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글로벌 R&D 협력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Global Collaboration of R&D: A Case of Samsung Electro-Mechanics and UT Dallas (글로벌 R&D협력: Samsung Electro-Mechanics와 UT Dallas대학 사례연구)

  • Suh, Sang-Hyuk;Lee, Sun-Yo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7 no.1
    • /
    • pp.174-194
    • /
    • 2014
  • Collaborative technology development is now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odes of activity in the global scientific community. However,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imultaneously provid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nd the results of global R&D collaboration can be positive or negative as the cooperation conditions of the partie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r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pattern, purpose, and motivation of cooper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risk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operation, more comprehensive as well as micro-level research is needed. This study investigates a case of successful collaborative R&D conducted by several firms,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in both Korea and the U.S.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of successful R&D collaboration.

A Case Study on the Global Technology Cooperation: R&D Collaboration between ETRI and Microsoft ("글로벌 기술협력 성공사례" ETRI와 Microsoft사의 공동연구개발 성공요인분석 - '자기 통제강화형지갑ID시스템개발' 과제를 중심으로 -)

  • Suh, Sang-Hyuk;Lee, Sun-Yo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4
    • /
    • pp.1050-1072
    • /
    • 2011
  • It is well known that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considerably more difficult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interests, level of technology of the partners, social and culture as well as various macro-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cas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uccess factors of international R&D collaboration between two firms. For it, an in-dept interview was conducted to the Etri-Microsoft Information Security Lab. A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ories, such as resource-based theory, network theory, relationship marketing theory and market power perspective was done as well. The results show clear objectives, communications based on trust, core competence on which the counterpart can rely on, consideration on the government decision process as well as the environment are important for success.

  • PDF

국내 우수 연구자의 글로벌 공동연구 활동도 분석 연구 :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 Yu, Hwa-Seon;Kim, Yun-Myeong;Yang, Chi-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67-1188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 등 대외적 R&D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이로 인한 과학기술의 융 복합 및 첨단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신산업분야를 중심으로 국가 간 공동협력이 점차 활발해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연구개발 주체의 연구역량 열위, 연구주체의 폐쇄성, 국가 R&D 제도적 미흡 등으로 인해 국가 간 공동연구 활동도가 매우 미흡한 편이다. 2016년 국가과학 기술혁신역량평가 국제협력 항목에서도 우리나라의 국제협력 항목지수는 0.206으로 2015년(0.182) 대비 0.024p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OECD 30개국 중 16위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협력 상위 3개국에 대한 상대수준에서도 평균 10.3% 수준에 불과하여 국제 공동연구 활동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개선방안 확립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연구에 이어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국제 공동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핵심연구자 간(연구 활동도 상위 5위 이하)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활동도 비교 분석을 통해 정확한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우리나라 연구주체의 연구개발 개방화, 국제 협력 전략적 분야 및 대상 발굴,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등에 대한 발전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국내 및 글로벌 핵심 연구자 간 글로벌 공동연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KDD/KM 방법론을 활용한 공동연구자 분석(Co-author analysis)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동 방법론의 활용을 통해서 신산업 분야 중 가사로봇분야의 상위 10개 국가, 기관, 연구자에 대해 분석하고, 논문 활동도가 높은 글로벌 및 한국의 상위 5위까지의 핵심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자 간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현황 및 활동도에 대한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Korea's Global Science & Technology(S&T) Agenda -A study on Internationalization of Industrial R&D for Korean SME- (한국의 글로벌 과학기술협력 연구 -한국 중소기업의 R&D 국제화 가속방안과 중소기업코디네이터-)

