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리변화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ffect of the Spread on Housing Mortgage Loans (가산금리가 주택담보대출에 미치는 영향)

  • Kim, Woo Seok
    • Korea Real Estate Review
    • /
    • v.28 no.4
    • /
    • pp.75-8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pread on housing mortgage loan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how the spread has a decisive effect on housing mortgage loans when a structural change occurs in the spread. For the sake of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tilizes the housing mortgage loan, housing mortgage loan interest rate, COFIX interest rate, and spread. The period of analysis is from December 2010 to December 2017.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ructural change in the spread and housing mortgage loans (May and June 2015, respectively). It is estimated that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spread has an influence on the structural change in housing mortgage loans.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spread on housing mortgage loans is larger than the effect of the COFIX interest rate and the housing mortgage loan interest rate. This indicates that the adjustment of the spread is a significant burden on housing mortgage loans. As economic uncertaintie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re increasing, pressure on interest rate hikes is also increasing.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interest rate hikes will be inevitable in the future. If the base interest rate and the spread increase simultaneously at Korea's current economic level, it will obviously lead to an economic recession as the burden on the repayment of principal and interest of housing mortgage loans will increas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financial authorities prepare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order to protect financial consumers by preventing arbitrary calculation of the spread, which would not be objective and would not be transparent from the banks.

금리자율화(金利自律化)와 은행위험(銀行危險) : 규제완화(規制緩和)의 재무정보효과(財務情報效果) 분석(分析)

  • Lee, Myeong-Cheol;Lee, Yong-H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2 no.1
    • /
    • pp.129-143
    • /
    • 1995
  • 우리 나라의 금융기관들은 금융환경(金融環境)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일대 전환기를 맞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금리자유화를 비롯한 금융자율화(金融自律化)의 추진, 금융산업의 개편 등의 금융구조 조정이 진행되고 있고, 대외적으로는 국내금융시장에 대한 개방압력(開放壓力)이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目的)은 이상의 다양한 금융환경의 변화 중에서 1991년과 1993년에 실시된 1,2단계 금리자유화조치가 은행의 경영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증권시장(證券市場)의 반응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예상과 같이 금리자유화로 인하여 은행의 위험이 증가하였는지 아니면 금리자유화가 은행의 자금조달과 운용에 있어서 자율성과 유연성을 확보해 주어서 오히려 은행위험을 감소시켰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주가자료를 이용하는 증권시장의 반응을 통한 은행위험의 분석은 은행에 관련된 재무정보를 신속하고 충분히 반영하는 효율적 시장이며 회계자료를 이용하여 은행위험을 추정하는 방법이 부적절하다는 가정하에서 합리화된다. 은행 위험은 은행감독 당국의 관심대상인 총위험과 은행주식 투자자의 관심대상인 체계적 위험의 두요소를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증권시장반응을 통한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금리자유화조치 이후 은행의 위험은 예상과는 달리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총위험은 증가하지 않았으며 체계적 위험은 오히려 2차 금리자유화 이후 하락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는 금리자유화 조치가 은행의 자금조달과 운영에 있어서 운신의 폭을 넓혀줌으로써 금리 변동폭 증대로 인한 위험증가를 상쇄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의 금리자유화조치에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위험은 개별은행의 재무특성에 따라서 상이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특히 자산규모가 작은 후발은행의 경우 자금조달과 운영의 측면에서의 제한이 완화됨으로써 위험이 감소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부당국자는 금리자유화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금리자유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국내외 자본시장 통합도 분석

  • Kim, Jun-I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2 no.1_2
    • /
    • pp.363-417
    • /
    • 2000
  • 우리 경제는 외환위기를 계기로 단기금융시장을 포함한 국내 자본시장이 전면 개방된 동시에 외환거래 역시 대폭 자유화됨에 따라 실물부문은 물론 금융부문에 있어서도 완전한 개방경제체제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전면적인 자본시장 개방은 국내외 자본시장의 통합을 촉진하는 동시에 환율, 금리, 물가 등 거시 금융변수간의 상충관계(trade-off)에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거시경제정책 환경도 크게 변호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금리 및 주가간의 동조화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자본시장 개방에 따른 국내외 자본시장 통합 효과를 살펴본 후, 자본시장 개방이 환율변동패턴의 통계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외환위기를 계기로 국내 자본시장이 제도적으로 완전 개방된 점을 고려하여 위기 이전과 이후에 자본시장 통합도와 환율 변동패턴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금리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외환위기 이후 금리재정거래(金利裁定去來)(interest parity)가 국내금리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주가에 대한 실증분석의 경우에도 미국과 국내주가 간의 동조화 현상이 외환위기 이후 심화되고 있으며, 국내 주식시장이 효율적 시장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환율의 경우에도 외환위기 이후 환율변동패턴에 임의보행(random walk)적 특성이 보다 강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외환시장의 효율성이 제고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Interest Rates Forecasting System Using the SAS/ETS (SAS/ETS를 이용한 금리예측시스템의 구축)

