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접 후류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7초

평판 경계층과 후류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평균속도장 (An Experimental Study of Mutual Relation between Wake and Boundary Layer of a Flat Plate; Mean Velocity Field)

  • 김동하;장조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11
    • /
    • 2004
  • 평판의 근접 후류에서 상류 경계층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트리핑 와이어(tripping wire)의 여러 부착 위치가 경계층의 유동조건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선택되었다. 평판 앞전에서부터 0.98C 위치에서의 층류, 천이, 난류경계층이 대칭, 비대칭 후류의 발달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부과되었다. X형태의 열선 프로브(55P61)를 이용한 측정은 근접 후류의 8위치에서 수행되었고, 측정된 평균속도분포는 기존의 후류 상사변수로 무차원화 되어 제시되었다. 대칭 후류는 후류의 중앙부분에서 기존의 상사곡선과 일치하지만, 비대칭 후류는 측정된 범위에서 기존의 상사 곡선과 일치하지 않았다.

원주의 근접후류에 대한 자유흐름 난류강도의 영향 (The effect of free stream turbulence on the near wake behind a circualr cylinder)

  • 김경천;정양범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062-2072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역류의 측정과 원주의 근접 후류의 난류 구조에 미치는 자유흐 름 난류의 영향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역류가 존재할 경우나 순간 유입각이 매우 큰 경우에도 난류의 측정이 가능한 split film probe(이하 SFP로 줄여 표기함)를 사용하여 평균 유동장과 난류의 2차 및 3차 모멘트의 변화, 속도 변동 상관 의 변화 및 대규모 와류의 유출 주파수 특성 등을 측정 분석하여, 격자에 의해 형성된 서로 다른 자유흐름 난류특성에 따른 실험 결과들을 비교 검토 해보고자 한다.

진동하는 NACA 4412 에어포일 근접후류에서의 레이놀즈수 효과 2: 난류강도 (Reynolds Number Effects on the Near-Wake of an Oscillating Airfoil, Part 2: Turbulent Intensity)

  • 장조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8-18
    • /
    • 2003
  •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의 레이놀즈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NACA 4412에어포일은 1/4 시위 지점을 중심으로 조화적으로 피칭운동을 하고, 순간받음각은 +6$^{\circ}$에서 -6$^{\circ}$까지 진동되도록 하였다.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의 난류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열선풍속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유류의 속도는 3.4, 12.4, 26.2 m/s이다. 이러한 자유류 속도에 따른 시위 레이놀즈수는 $R_N=5.3{\times}10^4$, $1.9{\times}10^5$, $4.1{\times}10^5$이고, 무차원 진동수는 K=0.1이다. 레이놀즈수가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축방향 난류강도 분포를 제시하였다. 본 측정에서 모든 경우에 난류 강도는 $R_N=5.3{\times}10^4$인 경우에 아주 크고, $R_N=1.9{\times}10^5$$4.1{\times}10^5$인 경우에는 작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 레이놀즈수의 임계값은 층류분리인 경우, 분리가 발생하지 않거나 난류분리인 경우로 구분되며, 그 값은 $R_N=5.3{\times}10^4\;{\sim}\;1.9{\times}10^5$사이에 존재한다.

진동하는 NACA 4412 에어포일 근접후류에서의 레이놀즈수 효과 1: 평균속도장 (Reynolds Number Effects on the Near-Wake of an Oscillating Naca 4412 Airfoil, Part 1 : Mean Velocity Field)

  • 장조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15-25
    • /
    • 2003
  •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NACA 4412에어포일은 1/4 시위 지점을 중심으로 조화적으로 피칭운동을 하고, 순간받음각이 +6$^{\circ}$에서 -6$^{\circ}$까지 진동하도록 하였다.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의 평균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열선풍속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유류의 속도는 3.4, 12.4, 26.2 m/s이다. 이러한 자유류 속도에 따른 시위 레이놀즈수는 $R_N$=5.3${\times}10^4$, 1.9${\times}10^5$, 4.1${\times}10^5$이고, 무차원 진동수는 K=0.1이다. 레이놀즈수가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축방향 위상평균 속도분포를 제시하였다. 본 측정에서 모든 경우에 속도결손은 $R_N$=5.3${\times}10^4$인 경우에 아주 크고, $R_N$=1.9${\times}10^5$과 4.1${\times}10^5$인 경우에는 작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위상평균속도의 커다란 차이는 $R_N$=5.3${\times}10^4$과 1.9${\times}10^5$ 사이에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의 레이놀즈수의 임계값이 5.3${\times}10^4$에서 1.9${\times}10^5$ 범위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순간적으로 병진운동하는 2차원 원형실린더 주위 유동장의 확산와류방법 연구 (A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around an impulsively translating two dimensional circular cylinder using the diffusion vortex method)

