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글이해

검색결과 595건 처리시간 0.033초

이중언어능력의 조선족 아동과 청소년의 한글, 한자, 한글.한자혼합문 형태의 덩이글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ehension of Texts with Korean Hangul, Chinese Hanja and Hangul.Hanja among Korean-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s)

  • 윤혜경;박혜원;권오식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28
    • /
    • 2009
  •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of texts written either in Korean script (Hangul) or Chinese script (Hanja). For this purpose, we measured the reading time and the correct response in text comprehension tasks with 104 Korean-Chinese children who were either 10 or 19 years old. There was a main effect of script : The reading time of Hanja texts was shorter than that of Hangul or Hangul Hanja mixed texts. But the older subjects who spent the same reading time in both Hangul and Hanja texts showed the longer reading time in Hangul Hanja mixed texts revealing the interaction between age and script. The correct response rate on the comprehension task was the highest in Hangul tex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independent dual language processing systems in Korean-Chinese.

  • PDF

문장 및 단어 중요도를 통한 한국어 문서 연관 이미지 검색 (Relevant Image Retrieval of Korean Documents based on Sentence and Word Importance)

  • 김남규;강신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3-48
    • /
    • 2019
  •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글에서 알지 못하는 단어가 나온다면, 글을 읽는 도중 집중이 되지 않고 내용을 이해함에 있어 어려움이 생긴다. 또한 이미 알고 있는 단어라도 아이들의 경우 경험이 적기 때문에 글에서 상황을 묘사하는 표현이 생소하거나 애매하다면 머릿속에 떠올리기 힘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글을 이해를 돕고 독자의 흥미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글의 텍스트들을 분석하여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선택하고, 이 내용과 가장 관련 있는 이미지를 웹에서 자동으로 가져와 연결하여 보여주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시스템의 구현은 글을 문단 단위로 나누어 글을 분석하고, 문단마다 중요한 문장을 선택한 후, 중요한 문장 내에서 이 문장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단어들을 선택하여 웹에서 연관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미지 결과를 이전에 나눈 각 문단마다 연결시켜준다. 실험으로 글에서 중요한 문장을 선택하는 방법과 문장 내 중요한 단어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험한 결과, 선택된 이미지 3개와 해당 중요 문장과의 연관 여부를 정확률로 평가하였을 때 60%의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글의 응집성을 포착하기 위한 개연규칙 (Abductive Rules for Text Cohesion)

  • 김곤;양재군;김민찬;배재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517-52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글의 응집성을 포착하기 위하여 개연규칙을 활용한다. 개연규칙은 문장 구성성분들의 문장간 개연적 연결상황을 나타내고, 글의 인과 성향이나 담화작용을 반영한다. 글을 이해하기 위한 대표적인 속성에는 글에 긴밀성을 부여하는 응집성이 있다. 글의 응집성을 파악하기 위한 대표적인 언어학적 도구나 지식으로는 어휘사슬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예문의 어휘사슬을 개연규칙으로 찾아낸 개연사슬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중요도가 높은 어휘사슬과 대응하는 개연사슬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개연사슬은 종래의 어휘사슬의 기능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줄거리 단위, 단서구 용법, 문장사이의 개연성 등을 감지하여 문장간의 의미적 연관성을 포착할 수 있다. 이는 개연규칙을 활용하여 글의 화제문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전방십자인대의 이중다발 재건술의 이해

  • 왕준호
    • 기계저널
    • /
    • 제50권2호
    • /
    • pp.36-41
    • /
    • 2010
  • 이 글에서는 정형외과 영역의 슬관절에 가장 중요한 구조물의 하나인 전방십자인대에 관한 해부학과 생역학을 이중다발재건술 측면에 대하여 소개하여 공학적인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DF