  • Lee, Sang-Yun;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4
    • /
    • pp.693-705
    • /
    • 2012
  • It is increasing the necessity of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nations, in the world, more and more.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technology development have the dissipating effect of costs and risks and encourage efficient use of the knowledge and eventually help the firms better access overseas market easily. The S&T diplomacy of Korea is, at present, on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to secure technologies to strengthen base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This tendenc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governance issue in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And This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is connected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firms. But it is getting more difficult for a firm, especially smaller firm like Korean SME to sustain the technological advantage over any significant period.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s Korean SME, internationalization of R&D is difficult just to think in terms of one framework with the limited accumulation of informations and experiences. So against that situation, this paper shows a new concept 'SME co-ordinator' as the role client(or player) reinforcing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sustaining the technological advantage for Korean SME. And 'SME co-ordinator' leads Korean SME to progress 'open innovation' not 'close innovation' as well as serving adequate information about appropriate partners and capable employer to help manage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for Internationalization of Industrial R&D for Korean SME.

The Effect of National Aid Programs to Small Business in Global R&D Cooperation Outcome and Global Business Abilities (정부지원이 중소기업 글로벌 R&D 협력 성과와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

  • Lee, Han-Woong;Baek, Do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37 no.4
    • /
    • pp.177-18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observe effects of global R&D cooperation outcomes and global business abilities of small businesses by a national aid program. This study selected a program, Industry Technical Global Cooperation Project launched from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KIAT). Also, small businesses CEOs' roll and efficiency are very important to increase outcomes and improve abilities of their companies. In this study, CEO's global level or ability is regarded of small businesses' global level. Then, this study shows positive effects between a national aid program and global R&D cooperation outcome and between global R&D cooperation outcome and global business abilities.

A study on the status of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in government R&D program (정부 R&D 사업의 국제 공동연구 현황에 관한 연구)

  • Eunji-Ji Yu;Ji-Young Park;Yun-J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279-280
    • /
    • 2023
  •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글로벌 이슈의 해결을 위해 국제 공동연구를 통한 글로벌 협력체계 강화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한국 정부에서도 2024년 국제 공동연구 관련 R&D 예산 규모를 약 3배 가량 늘릴 것으로 발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2021년 동안의 정부 R&D 사업의 국제 공동연구 투자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향후 국제 공동연구에 대한 예산 계획을 수립하고, 국제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 수립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T 산업정책 성과와 2008년 추진방향

  • Seoul, Jeong-S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
    • /
    • pp.5-11
    • /
    • 2008
  •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국민소득 2만불 시대 견인을 위해 2004년 수립한 IT 산업 발전전략이 IT839이다. 신성장동력 핵심기술 개발 등 IT839전략에 힘입어 세계 최초로 WiBro, DMB 기술개발과 국제표준화에 성공하는 등 IT분야 기술개발을 주도하여,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1년 이상 단축되었으며, 특히, 이동통신 DIV 분야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경쟁력이 향상되는 성과를 보았다. 한편, 최근 IT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IT를 기반으로한 융복합화 진전, 글로벌화 심화, 인터넷 확산과 웹의 진전이다. 2008년에는 이런 환경변화 속에서 IT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을 수립.추진할 계획이다. 무선 융합환경에서 신시장 창출 및 선점, 고부가가치 IT산업의 집중 육성, IT중소기업, 핵심인력 양성 등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반 구축도 강화한다. IT R&D 정책은 기초 원천기술분야 R&D 투자비중을 확대하고, IT와 비IT융합 등 융합분야 기술개발 투자도 확대할 것이다. 혁신형 IT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민간 정책협력 네트워크인 IT전문협의회 운영을 개선하고, 중소기업의 원가절감을 위한 공통서비스 확대, 대 중소 기업의 상생협력을 제도화는 등 IT정책 인프라도 고도화한다. 또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후의 글로벌 주력품목군으로 IT SoC, u-센서, IT-BT-NT 융합분야 등 3대 핵심분야를 선정하여 집중 육성하고, 부품기업간 협업 활성화를 적극 유도할 것이다. 시장이 원하는 글로벌 수준의 인재양성을 목표로 공학교육인증 확산, IT 융합분야를 중심으로 대학의 R&D 지원도 강화하며, 전공역략을 갖춘 IT 전문인력, 석박사급 핵심 연구개발 인력, IT재직자 교육 등 시장이 원하는 맞춤형 인력양성도 병행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SW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신시장 창출을 위해 노력도 강화한다. 조선, 자동차 등 비 IT분야의 SW활용을 확산하기 위한 선도프로젝트를 추진하고, 틈새분야 중 세계적 시장점유율을 갖춘 중소기업 제품에 임베디드SW를 탑재하여 첨단기능을 구현하는 시범사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Growth Factors and Promotion Directions for Global Hidden Champions in Korean ICT SMEs (국내 ICT 중소기업의 성장요인과 글로벌 히든 챔피언 육성방향)

