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 훈련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2초

트라이애슬론의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 위험요인에 대한 고찰 (Triathlon-Related Overuse Injury and Medical Issues)

  • 박찬호;곽이섭;김태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4-320
    • /
    • 2010
  • 트라이애슬론은 수영, 사이클, 달리기로 구성된 스포츠로 단일종목의 스포츠에 참가할 때 보다 잠재적인 의학적 위험요인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 과사용은 스트레스의 증가와 뼈, 관절, 근육, 건 또는 신경의 손상을 일으키며, 지금까지 트라이애슬론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과사용 부상은 목통증, 요통, 근육과 건 부상, 인대부상, 만성적인 통증 등이며, 대부분의 과사용 부상은 달리기 훈련시 가장 많이 발생된다. 또한 트라이애슬론 참가자들은 다양한 자연환경과 경기거리에서 완주해야 하는 만큼 부상 이외의 의학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트라이애슬론과 관련하여 보고되고 있는 의학적 위험요인들은 저체온증, 저나트륨혈증, 일사병, 자외선에 과도한 노출, 면역억압, 심리적인 탈진현상, 용혈증 등을 포함하고 있다. ID 경기 중에 발생 할 수 있는 의학적 문제들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증상은 탈진과 탈수현상이며, 그 다음으로 나타나는 문제점들은 저나트륨혈증, 열부상, 저혈압, 화상과 물집, 근육경련 등이다. 그러나 SD와 OD 경기 중에는 달리기 속도가 빠르고 더 높은 강도에서 경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일사병의 발생 위험이 더 높고, 경기 시간이 짧은 관계로 저나트륨혈증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트라이애슬론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 될 수 있는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문헌들을 고찰하여 스포츠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엘리트 선수 및 동호인 그리고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와 대회를 주최하는 관계자들에게 트라이애슬론과 관련된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 위험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미연에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Acoustic Analysis of Respiration and Phonation Method

  • 문영일;정성민;김문정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180-180
    • /
    • 1998
  • 목소리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에서 발생되는 음성장애는 대부분 잘못된 발성방법으로 인한 후두의 과긴장으로 인해 야기되는 것으로, 흡기 및 호기를 자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호흡방법과 성대 및 주변 근육의 긴장을 줄이도록 하는 훈련하는 음성치료가 주된 치료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지금까지 음성치료의 효과는 주로 청음인지적(perceptual) 측면에서 많이 논의되어 왔으며 객관적인 자료는 아직까지 별로 없는 상태이다. 더욱이 호흡 및 발성 방법에 따른 음성 분석은 미진한 상황이다. (중략)

  • PDF

미디어 속 직업병 - 땀 뻘뻘 격한 운동하는 스포츠 선수에게 나타날 수 있는 병,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2019)>을 통해 본 횡문근융해증

  • 대한산업보건협회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388호
    • /
    • pp.50-51
    • /
    • 2020
  •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은 평범한 인물 엄복동(정지훈 분)이 자전차(자전거) 한 대로 조선의 희망이 된 이야기를 그린다. 우연한 기회를 통해 자전거를 접한 엄복동은 타고난 재능과 끝없는 노력으로 각종 대회에서 우승을 휩쓴다. 그러나 엄복동처럼 고강도 훈련을 지속하다보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특히 운동 후 근육통이 오래 지속되거나 소변색이 짙어질 경우 '횡문근융해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 PDF

전기근육자극을 적용한 무릎 폄 저항운동 시 넙다리곧은근의 두께 변화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 (The immediate effect of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on rectus femoris thickness during resisted knee extension exercise)

