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약화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5초

노약자 및 류마티스 환자를 위한 힘도움 착용 로봇의 토크 해석

  • 홍진표;박기환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90-290
    • /
    • 2004
  •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점점 더 노약자 및 류마티스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이들은 근육의 쇠퇴와 뼈대 구조의 약화로 인해 타인의 도움 없이는 정상적인 활동이 어렵다. 이들의 정상적인 활동을 도와줄 힘도움 착용 로봇의 개발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노약자 및 류마티스 환자들을 위한 힘도움 착용 로봇의 시스템 개요도를 소개한다. 그림 1은 본 연구의 시스템 개요도를 보여준다. 기구적 메카니즘은 3개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링크구조를 가지고 있다.(중략)

  • PDF

Rehabilitation of the Throwing Athlete

  • 문영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7년도 춘계심포지움
    • /
    • pp.58-64
    • /
    • 2007
  • 머리 위 던지는 운동선수는 전방 관절낭의 이완과 강력한 동적 안정성이 요구되므로 조금이라도 흔들리면 쉽게 견관절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면 견관절 조직의 강한 스트레스로 손상히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재활 프로그램을 통하여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해가 발생한 던지기 선수에서 내회전의 소실, 외회전근과 견갑근육의 약화를 교정하여 주는 것에 중점을 두고 치료한다. 추가적으로 재활에 성공한 선수에서 던지기 동작의 생역학을 평가하고 오류를 교정하면서 지속적인 교육을 시행하여 재발을 방지하고 원할한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 PDF

비탄력 고정식 벨트가 노인 여성의 균형능력과 낙상예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a Non-Elastic Fixation Belt on the Balance Ability and Fall Prevention in Elderly Women)

  • 이장태;천승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98-40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여성의 약화된 천장관절 안정화를 위하여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적용하여 균형 능력과 낙상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 여성들은 출산과 폐경으로 천장관절의 약화 및 골반 주위근육들의 약화로 인하여 균형능력의 감소와 낙상위험률이 증가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불충분하다. 연구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20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으며,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실험군에게 적용한 후 균형 측정기를 사용하여 균형능력과 낙상 위험률을 평가하였다. 또한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하복부근육의 근두께를 초음파기기를 사용하여 실험 전후에 측정하였다. 통계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위하여 독립 t-검정, 균형 및 낙상지수를 위하여 $2{\times}2$ 반복 측정 분산분석 및 근두께를 위하여 짝비교 t-검정을 사용하였다. 두 그룹의 교호작용 효과는 안정성 지수(F1,38=47.24, p=0.001), 퓨리에 지수(F1,38=88.83, p=0.001), 체중분포 지수(F1,38=50.21, p=0.001) 및 낙상 지수(F1,38=21.59, p=0.001)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적용한 결과 실험 후 복횡근(p=0.001)과 내복사근(p=0.001)의 근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노인 여성들의 약화된 천장관절의 강화 및 안정화 방법으로 비탄력 고정식 벨트는 균형 및 낙상 예방에 긍정적이며 용이성, 보편성 및 경제적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경호원들의 코어프로그램 수행과 요추부 기능개선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re Exercise Program on the Low Back Function in Private Guard and Security)

  • 강민완
    • 시큐리티연구
    • /
    • 제21호
    • /
    • pp.1-18
    • /
    • 2009
  • 인간의 요추는 똑바로 선 자세에서 골반 위에 있는 근육과 인대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인간이 움직일 때 마다 중심을 잡아주고, 근 골격계 구조를 적절히 유지시키는 요추부근육들을 효과적으로 스트레칭하고, 강화하여 노화로 인한 '건강의 약화'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요부안정화근육 강화는 요추부 재활과 운동 수행능력까지도 증가시킨다. 이 연구는 척추 강화 운동 요추 안정화 운동을 요추부의 근력, 유연성 및 균형, 요추 기능에 (코어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민간 경비 회사에 등록된 18명을 선정했다. 각 운동 그룹(n=9)은 무작위로 무선 표집하여 선정됐다. 이 연구의 방법으로 요추부 근력 측정 장비 BTE, 눈금자 줄자, 유연성, 균형과 요추 기능을 사용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아래에 요약하였다. 굴곡근력 요추 안정화 운동 (핵심 운동) 단체(p<.05)을 개선했다. 신근 근육 강도가 요추 안정화 운동 (코어 프로그램) 그룹(p<.05)을 개선했다. 요추부 유연성 강화 운동 그룹과 요추 안정화 운동 그룹 (p<.05)을 개선했다. 척추의 균형 능력을 강화하는 그룹과 요추 안정화 운동 그룹 (코어 프로그램) 그룹에서 개선되었다(p<.05). 위의 결과에 따른 이 연구에서는 각 개인 경비 및 보안에 척추 강화 운동 요추 안정화 운동의 효과를 보여주어 지속적인 코어프로그램의 활성 방안을 고려해보아야 겠다.

