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속용기

Search Result 22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valuation of PWSCC at Dissimilar Metal Butt Welds in NPP (원전 이종금속 맞대기용접부 PWSCC 균열건전성평가)

  • Lee, Sung-Ho;Lee, Kyoung-Soo;Oh, Chang-Yo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9
    • /
    • pp.1047-1052
    • /
    • 2012
  • 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PWSCC) instances have been reported in the Alloy 600 reactor pressure vessel head penetration nozzle and the Alloy 82/182 dissimilar metal butt weld nozzle in several PWRs. Therefore, in-service inspection programs have been adopted worldwide to prevent failure at the weld region. If a PWSCC is observed at the dissimilar metal weld region during inspection, its structural integrity should be evaluated; however, this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and this might lead to a decrease in the plant utilization coefficient. To prevent this, KHNP-CRI have established integrity assessment criteria and developed a computer program for the fast evaluation and judgment of PWSCC. In this paper, the results and current status of the same a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criteria for the structural integrity evaluation of PWSCC have been established, and a computer program has been developed to realize technical means for the evaluation of PWSCC structural integrity.

온도분포가 이동하는 액체금속로 원통용기의 열적 라체팅 해석

  • Lee, Hyeong-Yeon;Kim, Jong-Beom;Lee, Jae-Han;Koo, Kyung-Hoe;Yoo, Bong;Gwak, Dae-Yeong;Im, Yo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235-240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고온의 천이 열하중을 받는 304 SS 재질의 액체금속로 원통용기에 대하여 진행성 변형기구인 열적 라체팅(thermal ratcheting) 변형거동을 해석하였다. 재료의 반복 소성을 나타내는 구성식으로서 Chaboche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이 모델의 적용을 위하여 ABAQUS의 사용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열천이 과정이 반복되는 동안에 축방향의 온도분포 이동에 따른 탄소성 해석을 수행한 결과 소성변형이 각 싸이클마다 누적되어 점진적 변형이 일어났으며 이 해석결과를 시험치와 비교함으로써 해석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반복 소성거동에 대한 Chaboche 모델을 이용하면 천이 열하중을 받는 304 SS. 재질의 고온구조물에 대하여 라체팅 거동을 정량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ase Study on Controlled Explosive Demolition of Steel Frame Structure Using Charge Containers (장약용기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발파해체 사례)

  • Park, Hoon;Nam, Sung-Woo;Suk, Chul-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1-9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노후화된 화력발전소를 해체하고 원래의 자연환경으로 복원하는 공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화력발전소 내 대형 철골구조물 중 하나인 터빈동을 발파해체공법을 적용하여 해체한 사례이다. 두께 30mm의 철골 부재를 절단하기 위해 금속제트가 발생되는 전용 장약용기를 제작하였으며, 철골 부재의 두께가 30mm 이상인 일부 철골 부재의 경우에는 가우징을 이용하여 사전취약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물 내부에 있는 일부 철골 부재에 대해 kicker charge를 사용하여 붕괴거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발파에 사용한 전체 장약량은 175kg, 전자뇌관 165개, 장약용기 124개를 사용하여 계획된 방향으로 점진붕괴되었으며, 주변 시설물에 피해 없이 발파해체를 완료하였다.

  • PDF

Factors Causing Slag Inclusion in SMAW (SMAW의 슬래그 혼입에 대한 각종 요인의 영향)

  • 구정서;백승호;김영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2 no.2
    • /
    • pp.29-37
    • /
    • 1984
  • 발전설비를 비롯한 산업설비, 각종 압력용기 및 철구조물 제작시 발생하는 여러가지의 용접불량 중에서 슬래그 혼입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불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여타의 용접법에 비해 SMAW에 의한 슬래그 혼입의 발생이 가장 많으므로 이에 대한 결함 발생의 경향을 조사하고 그 방지대책을 설정하기 위하여 이번 실험을 실시하게 되었다. 수동 용접봉의 피복제 중 가스 발생 원인은 아아크 분위기를 생성하고 기타 부분은 슬래그가 되어 용융금속을 둘러싸서 이것을 보호하면서 용융지로 이행한다. 슬래그는 용융지 내에서 비이드 표면으로 부상하면서 탈산반응이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작용을 한다. 또한 적당한 합금 원소의 보충, 용융금속의 유동성 증가 등에 의하여 양호한 용착금속의 생성을 돕는다. 한편, 슬래그는 고온금속을 덮어 이것을 보호함과 동시에 급냉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슬래그가 응고하는 용착금속 사이에 혼입된다면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슬래그 혼입에 대하여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지대책은 많이 언급되어 있으나 슬래그 혼입의 방지대책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거의 없다. 이번 실험에서는 광범위한 요인의 선제, 싯수의 제안으로 인하여 새로운 슬래그 혼입 기구의 설정이나 특정한 요인의 영향에 대한 정확한 한계치의 설정보다는 각 요인에 대한 정성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