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속성 전도

Search Result 71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nductive low-e filters for PDP using Ti and ITO barriers (Ti와 ITO 보호층을 이용한 PDP용 전도성 저방출 필터의 제작 및 특성)

  • 이장훈;황보창권;이광수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82-83
    • /
    • 2003
  • 일반적인 PDP (Plasma display panel)용 전도성 저방출(low-e) 필터는 유리 기판 위에 굴절률이 높은 금속 산화물 유전체 박막과 Ag와 같은 귀금속 박막이 번갈아 쌓인 [유전체|금속(Ag)|유전체]가 기본 구조인 다층 박막의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Ag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다른 금속보다 작은 흡수를 보이고 전도성이 뛰어나 전자파 차페용 필터의 전도성 박막으로 널리 쓰인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에서 가시광선의 높은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유해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전도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2층 이상의 Ag 박막이 존재하도록 설계되며 유전체 박막과 금속 박막 사이에 1∼2 nm 정도의 매우 얇은 금속 보호 층을 사용한다. (중략)

  • PDF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을 사용하여 제작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

  • Seong, Si-Hyeo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67.1-367.1
    • /
    • 2016
  • 투명 전극은 유기 발광소자, 태양전지, 센서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indium-tin-oxide(ITO)는 현재 다양한 소자의 투명 전극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가격과 유연성이 좋지 않은 ITO 소재를 대체하는 기술로 현재 금속 나노와이어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금속 나노 와이어 투명전극은 높은 전도성, 높은 광학적 투과율, 간단한 공정, 우수한 유연성 및 열 안정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플렉서블 소자에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 기판 제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유기 쌍안정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세척한 PET 기판 위에 금속 나노와이어를 스핀코팅 방법으로 분산하고, 그 위에 금속 나노와이어의 표면 거칠기와 전도성을 증진하기 위해 PEDOT:PSS 층을 스핀코팅하여 플렉서블 투명전극을 제작하였다. 플렉서블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 기판을 하부 전극으로 사용하고, 그 위에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유기물 층을 다시 한번 스핀코팅 방식으로 적층하였다. 마지막으로 알루미늄 상부 전극을 열 증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소자의 전류-전압 측정 결과는 높은 전도도와 낮은 전도도의 차이를 갖는 전기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gNW를 활용한 유연 투명히터 적용 연구

  • An, Won-Min;Jeong, Seong-Hun;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33.1-133.1
    • /
    • 2016
  • 투명히터는 자동차유리 및 헤드램프의 성에 제거, 건축의 단열 및 난방, 의료용, 군사용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플렉서블하고 웨어러블한 투명히터가 연구되고 있다. 투명히터에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 투명전극인 Indium Tin Oxide (ITO)는 높은 투과도와 낮은 면저항을 가지지만 유연성이 좋지 않아 유연한 투명히터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ITO를 대체할 수 있는 CNT, Graphene, AgNW, 전도성 고분자 등의 투명전극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CNT, Grapene, 전도성 고분자는 여전히 전기적 특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차세대 투명전극으로 사용되기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AgNW는 용액공정으로 제조 단가가 비교적 저렴하며, 높은 전기전도 특성을 가지는 투명전극이다. AgNW는 나노와이어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높은 전도성과 광 투과도를 가지지만 $2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손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gNW전극에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여 내열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Reactive Sputter 방식으로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게 되면 산소 분위기에서 AgNW가 산화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AgNW위에 금속 박막을 증착하고 Ion Beam 처리를 통해서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여 AgNW 전극과 유사한 투과도와 저항을 가지면서 $300^{\circ}C$ 까지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내열성을 향상시켰다. 유연한 PES기판 위에 스핀 코팅 방법으로 AgNW를 코팅하였고, Magnetron Sputter로 금속 박막을 형성한 후 Ion Beam 처리를 통해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투명히터를 제작한 결과 유연 기판상 투명히터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전도성 금속잉크의 건조

  • Lee, Jae-Ho;Lee, Gwan-Su;Lee, Se-Heon;Mun, Seung-Jae
    • Journal of the KSME
    • /
    • v.49 no.8
    • /
    • pp.41-44
    • /
    • 2009
  • 전도성 금속잉크 건조의 목적은 용제인 물이나 솔벤트 부분을 증발시켜 다음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단순건조와 더불어 전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큐어링 작업이 포함되는 전자 인쇄회로 작업의 한 공정이다.

  • PDF

Novel Conductive Paste based on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전도성 체이스트의 개발)

  • Kim, T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1 no.2
    • /
    • pp.171-177
    • /
    • 2007
  • Polymer-based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s have been used to make the conductive paths between voltage sources and devices. The pastes used for these applications consist of two main components: a polymer binder and a conductive filler. Having both low viscosity and good metal-encapsulating properties, 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 was regarded to be a good candidate as a binder for the conductive paste. We have prepared a formulation for a novel conductive paste based on CAB. Preliminary studies showed that this conductive paste revealed stable conductivity, together with uniform coating and flexibility.