DDC의 새로운 이해(3): 분류작업의 실제

  • 오동근
    • 도서관문화
    • /
    • 제39권3호통권310호
    • /
    • pp.35-47
    • /
    • 1998
  • 이 글은 DDC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지 '98년 1,2월호 및 3,4월호에 이어 세번째 게재되는 것이다. 이번 호에서는 DDC 제 21판을 활용한 분류작업의 실제에서 고려해야 할 일반적인 사항들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 편집자주

  • PDF

손상역학의 소개

  • 박대효;김기두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2호
    • /
    • pp.36-39
    • /
    • 1998
  • 국내의 피로파괴(fatigue fracture)나 파괴역학(fracture mechanics)과 같은 분야는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손상역학(damage mechanics)분야의 발전은 미흡하여 이 분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손상역학의 역사적 배경, 용어의 정의, 현재의 연구동향, 손상역학의 적용 및 한계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전문학술적인 내용은 피하였으며 손상역학 분야에 관심이 있는 이들을 위하여 이 글에서 인용된 저자들의 대표적인 문헌들을 중심으로 간략히 소개하였다.

  • PDF

MAP : 공장자동화를 위한 네트웍의 표준 (MAP : Standard of Communication Network for Factory Automation)

  • 홍승호
    • 기계저널
    • /
    • 제35권5호
    • /
    • pp.427-441
    • /
    • 1995
  • 이 글에서는 MAP 변천과정과 구조 및 특성 그리고 현황 및 전망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MAP 기술은 고도의 첨단 기술을 요구하는 분야가 아니고 또한 선진국에서도 시작 단계에 있는 분야 이므로 국내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 분야를 육성한다면 선진국과 대등한 관계를 가지고 경쟁을 벌일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을 통하여 많은 사람들이 MAP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기를 희망하며,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MAP에 관심을 기울여 주기를 바라는 바이다.

  • PDF

건축물의 내진설계를 위한 구조동력학-제 1부:단자유도 구조물의 지진해석과 응답스펙트럼

  • 이동근
    • 건축구조
    • /
    • 제13권1호
    • /
    • pp.46-58
    • /
    • 2006
  • 구조동력학 이론에 기초하여 내진설계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건축물의 내진설계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조동력학의 여러 가지 이론들을 먼저 알고 이들이 내진설계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 글은 구조기술자 여러분이 건축물의 내진설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3부로연재될예정이다. 제1부: 응답스펙트럼과구조물의동적해석 제2부: 등가정적해석법과반응수정계수의배경 제3부: 능력스펙트럼법에의한비탄성해석 제1부에서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지진해석을 통하여 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는 원리와 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지진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응답스펙트럼에 근거하여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는 방법과 다자유도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알아내기 위한 응답 스펙트럼 해석법에 관하여 소개한다. 제2부에서는 구조동력학 이론에 근거하여 등가정적해석법이 유도된 근거와 반응수정계수를 사용하게 되는 배경을 소개하여 구조기술자들이내진설계에좀더확실한이해를할수있도록할것이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비탄성해석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능력스펙트럼법의 배경과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성능점을 찾는 방법과 구조물의 비탄성 지진응답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함으로써 성능에 기초한 내진설계를 위한 기초 이론을 확실히 이해할수있도록할것이다. 구조동력학에 관한 내용을 여기에 상세히 소개하자면 엄청난 분량이 될 것이므로 여기서는 이 글을 읽는 구조기술자들이 구조동력학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구조동력학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지 못한분들은이글을읽기전에먼저구조동력학에관한알기쉬운서적을 먼저 읽도록 추천한다.