  • Kim, M.K.;Park,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2
    • /
    • pp.79-86
    • /
    • 2015
  • 국내 중소기업은 양적인 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나 중견기업 또는 대기업으로 성장 잠재력은 미흡하다. R&D 투자부족에 따른 기술경쟁력 미흡이 성장 장애의 주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우리나라 국가경제의 경쟁력과 창조경제 산업구조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역량을 확보한 히든 챔피언의 육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ICT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례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형 글로벌 히든 챔피언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기술역량 강화가 가장 핵심이며 특히 원천기술 개발, 융합기술 역량강화를 위해 출연연을 비롯하여 산학연 협력 또는 개방형 혁신을 통한 맞춤형 개발지원과 공동 R&D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uccess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Innovative Technology SMEs : With a Focus on the New Excellent Technology(NET) Certification System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공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신기술(NET)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 Ma, Changwhan;Choi, Gyung-h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2
    • /
    • pp.95-108
    • /
    • 2021
  •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are very important for companies to secur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continue to grow. Korea operates a certification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to promote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and strives to enhance SMEs'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mong these, the representative system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is the New Excellent Technology (NET) certification. NET is certified through a strict three-stage screening process, and is operated for the purpose of commercialization of new technology, technology trading, and promotion of early market entry by companies. Acquiring NET certification means that the company has a certain level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which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of companies affect the success of R&D projects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centering on NET certification system. To verify this, technology strategy, technology planning, systematic R&D process, internal cooperation, and external cooperation activities were set as major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ll variables set in this study individually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R&D project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when looking at a comprehensive level that considers all variables, it was analyzed that systematic R&D process management an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external organization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D project success, and technology strategy establishment and technology planning activities, which are the initial stages of R&D,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innovation-oriented SMEs that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corporate R&D centers and are actively conducting R&D activiti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An)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Fator and Foreign Newly created Market Entry Timing : In the case of Born Global Firm (기술요인과 해외신규시장 진입시기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 본글로벌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 Kim, En-Sun;Choi, Yun-Jeong;Park, Ji-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870-873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Born Global Firm의 기술요인들이 해외신규시장 진입시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국내 Born Global Firm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기존의 해외시장 진입시기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기술경쟁력, R&D 네트워크, R&D 정보력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이러한 요인이 Born Global Firm의 해외신규시장 진입시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를 통하여 기술경쟁력의 대용변수로 지적재산권, R&D 투자비용, R&D 전담기구 기능을, R&D 네트워크는 부서간 협력, 국내외 공동연구, R&D 정보력은 R&D 관련 정보 수집능력(경쟁업체 R&D 동향정보, 관련 주요연구자 정보 등), R&D 관련 정보 분석능력(기술이슈 및 트렌드 분석, 기술수준 분석 등), R&D 정보 활용능력(R&D 기획, 응용 분야 확장 등) 등을 사용하고 기업 내부요인과 수출관련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특히, 해외시장 진입형태 중 FDI, 계약에 의한 해외시장진입 보다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해외진입 형태인 수출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107개의 Born Global Firm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Born Global Firm의 직접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지적재산권과, 부서간 협력, R&D 정보 활용능력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이슈 및 트렌드 분석 정보력은 해외시장 진입시기를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