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문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f Bronze Epigraphy of ShuoWen's Scholar in the Qing Dynasty (청대(淸代) 설문학자(說文學者)의 금문(金文) 연구 - 금문(金文)에 대한 단옥재(段玉裁)의 학술적 관점을 위주로)

  • Oh, Jae Joong
    • Cross-Cultural Studies
    • /
    • v.31
    • /
    • pp.217-240
    • /
    • 2013
  • The Chinese Bronze Epigraphy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Ancient Bronze, which is excavated from the ground and it is also related to Archeology and Historical Science as well. From the Han dynasty, to the Song dynasty and to the Qing dynasty. Chinese Graphonomy had a splendid development. Including ShuoWenJieZi in the Chinese Graphonomy and the study of Bronze got a shining improvement. ShuoWenJieZi as a key for deciphering ancient Chinese characters. With constant reference to the ShuoWenJieZi, Qing scholars pioneered the earliest large scale interpretations of bronze inscriptions. Several Qing Dynasty ShuoWen scholars such as a WangYun and DuanYuCai have made research in the Bronze Epigraphy.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figure out whether there is any relevance between the traditional study of Epigraphy and the Qing dynasty's.

A Study of relation between transition of lexicon and Bronze Epigraphy (자서(字書)의 변천과 금문학(金文學)의 관계 비교 분석)

  • Oh, Jae Joong
    • Cross-Cultural Studies
    • /
    • v.23
    • /
    • pp.383-41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the Chinese Bronze Epigraphy has developed and how it has influenced the Chinese Academic field. The Chinese Bronze Epigraphy started from the Han dynasty, however it didn't reach the professional academic stage. After the Song Dynasty it started to be studied in full scal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see that the start of the study of bronze was from the Song dynasty. In the Qing Dynasty, the study in Epigraphy was extended on again. ShuoWenJieZi that was written by XuShen in the Han Dynasty. KaoGuTuShiWen that was written by $L{\check{u}}DaLin$ in the Song Dynasty. ShuoWenGuZhouBu that was written by WuDaCheng in the Qing Dynasty. JinWenBian that was written by RongGeng in the Republican era.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nts of ShuoWenGuZhouBu and JinWenBian and then synthetically compares and analyzes th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cannot be denied that ShuoWenJieZi and KaoGuTuShiWen significantly affected the birth of ShuoWenGuZhouBu and JinWenBian.

National brand development research strategy us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국가 브랜드 연구 개발 전략 - 금문(錦紋)을 중심으로 -)

  • KIM, Mihy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4 no.4
    • /
    • pp.232-245
    • /
    • 2021
  • The present study is about a brand development strategy that utilizes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 global culturenomics phenomenon confirms the value of the cultural aspects of design when a national brand is established. People succeed with their unique aesthetic sense and reinterpret it in a modern view, and this design acts as today's national brands. In this way, people used traditional patterns and original designs, along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style, in developing their designs. However, due to recent changes in the global environment, modern people live in an "untact" world, and consumption culture shifted toward online marketing. In this environment, where one is isolated from social activities, there needs to be a strong image that can dramatically change the mood of one's home. I would like to re-examine the Dan-Chung pattern, whose painting depends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to protect the wooden members of the framework i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pattern and color of Dan-Chung, coated in traditional architecture, differs by the type of construction used, which includes a palace, a Buddhist temple, and a Confucianism Dan Chung. The Geummoon pattern contains aesthetic factors to add solemnity to the Main Buddhist Halls, which contain Buddha. This is a new medium that continues the current traditions instead of remaining in the past. Among different Dan Chung patterns, Geummoon has magnificent decoration consisting of the highest grade materials and unique composition; therefore, it is suitable to be reinterpreted in modern terms. The same pattern can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with different colors, so there is a great aesthetic impression in the Geummoon pattern. The value of preservation for exploration and theoretical study of the traditional pattern is important, but recreating the pattern into modern formative art can present a new angle of view and national brand, bearing pride in our cultural assets. The study used multidimensional molding methods for realistic presentation after going through the two-dimensional design process. The significant value of Korean molding beauty which hangs onto the past will play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our national brand.

