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의 활성

검색결과 1,370건 처리시간 0.026초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을 이용한 Occlusal Contact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CCLUSAL CONTACT USING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

  • 연태호;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4권1호
    • /
    • pp.81-88
    • /
    • 1989
  • 저자는 정상 치열을 가지며 두개하악장애의 증상 및 병력이 없는 성인 21명을 대상으로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인 T-Scan system을 이용하여 교합력에 따른 치아접촉수와 총치아접촉시간을 측정한 후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최대 측두근 전부 근활성도의 약 20%, 50%, 80% 수준의 교합력에서 치아접촉수의 평균은 각각 1.6개, 8.8개, 16.7개로 교합력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최대 측두근 전부 근활성도의 약 20%, 50%, 80% 수준의 교합력에서 치아당 치아접촉수이 평균은 대구치에서는 0.2, 1.4, 2.2 개였으며 소구치에서는 0.1, 0.5, 1.1개였고, 전치에서는 0.1, 0.2, 0.6개로 교합력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치아접촉분포로 구분된 대칭군과 비대칭군간의 총치아접촉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성인에서 골격형 제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와 정상교합자의 근활성도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MUSCLE ACTIVITIES OF PRE- AND POST-ORTHOGNATHIG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ND NORMAL GROUP)

  • 정경진;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5-373
    • /
    • 1995
  • 두개악안면 영역은 많은 해부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근골격구조(musculodentos keletal system)로 두부골격의 구조, 악궁상태, 저작근의 형성 및 기능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두개악안면 영역의 성장과 발육은 유전적인 요인이외에 환경적인 요인들 즉, 두개안면부의 근육을 포함한 주위조직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대로 두개안면부의 골격구조가 변화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두개안면근육의 기능 또한 변화, 적응되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미흡한 상태이다. 저자는 골격형 제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수술 전, 후의 근활성도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두부 골격구조와 교합상태에 따른 저작근 기능의 상호관계 및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남자 15명과 술전 및 술후 골격형 제 III급 부정교합자 각각 15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 방사선사진과 저작효율검사 및 rest, clenching, chewing, swallowing시의 전측두근, 교근, 상순의 근활성도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의 안정위(rest)에서 술전 부정교합군에서 술후군보다 전측두근, 교근, 상순에서 높은 활성도를 보였으며, 술후군에서는 상순에서만 정상대조군보다 의미있는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2. 최대교합(clenching)시는 술후군에서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전측두근, 교근, 상순에서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3. 저작(chewing)시는 술후군이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전측두근 및 교근에서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상순에서는 감소된 근활성도를 보였다. 4. 연하(swallowing)시 술후군에서 상순은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감소되었으나 정상대조군보다 증가된 근활성도를 나타냈으며, 각 군간에 전측두근 및 교근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5. 저작효율은 술전부정교합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술후군에서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증가되었으나 두군 모두 정상대조군과 유의차를 보였다.

  • PDF

세로발활 높이와 트레드밀 경사도 차이에 따른 하지의 근활성도 비교 (The Comparison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Different Longitudinal arch and Treadmill Inclination)

  • 김은영;김연주;김근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459-4466
    • /
    • 2011
  • 본 연구는 세로발활 높이와 트레드밀 경사도 차이에 따른 하지의 근활성도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보행 운동에 관련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하지에 정형외과적 및 관절가동범위에 제한이 없는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세로발활 높이를 정상발과 편평발로 나누어 경사도 $0^{\circ}$, 오르막 $5^{\circ}$, $10^{\circ}$, $15^{\circ}$, 내리막 $5^{\circ}$, $10^{\circ}$, $15^{\circ}$에서 넙다리 곧은근, 넙다리 두갈래근, 앞정강이근, 장딴지근 가쪽과 안쪽 5개 근육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경사도 비교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p<.05), $0^{\circ}$과 내림 $15^{\circ}$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경사도와 세로발활높이 차이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근활성도 비교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 근육과 세로발활 높이 차이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5). 개체 내 대비검정 결과 넙다리 곧은근과 장딴지근 안쪽근, 넙다리 두갈래근과 장딴지근 안쪽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장딴지근 가쪽과 안쪽근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로발활 높이 차이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정상발과 편평발은 하지 근활성도에서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누운 자세에서의 자전거 운동 시 하지 근활성도 분석 (Analysis of Lower-Limbs Muscle Activity during Cycle Exercise in Spine Position)

  • 신선혜;유미;조광수;정호춘;홍정표;홍철운;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31-3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입원 또는 재활 초기단계에 환자가 이동하지 않고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자전거 운동이 가능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침대에 누운 자세에서 다양한 조건에서의 자전거 운동 시의 하지 근 활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근 골격계나 신경근육계 병력이 없는 20대~60대 사이의 건강한 성인 남녀 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운동 모드, 부하, 속도에 따른 자전거 운동 시 오른쪽 하지의 대퇴직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 내측 비복근, 가자미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하를 1과 5단계로 제공하였을 때보다 10단계로 제공하였을 때 내측 비복근의 근활성이 높아짐을 보였다. 또한, 속도가 증가할수록 내측 비복근을 제외한 모든 근육에서 근활성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운동 조건에 따라 크게 활성화되는 근육들이 각기 달랐으며, 이러한 결과는 침상에 누워 재활훈련이 가능한 자전거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 PDF