  • 김강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7-3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근육자극을 적용한 무릎 폄 저항운동 시 넙다리곧은근의 두께 변화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유사실험 단일집단 검사전-검사후 설계로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양쪽 넙다리 폄의 1RM을 탄력밴드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탄력밴드를 이용한 무릎 폄 저항운동은 오른쪽 다리에 고강도(1RM의 80%)로, 왼쪽 다리에는 저강도(1RM의 50%로 전기근육자극을 같이 적용)로 5세트를 적용하였다. 근육 두께 측정은 초음파로 운동 전후에 넙다리곧은근(1/2 부위, 1/4 부위)에 측정하였다. 사전 테스트와 사후 테스트 사이에 전기근육자극을 적용한 탄력밴드 저강도 운동에 넙다리곧은근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전기근육자극을 결합한 탄력밴드 저강도 저항운동이 넙다리곧은근 두께를 증가시키는 데 즉각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고강도 저항운동을 할 수 없는 노령층에 전기근육자극을 적용한 저강도 저항운동을 접목하는 중재 방법의 효과에 대한 검증과 다양한 신체 부위별 운동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여겨진다.

배드민턴 스트로크 동작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Badminton Stroke Movements)

  • 김휘태;김기홍;김병관;정환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519-524
    • /
    • 2023
  • 이 연구는 경기상황과 유사한 점프 동작이 포함된 배드민턴 기술 동작 시 근육의 활성도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술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남자 배드민턴 선수 7명을 대상으로 하여 스매시, 드롭, 클리어 기술을 무선배정으로 실시하였으며, 3가지 기술 동작 시행 중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근전도는 RMS로 산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매싱 동작의 근활성도는 부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드롭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PM의 활성도는 BC, ECR보다 낮았으며, FCR의 활성도는 EC보다 낮았다. ECR의 활성도는 PM,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ES, BF보다 높았다. 클리어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TC의 활성도는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BF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으며, BF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GM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다. 배드민턴 기술에 따른 근활성도는 FCR에서 스매시와 드롭 동작이 클리어 동작보다 높았으며, RA에서 클리어가 스매시, 드롭 동작보다 높았다. 종합하면, 배드민턴 경기 중 근육활동은 기술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노쪽손목굽힘근은 스매시와 드롭, 배곧은근은 클리어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근력 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지면반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the change of ground reaction force for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 임비오;한동기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6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운증후군 보행에 영향을 주는 근력 훈련이 성장기에 있는 다운증후군 아동의 지면반력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삼염색체 다운증후군을 가진 남자 아동(11세~13세) 8명이며, 근력훈련 전에 지면반력 변인(수직력, 전후력, 좌우력, 총압력중심)을 측정하였으며 근력훈련 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지면반력 변인을 측정하였다. 지면반력 변인의 측정은 2대의 AMTI 지면반력기를 사용하였으며, 초당 100Hz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근력 훈련은 하지 근육 강화 훈련 4종목(스쿼트, 레그 컬, 레그 익스텐션, 토 레이즈)과 복근 및 척추기립근 강화 훈련 2종목(하이퍼 익스텐션, 윗몸 일으키기)으로 구성하여 8주간 주당 3회, 1회 운동 시 10~15RM${\times}$3세트로 점증부하 원리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근력 훈련 전후의 수직력, 전후력, 좌우력의 변화패턴은 다운증후군 아동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근력훈련으로 정상인과 비슷한 패턴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훈련 전 후의 총압력중심의 이동궤적은 연구대상자별로 다양한 이동궤적이 나타나서 명확한 설명을 하기가 어려우며, 이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운증후군 아동들의 보행의 운동역학적 기전의 이해와 운동학적 결과의 해석을 돕고 향후 병적 보행의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로잉운동 시 상지 운동궤적에 따른 근육활성 전략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rategy of Muscular Activity for Motor Track of Upper Limbs during Rowing Exercise)

  • 강승록;김의령;문동안;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91-9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로잉 운동 시 팔의 운동 궤적별 상 하지 근육활성화와 근력변화를 고찰하였다. 피험자는 로잉운동이나 운동관련 상해경험이 없는 20대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피험자들은 기존의 운동궤적으로 운동을 하는 대조군과 새로운 운동궤적으로 운동을 하는 훈련으로 각각 10명씩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운동은 총 8주간 주 3일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중 실시간 근전도를 측정하였으며 매주 1회 관절토크를 측정하였다. 실시간 근전도 결과 운동궤적에 따라 서로 다른 근육활성개시구간을 나타냈다. 이는 운동궤적에 따라 운동추진력을 다른 근육에서 활성화 하는 것을 의미하며, 관절토크 변화에서도 운동궤적에 따라 다른 변화를 나타냈다. 직선궤적운동에서는 상지 보다는 하지의 토크 변화가 컸으며 이는 운동 추진력을 하지 위주로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타원궤적운동에서는 상지, 요추, 하지 모두에서 큰 토크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운동 추진력을 단관절이 아닌 다관절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안면비대칭 환자의 전악임플란트 수복 (Full Mouth Implant Rehabilitation in Facial Asymmetric Patient)

