공적으로 구축한다면, 양 지역 및 국가 경제의 지속적인 동력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