Low-dye 테이핑과 발 내재근육 강화 운동을 적용한 편평발을 가진 20대 성인의 하지 근육활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in adults in their 20s with flat foot that applied low-dye taping and foot intrinsic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 유경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03-11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편평발을 가진 자를 대상으로 Low-dye 테이핑과 발 내재근육 강화 운동이 한 발 서기 동안 앞정강근, 장딴지근, 긴종아리근의 근육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편평발을 가진 20대 성인 16명이며, Low-dye 테이핑(LTG; n=8) 및 발 내재근육 강화 운동(FSG; n=8)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은 해당되는 중재를 주 2회 6주간 실시하였다. 앞정강근, 긴종아리근 및 안쪽 장딴지근의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중재 전·후 근육활성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된 이원 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근육활성도 측정 결과, LTG에서는 모든 근육에서 실험 전·후 사이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FSG에서는 실험 전·후 사이에 앞정강근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따라서, Low-dye 테이핑과 발 내재근 육강화 운동은 편평발 환자에게 효율적인 하지 근육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구두 굽의 높이가 한다리 서기 자세에서 배곧은근, 척추세움근, 넙다리곧은근, 뒤넙다리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ight of the Shoe Heel in a Static Posture on Muscle Activity of the Rectus Abdomin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Hamstring)

  • 이원휘;이현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24-23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구두 굽 높이에 따라 한다리 서기 자세를 수행하는 동안 배곧은근, 척추세움근, 넙다리곧은근, 뒤넙다리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0cm, 3cm, 7cm 의 각각 다른 높이의 굽이 있는 구두를 착용하고 안정한 지지면 위에서 정적 균형검사 중 하나인 오른쪽 다리로 한다리 서기를 하는 동안 표면 근전도 장비를 이용하여 오른쪽 배곧은근, 척추세움근, 넙다리곧은근, 뒤넙다리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척추세움근과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는 굽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p<0.05), 배곧은근, 뒤넙다리근의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구두 굽 높이의 증가는 척추세움근 및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키며 이로 인한 허리 앞굽음과 골반의 앞쪽 기울임 증가는 신체분절의 위치나 무게 중심의 변화를 일으켜 허리 골반 부위 및 엉덩관절, 무릎관절에 근골격계 통증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착지 동작 시 깔창 높이가 20대 남성의 하지 관절 각도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sole Height on Lower Limb Joint Angle and Muscle Activity at Landing when the Maximal Ground Reaction Force of Male in Their 20s)

  • 유경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32-13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착지 시 키 높이 깔창 높이에 따라 젊은 남성의 최대지면반발력시 하지관절각도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총 3주에 걸쳐 한 주당 0, 3, 5cm 의 폴리우레탄 소재의 깔창 중 무작위로 하나를 착용하여 40cm 높이의 플랫폼 위에서 Force plate로 착지 동작을 시행하였다. 착지 동작 중 최대 지면반발력 시 하지의 관절 각도와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깔창의 높이에 따른 하지관절 각도와 근활성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반복요인이 있는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하지관절각도 분석 결과 깔창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좌측 발목관절 각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근활성도 분석 결과 깔창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우측 앞정강근과 양쪽 넙다리 두갈래근에 영향을 주었다. 하지 근육의 충분한 근력증가를 통하여 착지시 신체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깔창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근육과 하지관절의 각도도 다를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과개교합자의 저작근 활성도 및 교합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TE FORCE AND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MASTICATORY MUSCLE IN DEEPBITE)

  • 정동기;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5-104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T-Scan system과 근전도를 이용하여 정상교합자와 과개교합자의 최대교합력과 근활성도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두 집단으로 구성 되었다. 한 집단은 20명의 정상교합자이고 다른 집단은 30명의 과개교합자이다. 과개교합자는 Class I deepbite(9명의 남자와 7명의 여자)와 Class II div. 1 deepbite(8명의 남자와 6명의 여자)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대교합력은 정상교합군에서 155.93 N, I급 과개교합군에서 165.11 N, II 1류 과개교합군에선 111.55 N이었으며, II급 1류 과개교합군의 최대교합력은 정상교합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1). 2. 정상교합군과 과개교합군 모두에서 치야접촉점이 증가할수록 교합력은 증가하였다(표 3). 3. 최대교합시 II급 1류 과개교합군의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활성도는 전상교합군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P<0.01),모든 군에서 교근의 활성도가 전측두근보다 높았다(P<0.05). 4. 모든 군에서 교합력과 근활성도, 치아접촉점의 수와 근활성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표 5).

  • PDF

균형운동 시 지면의 종류에 따른 균형능력 및 근활성도의 변화 비교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y by a Kind of Ground During Blance Exercise)

  • 김명철;한슬기;오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598-4603
    • /
    • 2012
  • 본 연구는 균형운동 시 모래지면, 균형매트, 단단한 지면의 차이에 따른 균형능력 및 앞정강근, 가자미근, 넙다리두갈래근 근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90명을 무작위로 모래지면군, 균형매트군, 단단한 지면군으로 구분하여 세 그룹 모두 동일한 운동 프로그램을 서로 다른 지면에서 6주간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 후에 Air-balance system 3D를 통해 8방향별 체중이동 각도값과 표면근전도를 통해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그룹(모래지면군, 균형매트군) 모두 단단한 지면군에 비해 균형능력과 앞정강근과 가자미근의 근활성도가 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모래지면의 불안정 지지면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의 슬링과 진동기 적용이 정상인의 체간 근육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ling and Vibrator Application of Knee Push-Up Plus Motion on Trunk Muscle Activities in Healthy Subjects)

  • 김유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 시 슬링과 진동기 적용이 체간 근육의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신체 건강한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3.00±0.45 세; 신장, 176.60±1.64 cm; 체중, 67.50±1.22 kg; 신체질량지수, 21.65±0.34 kg/㎡), 3가지의 기본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 슬링을 적용한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 및 진동기를 적용한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체간 근육의 오른쪽 상부 승모근, 대흉근, 전거근, 복직근, 및 외복사근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승모근, 대흉근, 전거근, 복직근, 및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진동기를 적용한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 시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 적용 시 효과적인 체간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