  • 김진환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35
    • /
    • 2022
  • 전악 임플란트 수복시 기능적인 부분 뿐 아니라, 심미적인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이 많다. 무치악 혹은 부분 무치악 상태에서 전악 수복이 이루어지게 되면, 하안모의 큰 변화를 불러 일으킨다. 하안모의 변화뿐 아니라 안모 전체의 변화로 인하여 인상이 많이 달라 지게 된다. 이러한 안모의 변화들은 교합 고경의 회복과 치아들의 3차원적 위치, 전후방과 좌, 우 위치에 의해 안모들 싸고 있는 근육들의 변화로 인하여 일어 나는 것이다. 악골의 비대칭과 함께 안모 비대칭이 있는 환자에 있어서, 전악 임플란트 수복을 통하여, 안모 비대칭을 개선한 치료 증례를 살표 보도록 하겠다. 하악 과두의 흡수로 인하여 짧아지고 과 긴장된 근육들을 임시치아 과정에서 교합을 높여 가면서, 근육을 훈련시켜서, 좌, 우균형을 맞추어 준 증례가 되겠다. 골격적 부조화를 좌,우 근육의 균형을 통화여 보상하여, 하안모 뿐 아니라, 안모전체, 두경부 쪽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살펴 보도록 하겠다.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의 병행이 노화쥐 골격근 유형별 혈관신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combination of resistance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angiogene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different type of skeletal muscle of aged rats)

  • 여효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50-761
    • /
    • 2021
  • 이 연구는 노화된 흰쥐를 대상으로 규칙적인 저항성 운동에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는 훈련을 실시하여 골격근에서 나타나는 혈관신생 관련 단백질 발현의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자연적으로 노화된 SD계열 흰쥐(20-24개월령, N=18)를 사용하여 통제(CON, n=6), 저항성 운동(RE, n=6), 저항성+유산소 운동(RE+AE, n=6)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저항성 운동 집단은 실험동물용 사다리를 이용하여 매회 3세트×4회의 운동을 실시하였고 저항성 운동+유산소 운동 집단은 매회 2세트×3회의 사다리 오르기와 추가적인 30분간의 트레드밀 달리기를 수행하였다. 총 8주간의 운동 훈련 종료 후 가자미 근과 장지신근을 적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골격근에서 혈관신생 관련 단백질들(HIF-1α, VEGF, FLK-1, Ang-1, Ang-2)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항성+유산소 운동 집단에서 가자미근(type I 근육)의 HIF-1α, VEGF, FLK-1, Ang-1, Ang-2 단백질 발현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저항성 운동만 수행할 경우 HIF-1α, VEGF, Ang-1, Ang-2 단백질 발현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았다. 또한 가자미근에서 저항성+유산소 운동훈련 집단의 Ang-2 to Ang-1 ratio가 저항성 운동 집단에 비해 높아 운동훈련 유형별 차이를 보였다. 한편, 장지신근(type II 근육)에서 HIF-1α는 저항성 운동 훈련에 의해서만 증가된 반면 VEGF와 FLK-1 단백질 발현은 두 훈련 유형 모두에서 증가되었고 운동 훈련 유형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장지신근의 angiopoieitin 단백질들의 발현은 운동 훈련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노화에서 규칙적인 운동 훈련은 운동 유형에 관계없이 골격근 혈관신생 반응을 유도하며, 특히 저항성 운동에 유산소 운동의 병행은 type I 근조직 유형에서 혈관신생에 대한 추가적인 긍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