  • PDF

한글 전용과 국한 혼용의 언어 심리학적 고찰(I): 읽기 시간, 이해, 기억에서의 차이 (Differences of Reading the Pure Hangul Text and the Hangul Plus Hanja Text in Reading Speed, Comprehension, and Memory)

  • 남기춘;김태훈;이경인;박영찬;서광준;최기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7년도 제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69-476
    • /
    • 1997
  • 본 연구는 한글 전용과 한자 혼용이 글의 이해 속도, 이해 정도, 내용의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한글 전용론과 한자 혼용론은 각각 나름대로의 논리를 가지고 서로 논쟁을 펼쳐왔다. 먼저 한글전용론의 주장을 살펴보면, 한자는 배우기 어렵고 쓰기도 불편해 쉽게 익힐 수 있는 한글을 사용해야 하며, 한자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순 우리말의 발전이 방해를 받고, 글자 생활의 기계화와 출판 문화의 발달에 있어 한자는 이것을 어렵게 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한자혼용론의 주장에 따르면, 한자말은 한자로 적을 때 그 의미의 파악이 빠르고 정확하고, 우리말 어휘의 절반 이상을 한자어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한자를 가르치는 것이 국어교육의 지름길이고, 우리말에는 동음이의어가 많아서 한글로만 적을 경우 그 뜻을 식별하기 어렵고, 한자는 각 글자가 모두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각을 조합하여 새로운 의미의 단어를 쉽게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한글로 쓸 경우 길게 쓰여져야만 하는 것을 짧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한자를 쓰지 않으면 우리의 전통 문화를 이어 받을 수 없으며 한자를 공통으로 쓰고 있는 동양문화권에서도 고립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한글전용과 한자혼용에 대한 의견이 다양한 만큼 우리나라의 한자에 대한 정책도 그 갈피를 잡지 못하고 계속 바뀌어 왔다. 독립이후 정부에서는 법령과 훈령 등으로 모든 공문서에서의 한자사용을 금지하고 일반 사회의 문자 생활에도 한글을 전용할 것을 권고하지만 이 지침은 결국 공문서에만 한정되어 왔고 후에는 이것조차도 유명무실해졌다. 또한 중고등학교의 한자교육 정책도 수차례 변화되어 한글만을 배운 세대가 사회에 나와 여전히 한자가 사용되고 있어 적응에 문제점을 가지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계속되어 온 한글과 한잔의 사용에 관한 논쟁을 언어심리학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즉, 글을 읽는 속도, 글의 의미를 얼마나 정확하게 이해했는지, 어느 것이 더 기억에 오래 남는지를 측정하여 어느 쪽의 입장이 옮은 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는 문장을 읽는 시간에서는 한글 전용문인 경우에 월등히 빨랐다. 그러나. 내용에 대한 기억 검사에서는 국한 혼용 조건에서 더 우수하였다. 반면에, 이해력 검사에서는 천장 효과(Ceiling effect)로 두 조건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글의 읽기 속도가 중요한 문서에서는 한글 전용이 좋은 반면에 글의 내용 기억이 강조되는 경우에는 한자를 혼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 PDF

앤서니 브라운 그림책 '고릴라' 의미연구:그레마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Anthony Browne's Picture Book 'Gorilla' : Mainly about the Semiology of A.J. Greimas)

  • 김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6-183
    • /
    • 2010
  • 그림책은 글과 일러스트레이션으로 구성되어 상호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예술형식이다. 그림책에서 글과 일러스트레이션이 전달하는 의미뿐 만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 내는 상징적 의미를 이해한다면 그림책을 보는 즐거움과 가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림책의 글과 일러스트레이션을 불가분의 관계에 놓인 하나의 단위로 보고 기호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그림책 이해에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세계적인 그림책 작가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고릴라'를 기호학자 그레마스(A.J. Greimas)의 의미작용 이론을 통해서 글과 일러스트레이션의 상호보완작용을 이해한다. 또한, 텍스트와 조형표현의 구조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전달되는 이야기를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한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앤서니 브라운의 '고릴라'는 주인공 한나와 아빠의 관계를 단순한 외로움으로 전체 이야기 의미를 해석하였지만, 본 연구를 통해 그 관계에 있어 부성애뿐 만 아니라 이성애가 존재하며 그 갈등의 해소가 주된 관점으로 새롭게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