  • PDF

거북목을 가진 사람에게 메켄지 폄운동과 어깨안정화운동이 앞쪽머리자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ulder stabilization exercise and McKenzie Exercise on Forward Head Posture)

  • 이준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27-23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거북목을 가진 사람에게 메켄지 폄운동과 어깨안정화운동이 앞쪽머리자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30명의 거북목을 가진 평범하고 건강한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 대상자는 어깨안정화운동과 메켄지 폄운동으로 나누어(인원=30, 남자 15명, 여자 15명) 무작위로 나누어 6주 동안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마름근, 아래등세모근의 운동프로그램과 깊은목굽힘근, 위등세모근, 어깨올림근의 신장프로그램을 통한 목뼈의 머리척추각(Cervical Vertebra Angle) 값과 각 근육별 근전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앞쪽머리자세와 경우에는 목과 등근육의 활성도가 감소하고 피로도는 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목과 머리의 불안정한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위등세모근, 깊은목굽힘근, 어깨올림근의 신장과 마름근, 아래등세모근의 운동을 통해 거북목의 개선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근육들의 불균형한 수축과 과도한 긴장으로 근육의 경직과 피로가 누적되며 이러한 상태가 계속 유지되게 되면 만성화상태가 되어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피로의 누적으로 인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과 근력을 약화시켜서 목 디스크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the Early Hemiparetic Wrist)

  • 정이정;조상현;권오윤;이영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5-103
    • /
    • 2003
  • 본 연구는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표면근전도 분석을 통해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특성들을 알아보고, 임상적인 치료방법의 기초를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원주기독병원에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 중 발병 후 3개월 미만인 13명과 원주시에 거주하는 대조군 7명이었다.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은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여 손목굽힘근과 손목펴짐근에서 손목관절의 굽힘과 폄동작 시 3초의 근전도 신호음에 따라 가장 빠르고 강하게 최대 등척성 수축과 이완을 하여 신호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편마비 환자의 환측은 건측과 대조군에 비해 손목관절 굽힘과 폄동작에서 근수축 개시및 종료가 유의하게 지연되었으며, 개시보다 종료가 더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따라서 초기 뇌졸중 환자의 근약화는 근육의 개시 및 종료의 반응시간 지연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운동조절과 연관되어 기능적인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근수축의 민첩성 훈련과 근섬유 동원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료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당원 축적병 9D (GSD9D) 환자의 신규 PHKA1 돌연변이 (A Novel PHKA1 Mutation in a Patient with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XD)