  • 서호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15
    • /
    • 2004
  • 순간적으로 병진운동하는 2차원 원형실린더 주위의 점성유동장을 확산와류방법에 의해 계산하였다. 선두후류와 주후류의 상세한 발달 상태를 조사하였으며 Re=1200, 9500의 유선 형상, 주후류의 크기, 후방 대칭축 축방향속도 계산은 보고된 실험결과와 근접하였다. Re=1200 유동장 후류의 ${\tau}=50$까지의 장기간 동안의 발달 상태를 조사하였다. 후방후류의 와류이탈주파수는 보고된 결과와 근접하게 나왔다.

연속부착된 수직평판을 갖는 부유구조물 후류의 자유유동 난류강도에 대한 실험적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ree stream turbulence of Floating body with vertical plate)

  • 김호;오경근;김옥석;이경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3회 정기총회
    • /
    • pp.125-12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연속 부착된 수직평판을 갖는 부유구조물 근접 후류의 난류 구조에 미치는 자유유동 난류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부유소파제의 기본형으로 널리 쓰이는 폰툰형 부유구조물을 1/35로 축소하여 부체양쪽 끝단에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한 각각 한 개의 수직평판과 부체하면의 끝단에 고정된 두 개의 수직평판의 부착거리에 따라 부유구조물 후류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되는 와의 주기성과 근접후류에 대한 자유유동 난류강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유구조물의 후류에서 난류강도는 수직으로 부착된 커튼판의 영향으로 유통박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주기적 와방출로 인해 난류강도가 생성됨을 알 수 있으며, 수직평판의 부착거리가 증가 함에 따라 부유구조물의 후류에서 생성되는 와류경계층의 두께가 감소되는 유동구조를 보여 준다.

  • PDF

방향별 후류를 고려한 풍력발전단지 연간 에너지 생산량 예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Wind Farm AEP Prediction Program Considering Directional Wake Effect)

  • 양경부;조경호;허종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7호
    • /
    • pp.469-480
    • /
    • 2017
  • 풍력발전단지에서 연간 에너지 생산량 예측의 정확도를 위해서는 바람 방향별 후류영향에 의한 풍속감소와 이에 따른 발전량 손실을 효과적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간 에너지 생산량 예측을 위하여 방향별 후류영향을 고려한 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측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풍력발전단지의 연간 에너지 생산량 분석 결과 및 기존 상용 소프트웨어의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적용된 계산식들은 기존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상용 소프트웨어와 동일하지만 풍향별 후류영향 범위의 계산과정에서 차이가 있다. 비교결과 개발 프로그램은 실제 풍력발전단지 전체 시스템 이용율에 1% 이내로 근접하였고 기존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예측 결과보다 2% 이상 실제 연간 시스템 이용율에 근접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圓柱 뒤의 2 次元 後流 流動 特性 (Characteristics of Two-Dimensional Turbulent Wake Flow behind a Circular Cylinder)

  • 부정숙;윤순현;이종춘;강창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555-563
    • /
    • 1985
  • 본 논문에서는 원주(circular cylinder)가 균일속도장에 놓였을 때의 2차원적 인 난류후류유동 특성을 실험에 의해 조사하고, 근접후류에서의 주기적인 대규모 운동 에 의한 코히어런트구조가 하류에서 자체유사(selfpreserving)로 되어 가는 데 있어서 의 난류변동성분에 관한 해석을 위해 확률밀도함수, 자기상관계수, 파워스펙트럼 등과 같은 통계적 처리기법을 도입하고자 한다.

평판 경계층 유동조건이 근접후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low Conditions on a Boundary Layer to the Near-Wake of a Flat Plat)

  • 김동하;장조원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25-1630
    • /
    • 2004
  •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fluence of flow conditions on a boundary layer to the near-wake of a flat plate. The flow condition in the vicinity of trailing edge that is influenced by upstream condition history is an essential factor that determin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near-wake. Various tripping wires were used to change boundary layer flow condition of upstream at the freestream velocity of 6.0 m/sec. Measurements of the boundary layer and near-wake according to the change of upstream conditions were conducted by using both I-probe(55P14 for boundary layer) and X-probe(55P61 for wake). Normalized velocity profiles of the boundary layer were shown the flow types such as laminar boundary layer, transition, and turbulent boundary layer at 0.95C from the leading edge. The velocity and turbulence intensity profiles of the near-wake for the case of laminar boundary layer at the flat plate surface exhibited a defect and a double peak showing perfect symmetry,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