  • Lee, Jeong-Hyeong;Chu, Min-Jeong;Cho, Sin-Sup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0 no.2
    • /
    • pp.485-500
    • /
    • 1999
  • The systematic forecast of interest rates with liberalization was on the rise to important problems in the money market. Lib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he money market produced a seriously change as a compatition among the money market. Profits of an organ of monetary circulation are, also, definitively influenced by a change of interest rates. Hence most of the organ of monetary circulation studied to a scientific and systematic analysis for deterministic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interest rates and progress development of a forecasting model of interest rates. In this paper, we develope the forecasting system which has highly forecasting performance based on a number of time series models for interest rates and discuss practical use of this system.

  • PDF

Relationship Changes of Financial Markets with Financial Development (금융시장 발전에 따른 금융변수간의 관계변화)

  • Chang, Byoung-Ky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1 no.2
    • /
    • pp.153-181
    • /
    • 2004
  •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relationship among financial markets changed according to financial development. For this stud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nalytic methods incorporated structural breaks such as Zivot and Andrews'(1992) unit root test Gregory and Hansen's(1996a,b) cointegration test, etc. In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 and interest rate was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after the structural break(Oct 1999). It may b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asset substitutability between stock and bond was increased since stock investment became populariz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 and exchange rate was reinforced after the structural break(the foreign currency crisis). Also,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rate and exchange rate was strengthened after the structural break(Oct. 1999).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Macroeconomic Factors in the Health Care Industry Stock Markets (거시경제요인이 보건의료산업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Sang-Goo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4 no.4
    • /
    • pp.67-8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s factor on the macroeconomic variables for the healthcare industry market. First, the government bond interest rates and the exchange rate is the cause variable of drug industry index. Drug industry index is a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Call interest rate. Second, the medical equipment index haver mutual cause variable such as call rate index, government bond interest rates, and exchange rate. A current account balance variable is the cause variable of drug industry index. Third, the drug industry index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 Call interest rate and an exchange rate. but i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 government bond interest rates. the medical equipment index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 exchange rate. but i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 government bond interest rates.

  • PDF

The Effect of Foreign Bond Yield Shock on Corporate Bond Credit Spread: Evidence form Korean Market (해외금리 충격과 회사채 신용위험의 관계: 국내시장 분석)

  • Song, HyuckJun;Lee, Jong-Ryo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7 no.4
    • /
    • pp.139-150
    • /
    • 2017
  • Open economy tightly works with foreign econom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shock of foreign bond yield on the credit spreads of domestic corporate bonds in Korea. Foreign bond is referred to as US treasury bond. Credit spreads are defin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log yields of domestic corporate bonds and log yield of Korea treasury bond. With the data of monthly three-year AA- and BBB- corporate bond yields- ratings, monthly three-year Korean treasury bond yields, monthly US dollar foreign exchange rates, and monthly three-year US Treasury bond yields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00 to September 2014 including global financial crisis period, the paper documents the results as follow. First of all, the yield of Korean treasury and the credit spreads are very sensitive to the increase in the level and the volatility of the yield of the US treasury bond. Changes in the level and the volatility little affect the change of the exchange rate. Second, the change in the level and the volatility negatively affect the level of Korean treasury bond yields but lead to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Korean treasury bond yields at the same time. Third, there exist time lags of the increases of credit spreads by the increase in the level and the volatility. These imply that credit spreads and bond yields are very sensitive to the change in the yields of foreign bonds such as US treasury bond.