  • 김혜진;남수현;김상범;정기화;최병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72-679
    • /
    • 2020
  • 원위 근병증은 원위 근육의 퇴행성 질환이며 임상적, 유전적으로 이질적인 그룹이다. 당원 축적병 9D (GSD9D)는 원위 근병증 중 하나이며, 근육의 포스포릴라아제키나아제(phosphorylase kinase) 결핍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 근병증이다. GSD9D 환자는 운동 후 근육 약화, 근육 변성, 경련과 비정상적인 근육통 및 근육 경직이 발생될 수 있다. GSD9D는 글리코겐 대사의 주요 조절 효소 인 근육 포스포릴라아제키나아제의 알파 소단위를 암호화하는 PHKA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유발된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한국인 GSD9D 가족에 대해 PHKA1 유전자에서 c.3314T> C (p.I1105T) 돌연변이를 동정하였다. 이 돌연변이는 이전에 어떠한 돌연변이 데이터베이스에서도 보고되지 않았으며 500명의 건강한 대조군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 돌연변이 영역은 다양한 다른 종 내에서 잘 보존되었으며 in silico 분석에서 돌연변이가 병원성일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현재까지 PHKA1 유전자에는 보고된 병원성 돌연변이가 7개뿐이며 한국에서는 보고된 사례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GSD9D 환자의 첫번째 사례이다. 또한 이 연구는 이전에 보고된 환자와 한국 환자의 임상 증상과 병리 상태를 비교하고 설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우리는 본 연구가 GSD9D의 분자 진단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강직성 편마비 환자에서의 운동장애는 강직 때문인가? 근육약화 때문인가? (Movement Dysfunction in Spastic Hemiparesis: A Problem of Spasticity or Muscular Weakness?)

  • 김종만;안덕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5-135
    • /
    • 2002
  • In most of the medical literature that discusses the common problem of movement in patients with cerebral lesions. This critical problem is ascribed to a mechanism involving uninhibited neural activity. The goals of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are focus on reduce of muscle hypertonicity, facilitates muscle activities, and improve of performance in living environment. A variety of studies suggest that spasticity is a distinct problem and separate from the muscle weakness. It has become increasingly recognized that the major functional deficits following brain damage are largely due to negative features such as muscle weakness and loss of performance rather than spasticity. Adequate recruitment of prime mover, not release was able to carry out the movement tasks well. The strengthening exercise of spastic limbs on changes in muscle properties and performance skill, the repeated motor practice has been identified as crucial for motor recovery. This article support the concept that strengthening is an appropriat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physical function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lesions. Further studies and therapeutic approaches should be efforts at improving motor neuron recruitment in agonist rather than reducing activity in antagonists while retraining muscle strengthening.

  • PDF

운동유형별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수행능력 변화 I : 보행시 하지근육 활성도 분석 (Changes of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s by Exercise Types I : Analysis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Walking)

  • 박성현;김정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72
    • /
    • 2008
  • 본 연구는 운동유형별 운동 전후 뇌졸중 환자의 보행시 하지근육 활성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임상에서 기능적 수행능력의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근력강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운동치료군, 탄성밴드군 및 신장반사군으로 구분하여 각각 7명씩 총 2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운동프로그램은 8주 동안 주 5회 실시하였다. 1차 단하지 지지기에서 장요근 및 대퇴이두근의 %MVIC는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과 탄성밴드군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고, 반면 전경골근의 %MVIC는 탄성밴드군이 운동치료군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2차 양하지 지지기에서 장요근의 %MVIC는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과 탄성밴드군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고, 반면 내측 비복근의 %MVIC는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신장반사 운동은 운동치료와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 운동 보다 고관절의 안정성 및 하지 분절의 운동성을 제공하는 주요 근육의 활성도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임상에서 근 약화로 인한 운동 기능이 제한된 편마비 환자에게 실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운동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발목관절의 근력 강화 훈련과 정적 근육 신장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kle Joint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and Static Muscle Stretching Training on Stroke Patients' Plantar Pressure and Gait)

  • 이진환;이재홍;권원안;김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53-1160
    • /
    • 2012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수행을 저하시키는 발목 등쪽 굽힘근의 약화에 대해 발목 근력 강화 훈련과 정적 근육 신장 훈련을 이용하여 등쪽 굽힘을 시행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편마비 뇌졸중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뇌졸중 환자의 보행변수인 10m 걷기를 측정하고, 발바닥의 각 영역별 최대 족저압의 측정은 F-scan system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 훈련 전과 훈련 후의 보행의 변화 연구에서 발목 근력 강화 훈련군과 정적 근육 신장 훈련군은 10m 보행속도검사에서 보행속도가 감소하여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뇌졸중 환자 발의 압력측정에서 발목 근력 강화 훈련군 에서는 다른 그룹에 비해서 무지부, 족지부, 제1중족골두에서 최대 족저압이 증가 하였다.