River Flow Forecasting using Satellite-based Product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 over the Ungauged River Flow in Korean Peninsula, Imjin River: Using MODIS, ASCAT, and SDS dataset (위성 데이터 및 기계 학습 기법을 활용한 한반도 임진강 미계측 지역 유출량 예측: MODIS, ASCAT, SDS 데이터를 활용하여)

  • Choi, Min Ha;Kim, Hyung Lok;Li, Li;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9-159
    • /
    • 2016
  • 북한 지역에서 시작되어 한반도의 금문댐까지 연결되는 임진강은 북한지역의 유출량 미계측으로 인해 유출량 산출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의 유출량을 추정 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Satellite-derived Flow Signal (SDF)는 위성 기반 특정 지역의 유출 정보를 제공하며, JAXA의 GCOM-W1 위성에 탑재된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2(AMSR2) 센서에서 산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SDS 뿐 아니라 유출에 크게 관련이 있는 지표 토양수분 데이터와 식생인자를 임진강 유출 값을 예측하기 위한 입력 값으로 활용하였다. 토양수분 데이터는 Metop-A 위성에 탑재된 Advanced Scatterometer(ASCAT) 센서에서 산출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식생데이터는 Aqua 위성에 탑재된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센서에서 측정되는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추가적으로 SDS, 토양수분, NDVI 데이터는 다양한 lag time으로 약 150여개의 입력데이터로 세분화되었다. 150개의 방대한 입력인자는 Partial Mutual Information(PMI) 방법을 통해 소수 중요 인자들로 간추려져 기계 학습 입력인자로 활용되었다. 기계학습에 있어서는 Support Vector Machine(SVM),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기법을 활용하였다. SVM, ANN을 통해 모델화된 유출데이터는 금문댐 유출데이터와 비교/분석되었다. SVM 기법 기반의 유출량은 실제 유출량과 0.73의 상관계수를 보여주었고, ANN 기법 기반의 유출량은 0.66의 상관계수를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SVM 기반 유출데이터는 과소 산정 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ANN 기법 기반의 유출량은 과대산정되는 결과가 산출되는 한계점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High Power Density and Low Cost Photovoltaic Power Conditioning System with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장치를 갖는 고 전력밀도 및 저가격형 태양광 인버터 시스템)

  • Keum, Moon-Hwan;Jang, Du-Hee;Hong, Sung-Soo;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53-25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고 전력밀도 및 저가형으로 구성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계통 연계형 태양광 인버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태양전지의 최대 전력점 추종기능과 배터리의 충 방전 기능을 단일 전력단으로 구성함으로써, 고 전력밀도 및 저가격형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제안 시스템은 배터리를 링크 캐패시터에 직렬 연결함으로써 링크 캐패시터의 전압 스트레스를 배터리 전압만큼 저감할 수 있으므로 가격저감 효과가 크다. 최종적으로 제안 시스템의 우수성과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1.5kW급 태양광 인버터 시스템의 시작품을 제작하였고, 이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제안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Small-signal Model of Three-Phase Voltage Source Converter (3상 Voltage Source Converter의 소신호 모델에 관한 연구)

  • Keum, Moon-Hwan;Kim, Hwan-Yong;Hong, Sung-Soo;Han, Sang-Kyoo;Roh, Ch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412-413
    • /
    • 2010
  • Voltage Source Converter(VSC)는 입력전류와 전압을 동상의 정현파로 제어할 수 있고, 전압을 승압하여 일정한 DC전압을 만들 수 있으며, 양방향 제어가 가능하다. 본 논문은 3상 VSC를 동기회전좌표계로 변환하여 등가회로로 모델링하고, VSC의 제어기와 소신호 등가모델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회로해석과 소신호 등가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어기를 설계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 PDF