Study 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 Polysiloxane/Metal Composite Containing Metal Oxide (금속산화물을 포함한 변성폴리실록산/금속 복합체의 전기 전도성 연구)

  • Im, Hyungu;Kim, Jooheo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0 no.3
    • /
    • pp.307-312
    • /
    • 2009
  • The block-co-polymer type thermosetting polysiloxane coordinated with metal oxide was synthesiz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al oxide on the dispersity of metal powder in the polysiloxane/metal composite material. The metal powder in the polysiloxane/metal composite materials is better dispersed with metal oxide complex polysiloxane than the case without metal oxide. To understand the effect of quantities of metal oxide on the polysiloxane chain, the various polysiloxanes with different ratios of block unit were synthesized. Electrical conductivity was interpreted by percolation threshold theory to understand the dispersity of dense composite. The behavior of conductivity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oretical value. The critical value was decreased as the quantities of metal oxide are increased. As a result, as the metal oxide increased on the polymer chain, the dispersity of metal filler was increased.

A Study for the Increased Reliability of Al-1%Si Thin Film Metallizations (Al-1%Si 박막 금속화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연구)

  • 최재승;김진영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 no.3
    • /
    • pp.382-388
    • /
    • 1992
  • Electromigration은 인가된 전계하에서 발생하는 전자풍력에 의한 금속 이온의 현 상이며, 반도체 디바이스의 주요 결함 원인으로 보고되어 왔다. 선폭 1$mu extrm{m}$의 Al-1%Si 금속 박막전도체에 대한 electromigration 수명 실험을 위해 인가된 d.c. 전류밀도는 10MA/cm2 이었고, electromigration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 측정을 위한 분위기 온도는 $80^{\circ}C$, 10$0^{\circ}C$ 그리고 $120^{\circ}C$이었다. 평균수명 및 신뢰성에 대한 보호 절연막 효과를 위해 두께 3000 $\AA$의 SiO2 산화막을 sputtering 진공증착기를 사용하여 Al-1%Si 금속 박막 전도체 위에 증착하였 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1%Si 금속 박막 전도체의 electromigration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값은 0.75eV이었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Al-1%Si의 수명은 감소하였고 신 뢰성은 향상되었다. SiO2 보호막은 electromigration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함으로써 평균수 명을 향상시켰으며, electromigration failure는 lognormal failure distribution은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모의 금속전환체 U-1wt%Nb 합금의 공기중 산화거동

  • 이은표;주준식;유길성;조일제;국동학;김호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355-355
    • /
    • 2004
  • 사용후핵연료 금속전환체는 세라믹형 사용후핵연료를 리튬용융염으로 금속전환하여 생성한 우라늄금속으로 상온에서도 표면산화가 진행될 정도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다. 이에 대한 저장 안정성 향상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금속전환체의 주성분인 금속우라늄과 산화 안정화물질인 Nb을 첨가한 모의 금속전환체 합금을 제작하여 $200^{\circ}C~300^{\circ}C$ 온도구간에서 열중량분석기(TGA)를 이용해 순수 산소분위기로 산화시험을 수행하였다.(중략)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onductivity metal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전기방사에 의한 전도성 금속나노섬유 제조 및 특성 연구)

  • Won, Mi-So;Lee, Ju-Yeol;Choe, Seung-M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05a
    • /
    • pp.130-130
    • /
    • 2015
  • 최근 산업에서 나노섬유의 관심이 많아져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나노섬유 제조는 간단한 공정으로 다양한 두께를 가진 긴 섬유를 만들 수 있다. 특히 금속 나노섬유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폴리머를 이용하여 방사 용액을 만들어 전기 방사 조건을 도출 할 수 있었다. metal precursor wt.%를 조절하여 100nm 이하의 전도성 금속 나노섬유를 만들었다.

  • PD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TiN 박막을 증착한 도전성 섬유

  • Jang, Jin-Hyeok;Mun, Seon-U;Kim, Gyeong-Hun;Kim, Seong-Min;Lee, Seung-Min;Kim, Jeong-Su;Han, Se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168-168
    • /
    • 2013
  • 도전성 섬유(Conductive textile)는 섬유자체의 고유 특성을 유지하면서 전기적인 도전 특성을 갖는 섬유로서, Cu, Ag, Ni 등의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 박막을 증착하여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은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쉽게 산화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용 중에 산화되어 도전 특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TiN은 금속 못지않은 높은 전기전도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에 비하여 높은 경도에 따른 우수한 내마모 특성, 내부식성 및 낮은 마찰계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TiN은 경도가 높기 때문에 섬유의 고유 특성인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면(Cotton), PE (Polyester), PP (Polypropylene) 등의 섬유 위에 TiN 박막을 증착하여, 섬유의 유연성을 유지하며 전기전도성과 내마모 특성이 우수한 도전성 섬유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TiN 박막 증착을 위하여 ICP-assisted pulsed-DC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Ar:N2 유량비(Flow rate), Ti 타겟 power, ICP RF power 등을 변화시켜 Ti와 N의 조성비를 조절하였고, 이를 통하여 섬유의 휨이나 접힘에도 도전 특성이 변하지 않고 내마모 특성이 우수한 TiN 박막을 증착하였다. TiN 박막이 증착된 섬유의 전기전도도는 일정한 압력 하에 전기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하여 측정하였으며, 표면 조성 분포 및 접합력 측정을 위하여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와 Peel-tester를 이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