인구구조변화(人口構造變化)의 거시경제적(巨視經濟的) 효과(效果)

  • Kim, Jun-Il;Lee, Yeong-Seop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1
    • /
    • pp.93-117
    • /
    • 1994
  • 이론적으로, 국가경제에 있어서 인구구조(人口構造)의 변화(變化)는 인적자본(人的資本) 형성 및 노동공급(勞動供給), 각 주체들의 소비(消費) 저축행위(貯蓄行爲) 등의 장기적(長期的) 추세(趨勢)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연령별(年齡別) 인구구조 변화가 거시경제변수인 가계소비(家計消費), 금리(金利) 및 경상수지(經常收支)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론적(理論的)인 모형(模型) 제시(提示)와 함께 실증분석(實證分析)을 시도하였다. 이론적 모형에서는 인구구조 변화와 이러한 거시경제변수들간의 관계를 평생소득가설(平生所得假說)에 의거하여 설정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실제로 인구구조 변화의 거시경제적 효과가 통계적(統計的)으로 유의성(有意性)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가계소비와 경상수지의 경우, 장년층인구(壯年層人口)의 상대적(相對的) 증가(增加)는 경제전체의 평균소비성향(平均消費性向)을 낮추고 경상수지(經常收支)를 개선(改善)하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어 평생소득가설에 잘 부합하고 있는 반면, 금리(金利)의 경우에는 장년층인구 증가가 금리를 상승(上昇)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어 평생소득가설에 상반(相反)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 PDF

The Long-Run Demand for Monetary Indicator M2 and Liquidity Indicator L - Case in Korea - (한국의 광의통화(M2)와 광의유동성(L)에 대한 화폐수요의 장기적 안정성 검정)

  • Kim, Joung-Gu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2 no.3
    • /
    • pp.171-194
    • /
    • 2008
  • This paper analysis the long-run demand for monetary indicator M2 and Liquidity indicator L in Korea in the period from 1980:1 to 2006:3 by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s. The empirical evidence that M2, L in Korea is meaningfully cointegrated with income, interest rate, exchange rate, inflation uncertainty,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exchange rate uncertainty and LIBOR, thus showing the existence of long-run demand function under open-economy framework.

1980년대 이후(以後)의 자본자유화(資本自由化)에 대한 국별비교평가(國別比較評價)

  • Jwa, Seung-Hu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7 no.1
    • /
    • pp.107-126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자본거래자유화정도를 명목상의 규제완화여부에 의해 판별하는 종래의 접근방법(接近方法)에서 벗어나, 형식적(形式的) 규제여부(規制與否)에 관계없이 자본거래(資本去來)가 실질적으로 경제적(經濟的) 유인(誘引)에 따라 얼마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측정함으로써 자본거래자유화정도(資本去來自由化程度)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모두 5가지 접근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그 첫째는, 총대외무역량대비 자본거래량비중으로서 자본거래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면 자본거래자유화정도가 높다고 본다. 둘째는, 환율절하기대를 감안한 국내외실질 금리차로서 대내외자본거래(對內外資本去來)가 자유로울수록 국내외금리차(國內外金利差)는 낮아질 것이기 때문에, 동 금리차가 낮을수록 자본자유화정도가 높다고 본다. 동 지수로서는 통화선물시장의 존재 여부에 따라 위험포함 및 불포함 대내외금리차를 사용할 수 있다. 셋째로는, 다소 복잡한 계량경제학적 방법을 통해 국내외실질금리간의 연계관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두번째 방법의 개선에 해당된다. 그리고 넷째로는, 셋째번 방법에 의한 연계관계를 시간변동지수로 전환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본자유화정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자본거래를 위험자산의 국제교역관계(國際交易關係)로 파악하여, 무역에 있어서의 산업내교역지수측정방법을 자본거래에 적용하여 자본거래총유출입지수를 측정하였다. 동 지수는 저축투자갭의 보정적(補正的) 거래차원을 넘어 위험자산거래 자체를 위한 자본거래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순수하게 자본거래 자체의 메커니즘에 의해 자생적으로 일어나는 자본거래의 활성화정도에 대한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방법들을 주로 한국(韓國), 일본(日本), 대만(臺灣) 등에 적용해서 평가한 결과 한국의 자본거래자유화정도(資本去來自由化程度)는 일본에 비해서는 낮지만 대만에 비해서는 높으며, 특히 90년대 들어 크게 향상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