Animation review- 인생이라는 여행의 종착지‘길’

  • Sin, Seon-Ja
    • Digital Contents
    • /
    • no.7 s.134
    • /
    • pp.102-105
    • /
    • 2004
  • 국내 애니메이터들에게 희망을 불어넣어줄 낭보가 잇따라 터지고 있다. ‘오세암’이 세계적인 권위의 국제페스티벌에서 영예의 그랑프리를 수상했고, 국내 단편 애니메이션들의 잇달은 수상 소식도 쏟아지고 있다. 정민영 감독의 단편 애니메이션‘길’도 이러한 국내 애니메이션 업계에 빛을 전해주고 있는 작품중 하나. '길'은 지난 4월 30일(한국시각) 폐막한 제47회 샌프란시스코 국제영화제(San Francisco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금문상(GOLDEN GATE AWARDS)을 수상했고, 지난 5월 6일부터 9일까지 4일간 열린 2004년 부산아시아단편영화제에서 교보상을 수상했다. 러닝타임 14분 45초인‘길’은 일반적인 모션 애니메이션이 아닌 편안한 질감의 인형으로 표현된 클레이 애니메이션으로 독창성이 뛰어나고 탄력적 상상력을 지녔다고 평가된다. 정해진 인생길에 순응해가며 살 수밖에 없는 나약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길’을 만나본다.

  • PDF

Variable-output smart adapter capable of load identification (부하인식이 가능한 가변 출력 스마트 아답타)

  • Hwang, Won-sun;Keum, Moon-hwan;Roh, Young-seung;Oh, Dong-sung;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188-18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부하인식이 가능한 가변 출력 스마트 아답타를 제안한다. 제안 회로는 다양한 정격 사양의 디바이스를 하나의 아답타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회로이다. 제안 방식은 부하 시스템이 연결되면, 그에 상응하는 출력 사양을 인식 후 부하가 요구하는 출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또한 별도의 추가 라인 개설 없이 기존 전력 라인만을 이용하여 시스템 인식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3가지 경우의 정격 사양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안 방식의 동작 및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Electronic ballast compatible LED driver (전자식 안정기 호환형 LED 구동회로)

  • Keum, Moon-Hwan;Jang, Doo-hee;Oh, Dong-sung;Kang, Jeong-il;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230-231
    • /
    • 2013
  • 본 논문은 형광등 안정기를 LED 조명으로 호환하기 위한 전자식 안정기 호환형 LED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제안 방식은 기존의 전자식 안정기인 LCC 공진형 인버터에 트랜스포머와 정류단의 추가해 LLCC의 공진형 컨터버로 동작시키고 해석을 한다. 회로의 특성을 분석하면 트랜스포머의 턴비와 자화 인덕턴스의 설계로 최대 전력점의 가변 및 최대전력, 링크전압의 최적 설계가 가능하다. 이론적 해석의 검증을 위하여 27W급 시작품을 제작하고 전자식 안정기와 동작하여 안정기와의 호환성 검증 및 설계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 PDF

Load current prediction algorithm for Primary Side Regulator (PSR) (Primary Side Regulator의 부하 전류 예측 알고리즘)

  • Suh, Dong-Hyun;Keum, Moon-Hwan;Choi, Yoon;Oh, Dong-Seong;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319-32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PSR(Primary Side Regulator)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부하 전류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부하 전류 예측 방식은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및 BCM(Boundary Conduction Mode) 동작만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안된 방식은 Power Balance Rule을 적용한 간단한 알고리즘을 통해 CCM(Continuous Conduction Mode) 동작에서도 정확한 부하 전류 예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높은 출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고효율 달성에 유리하고, CC(Constant Current) 제어가 우수하다. 제안 알고리즘의 우수성과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12W급 플라이백 컨버터의 시작품을 제작하였고, 이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성을 확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